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3)

정관정요집론(3)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貞觀二年 太宗謂侍臣曰 古人云 라하니
方圓在於器하고 不在於水
故堯舜率天下以仁而人從之하고 桀紂率天下以暴而人從之하니 下之所行注+① 皆從上之所好:去聲, 後同.
至如梁武帝父子 志尙浮華하여 惟好釋氏老氏之敎러니
武帝末年 頻幸同泰寺하여 親講佛經하니 百寮皆大冠高履 乘車扈從하여
終日注+② 乘車扈從 終日:乘, 平聲, 後同. 從, 去聲.談論苦空注+③ 談論苦空:佛敎也.하고 未嘗以軍國典章爲意러니
率兵向闕注+④ 及侯景率兵向闕:見君道篇.하얀 尙書郞以下 多不解乘馬注+⑤ 多不解乘馬:解, 音懈.하여 狼狽步走注+⑥ 狼狽步走:狼, 似犬, 銳首白頰, 高前廣後. 狽, 狼屬, 生子或欠一足, 二足相附而行, 離則蹭, 故猝遽謂之狼狽.하여 死者相繼於道路하고 武帝及簡文注+⑦ 武帝及簡文:簡文, 名綱, 武帝第三子, 侯景廢之. 卒被侯景幽逼而死注+⑧ 卒被侯景幽逼而死:被聿切.하고
孝元帝注+⑨ 孝元帝:名繹, 武帝第七子, 起兵討侯景, 卽帝位. 在于江陵注+⑩ 在于江陵:郡名, 今中興路, 隷荊湖. 爲萬紐于謹所圍注+⑪ 爲萬紐于謹所圍:梁承聖三年, 遣萬紐于謹, 將兵五萬, 入寇攻江陵.호대 帝猶講老子不輟注+⑫ 帝猶講老子不輟:元帝好玄談, 嘗於龍光殿講老子, 聞魏師至, 停講. 聞報帖, 然復開講.하고 百寮皆戎服以聽이러니 俄而城陷하여 君臣俱被囚縶注+⑬ 君臣俱被囚縶:音蟄.하니라
注+⑭ 庾信:爲梁將軍, 留於西魏.亦歎其如此하여 及作哀江南賦 乃云 이라하니 此事亦足爲鑑戒
朕今所好者 惟在堯舜之道 周孔之敎 以爲如鳥有翼하며 如魚依水하여 失之必死 不可暫無耳로라
【集論】胡氏寅曰 太宗不好釋氏하고 而好堯舜周孔之道하니 可謂知所去取矣
而以爲如魚有水鳥有翼하여 失之必死 不可暫無者 則未知其誠能然乎인저 抑徒意之云爾也
堯舜之盛也而始於道心하고 孔子之盛也而하니 志者 非讀書記誦之謂
道心之微 又與老釋玄妙之言으로 何以別乎 自此而入이면 庶乎其知道矣리라
라하니 知之如是 則能好之矣 未嘗知之로되 而以爲我好堯舜周孔之道云者 妄也
夫道 非有一物可把玩而好之也
百姓日用而不能離하여 亦猶鳥之有翼하고 魚之依水어늘 顧不自知耳
眞氏德秀曰 太宗之言 可謂知所擇矣 然終身所行 以其嗜學 雖篤이나 所講者 不過前代之得失하고 而於三聖授受之微旨 六經致治之成法 未之有聞이요
其所親者 雖或一時名儒 而姦諛小人 亦厠其列하니 安得有之益이리오 故名爲希慕前聖이나 而於道實無得焉하니 其亦可憾也夫인저
愚按 太宗知老釋之虛無空寂 不適於用하고 知堯舜之道 周孔之敎 不可暫無하니 斯言也 三代而下 君人者所罕聞也
中庸曰 라하니 道者 率性而已
聖人以此道 垂訓於天下後世하니 則謂之敎 堯舜之道 此道也 周公孔子之敎 以堯舜之道爲敎也
又曰 라하니 不可暫無하면 其不可須臾離者乎인저 太宗未足以進此也 而言則然也


정관貞觀 2년(628)에 태종太宗근신近臣에게 말하였다. “옛사람이 말하기를 ‘군주는 그릇과 같고 백성은 물과 같다.’고 하였소.
모난 것과 둥근 것은 그릇에 달려 있는 것이지, 물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오.
그러므로 요순堯舜이 천하를 으로 통솔하자 백성들이 따랐고, 걸주桀紂가 천하를 포악으로 통솔하자 백성들이 따랐소. 아랫사람의 행동은 모두 군주가 좋아하는 것을 따르는 것이오.注+(좋아하다)는〉 거성去聲이다. 뒤에도 같다.
양 무제梁 武帝 부자는 뜻이 화려함을 숭상하여 오직 불교佛敎노자老子의 가르침을 좋아하였소.
