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貞觀政要集論(2)

정관정요집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정관정요집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以小臣之愚鄙 忝不貲之恩榮하고 擢無庸於草澤하여 齒陋質於簪纓이라
遇大道行而兩儀泰하고 喜元良會而萬國貞이니이다
以監府之多暇 每講論而肅成하시니 하고之聰明이니이다
自禮賢於하시니 足歸道於이니이다
芳年淑景 時和氣淸하여
華殿邃兮簾幃靜하고 灌木森兮風雲輕하며 花飄香兮動笑日하고 嬌鶯囀兮相哀鳴이니이다
以物華之繁靡 尙絶思於將迎注+ 尙絶思於將迎:思, 去聲.하시고 猶允蹈而不倦하여 極耽翫以硏精이니이다
命庸才以載筆하사於天庭이니이다
異洞簫之娛侍注+ 異洞簫之娛侍:漢元帝爲太子時, 好吹洞簫, 自度聲被歌調. 王褒上洞簫賦, 乃令後宮貴人皆誦讀之.하고 殊飛盖之緣情注+ 殊飛盖之緣情:魏文帝爲世子時, 曹植賦詩曰 “淸夜遊西園, 飛盖相追隨.”이라
闕雅言以贊德이나 思報恩以輕生이니이다
敢下拜而稽首호니 願永하시고 奉皇靈之遐壽하사 冠振古之鴻名注+ 冠振古之鴻名:冠, 去聲.하소서


우매하고 미천한 신이 한없는 은혜와 영광을 입어, 쓸모없는 자가 초야에서 발탁되고, 누추한 자질이 의관을 갖춘 관리와 나란히 했습니다.
대도大道가 시행되어 양의兩儀(천지天地)가 평안한 시대를 만나고, 원량元良(태자太子)이 때마침 이러한 때를 만나 모든 나라가 바르게 다스려짐을 기뻐합니다.
관부官府를 감독하며 여가가 날 때, 매번 강론을 통해 엄숙한 완성을 이루시니, 신성하여 민첩하심을 우러러 받들고 거의 성인이신 총명에 감탄합니다.
스스로 덕행德行 성취자를 예우하시니 충분히 춘경春卿(환영桓榮) 같은 선생에게 의귀할 만합니다.
꽃다운 나이 아름다운 풍경에 시절이 온화하고 기운이 맑아서,
화려한 궁전 깊은 곳엔 주렴 장막 조용하고, 떨기나무 숲속엔 바람과 구름이 가뿐하며, 꽃향기 나부끼어 흔들려 햇빛에 웃고, 교태로운 꾀꼬리 소리 구르는듯 애잔하게 노래합니다.
화려하고 화사한 풍물 앞에서도 맞아들이려는 마음을 끊으시고注+(생각)는 거성去聲이다., 여전히 실천하기에 나태하지 않으시어, 학문을 지극히 탐구하고 정진하십니다.
부족한 재능을 갖춘 제게 글을 지으라고 명하시어, 감사하게도 천정天庭(궁전)에서 글을 엮게 되었습니다.
통소洞簫로 기쁘게 모셨던 것과 다르고注+한 원제漢 元帝태자太子였을 때, 퉁소 불기를 좋아해서 스스로 곡조를 만들기도 했다. 왕포王褒가 〈통소부洞簫賦〉를 지어 올리자, 후궁後宮귀인貴人들에게 모두 외우도록 했다., 달리는 수레에 정이 따랐던 것과도 다릅니다.注+위 문제魏 文帝세자世子였을 때 조식曹植이 다음과 같은 시를 지었다. “청아한 밤 서원西園에서 즐길 때, 달리는 수레들이 연이어 따랐다.”
고운 말로 덕을 찬양한 것은 부족하지만,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목숨마저 가볍게 여기고 있습니다.
감히 절을 하고 머리를 조아리오니, 부디 영원히 좋은 명성을 세우시고 황상皇上을 오랫동안 받드시어 역사에 으뜸가는 훌륭한 명성을 떨치소서.”注+(으뜸가다)은 거성去聲이다.


역주
역주1 仰惟神之敏速 : 《周易》 〈繫辭傳 上〉에 “신성하므로 서두르지 않아도 빠르다.[唯神也 故不疾而速]”에서 용사한 것이다.
역주2 將聖 : 《論語》 〈子罕〉에 “진실로 하늘이 내려보낸 거의 성인이시다.[固天縱之將聖]”라고 하였다.
역주3 秋實 : 德行의 成就를 말한다. 《三國志》 〈魏志〉 권12 〈邢顒傳〉에 “여러 아들들의 봄꽃을 채집하고, 家丞(官名)의 덕행 성취를 잊는다.[採庶子之春華 忘家丞之秋實]”라고 하였다.
역주4 春卿 : 後漢 桓榮의 字이다. 《後漢書》 〈桓榮傳〉에 “光武帝가 즉시 환영을 불러 《尙書》를 해설하게 하였는데 그것을 매우 훌륭하게 여기고 議郞에 임명하여 10萬錢을 내리고는 궁중에 들어와 太子를 敎授하게 하였다.[帝卽召榮 令說尙書 甚善之 拜爲議郞 賜錢十萬 入使授太子]”라고 하였다.
역주5 摛藻 : 글짓기로, 마음대로 文才를 펼침을 말한다.
역주6 樹於風聲 : 《書經》 〈周書 畢命〉의 “선한 이를 드러내고 악한 이를 병들게 하여 교화를 세우라.[彰善癉惡 樹之風聲]”에서 유래한 것이다.

정관정요집론(2)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