무제武帝는 말년에 자주 동태사同泰寺에 행차하여 친히 불경佛經을 강론하니, 백관들이 모두 큰 관과 높은 신을 신고 수레를 타고 무제를 따랐소.
하루 종일注+(수레)은 평성平聲이다. 뒤에도 같다. (수행원)은 거성去聲이다. 고공苦空(불교佛敎)의 설을 담론하고注+고공苦空은〉 불교佛敎이다. 군사와 국정과 제도에 대한 것은 생각한 적이 없었는데,
후경侯景이 군대를 이끌고 궁궐로 향하게 되어서는注+군도편君道篇〉에 보인다. 상서랑尙書郞 이하의 신하들은 대부분 말을 탈 줄 몰라注+(알다)는 이다. 허겁지겁 맨발로 도망치다가注+은 개와 비슷하고 머리가 날카롭고 뺨이 흰색이며 앞이 높고 뒤는 넓다. 의 종류인데 새끼를 낳으면 혹 다리 하나가 없어서 두 마리가 두 다리로 서로 붙어서 가는데, 떨어지면 비틀거린다. 그러므로 졸지에 일어나는 일을 낭패狼狽라고 한다. 죽은 자가 길에 이어졌고, 무제武帝간문제簡文帝注+간문簡文은 이름이 이니, 무제武帝의 세 번째 아들인데 후경侯景이 폐하였다. 마침내 후경에게 잡혀 핍박받아 죽고 말았소.注+(마침내)은〉 의 반절이다.
효원제孝元帝注+효원제孝元帝는〉 이름이 이니, 무제武帝의 일곱 번째 아들인데 병사를 일으켜 후경侯景을 토벌하고 황제에 즉위하였다. 강릉江陵에 있을 때注+강릉江陵은〉 이름이니 지금 중흥로中興路인데 형호荊湖에 속한다. 만뉴우근萬紐于謹에게 포위되었소.注+나라 승성承聖 3년(554)에 원위元魏에서 만뉴우근萬紐于謹을 보내어 군사 5만 명을 거느리고 침략케 하여 강릉江陵을 공격하였다. 그런데도 효원제는 《노자老子》 강의를 그치지 않았고注+원제元帝현담玄談을 좋아하여 용광전龍光殿에서 《노자老子》를 강의한 적이 있는데, 나라 군사가 쳐들어온다는 소문이 있자 강의를 정지하였는데 보고를 듣고 나서는 다시 강의를 열게 하였다. 백관들이 갑옷을 입은 채로 청강하고 있었는데, 얼마 후에 성이 함락되어 효원제와 신하들이 모두 잡혔소.注+(포박하다)은〉 이다.
유신庾信注+유신庾信은〉 나라 장군將軍이 되어 서위西魏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것을 한탄하여 〈애강남부哀江南賦〉를 지었는데, 이르기를 ‘재상은 전쟁을 아이들의 놀이로 생각하고, 고관들은 노장老莊청담淸談을 조정의 책략으로 삼았네.’라고 읊었으니, 이 일은 또한 거울삼아 경계할 일이오.
이 지금 좋아하는 것은 오직 요순堯舜의 도와 주공周公공자孔子의 가르침에 있소. 새가 날개가 있는 것과 같고 물고기가 물에 의지하는 것과 같아서 그 가르침을 잃게 된다면 반드시 죽을 것이니, 잠시도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오.”
호인胡寅은 말하였다. “태종太宗석씨釋氏를 좋아하지 않고 요순堯舜주공周公공자孔子의 도를 좋아하였으니 버리고 취할 것을 알았다고 말할 만하다.
그러나 ‘물고기가 물에 의지하는 것과 같고 새가 날개가 있는 것과 같아서 그 가르침을 잃게 된다면 반드시 죽을 것이니 잠시도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라고 한 것은 진실로 그렇게 할 수 있는 것인지 알지 못하겠다. 아니면 다만 뜻만 말했을 뿐이다.
‘진실로 그 중도를 잡는다.’는 것은 요순堯舜의 성대함으로 도심道心에서 시작하고, ‘하고 싶은 대로 해도 법도를 넘지 않는다.’는 것은 공자孔子의 성대함으로 배움에 뜻[]을 두는 데서 시작되니, 는 글을 읽고 외우는 것을 말함이 아니다.
도심의 은미함은 또 노자老子석씨釋氏의 현묘한 말과 어떻게 구별되는가. 이로부터 들어가면 거의 도를 알 것이다.
공자가 말하기를 ‘아는 것은 좋아하는 것만 못하다.’라고 하였으니 도를 앎이 이와 같으면 도를 좋아할 수 있다. 도를 안 적이 없으면서도 ‘나는 요‧순‧주공‧공자의 도를 좋아한다.’고 말하는 자는 경망한 것이다.
도는 손에 쥐고 완상하면서 좋아할 수 있는 하나의 물건이 아니다.
백성이 일상 생활에서 떨어질 수 없는 것이어서 또한 새가 날개가 있고 물고기가 물에 의지하는 것과 같거늘 또한 스스로 알지 못할 뿐이다.”
진덕수眞德秀가 말하였다. “태종太宗의 말은 선택할 줄을 알았다고 말할 만하다. 그러나 죽을 때까지 행한 바가 부끄러움이 없지 못했던 것은 배우기를 즐김이 비록 독실하였으나 강구한 것은 이전 시대의 득실에 불과하였고, 삼대三代 성인聖人의 주고받은 은미한 뜻과 육경六經의 지극한 치적의 법에는 들음이 없었다.
태종이 친한 사람은 비록 혹은 한때의 이름 있는 선비였으나 간사하며 아첨하는 소인들도 또한 그의 대열에 섞여 있었으니, 어찌 임금의 짐을 맡아 도와주는 이로움이 있겠는가. 그러므로 명분은 이전 성인聖人을 사모한다고 하지마는 에서는 실로 터득함이 없었으니 그 또한 유감스럽다.”
내가 살펴보건대, 태종太宗노자老子석씨釋氏허무虛無공적空寂은 사용하는 데 적당하지 않음을 알았고, 요순堯舜의 도와 주공周公공자孔子의 가르침이 잠시도 없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았으니 이 말은 삼대三代 이하로 임금들이 듣지 못하던 것이었다.
중용中庸》에 말하기를 “을 따름을 라 이르고, 를 닦는 것을 라 이른다.” 고 하니, 도는 성을 따르는 것일 뿐이다.
성인聖人이 이 도로 천하 후세에 교훈을 드리웠으니 이를 라고 한다. 요순의 도는 이 도이고, 주공과 공자의 가르침은 요순의 도로 가르침을 삼은 것이다.
또 말하기를 “도는 잠시도 떠날 수 없는 것이니, 떠날 수 있으면 가 아니다.” 라고 하니, 잠시라도 없어서는 안 되면, 잠시도 떠나서는 안 될 것이다. 태종이 아직 여기까지 나아가는 데에는 부족하였지만 말은 그렇게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君猶器也 人猶水也 : 《抱朴子》 〈官理〉에 “임금은 그릇과 같고 신하는 물건과 같다.[夫君猶器也 臣猶物也]”라고 하였고, ‘人猶水也’는 《北史》 〈郞茂傳〉에 보인다.
역주2 從上之所好 : 《孟子》 〈滕文公 上〉에 “위에서 좋아하는 것이 있으면 아래에서 더 좋아하는 자가 반드시 있다.[上有好者 下必有甚焉者歟]”라고 하였다.
역주3 侯景 : 南北朝 시대 사람으로 자는 萬景이다. 梁 武帝 때 河南王에 봉해졌으나 반란을 일으켜 臺城을 함락하고 簡文帝를 옹립하였다가 곧 간문제를 죽이고 스스로 漢帝라 칭하였으나, 얼마 안 가서 王僧辯 등에 의해 멸망되었다. 《梁書 권56 侯景列傳》
역주4 庾信 : 梁나라 昭明太子 蕭統의 東宮侍讀官을 지냈는데, 北周의 孝明帝‧武帝에게 발탁되어 현달하였으나 항상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떨치지 못하여, 이에 〈哀江南賦〉를 지었다. 《周書 권41 庾信列傳》
역주5 宰衡干戈爲兒戲 縉紳淸談爲廟略 : 《周書》 〈庾信傳〉에 보인다.
역주6 元魏 : 北朝의 北魏(386~534)로, 鮮卑族인 拓跋珪가 강북에 세웠다.
역주7 允執厥中 : 《書經》 〈虞書 大禹謨〉에 보인다.
역주8 欲不踰矩 : 《論語》 〈爲政〉의 “마음에 하고 싶은 대로 따라 해도 법도에 넘치는 법이 없게 되었다.[從心所欲 不踰矩]”를 말한다.
역주9 始於志學 : 《論語》 〈爲政〉의 “내 나이 15세에 학문에 뜻을 두었다.[吾十有五而志于學]”를 말한다.
역주10 孔子曰……不如好之者 : 《論語》 〈雍也〉에 보인다.
역주11 未能無愧者 : 唐 太宗이 형제간의 싸움으로 형 李建成과 아우 李元吉을 죽인 일, 이원길의 아내를 후궁으로 삼은 일, 아들들의 불화로 태자를 高宗으로 바꾼 일 등을 들 수 있다.
역주12 佛時仔肩 : 《詩經》 〈周頌 敬之〉에 보인다.
역주13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 : 《中庸》 1장에 보인다.
역주14 道也者……可離非道也 : 《中庸》 1장에 보인다.

정관정요집론(3)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