太宗
이 每力行不倦
하여 數年間
에 海內康寧
하고 突厥破滅
注+突, 陀沒切. 厥, 九勿切. 突厥, 阿史那氏, 古匈奴北部也, 居金山之陽. 夏曰獫狁, 商曰鬼方, 周曰獫狁. 其別部凡二十八等, 皆世其官, 與中國抗衡, 歷代爲患, 悉臣服於唐.하니 因謂群臣曰
 
                        		
                        		
                        		
	                     		
			                       	
			                       	
	                     		
	                     		
		                        
                        	
                        	
                        	
                        	
                        		
                        			
                        			
			                        
			                        	貞觀初에 人皆異論하여 云當今에 必不可行帝道王道라호대 惟魏徵勸我러니
			                         
                        		
                        		
                        		
	                     		
			                       	
			                       	
	                     		
	                     		
		                        
                        	
                        	
                        	
                        	
                        		
                        			
                        			
			                        
			                        	旣從其言하니 不過數載하여 遂得華夏安寧하고 遠戎賓服이라
			                         
                        		
                        		
                        		
	                     		
			                       	
			                       	
	                     		
	                     		
		                        
                        	
                        	
                        	
                        	
                        		
                        			
                        			
			                        
			                        	突厥
이 自古以來
로 常爲中國勍敵
注+勍, 音檠, 强也.이러니 今酋長
注+酋, 慈由切. 長, 音掌, 番國之長也.이 竝帶刀宿衛
하고 部落
이 皆襲衣冠
하니 
                        		
                        		
                        		
	                     		
			                       	
			                       	
	                     		
	                     		
		                        
                        	
                        	
                        	
                        	
                        		
                        			
                        			
			                        
                        		
                        		
                        		
	                     		
			                       	
			                       	
	                     		
	                     		
		                        
                        	
                        	
                        	
                        	
                        		
                        			
                        			
			                        
                        		
                        		
                        		
	                     		
			                       	
			                       	
	                     		
	                     		
		                        
                        	
                        	
                        	
                        	
                        		
                        			
                        			
			                        
			                        	玉雖有美質
이나 在於石間
하니 不値良工琢磨
하면 與瓦礫不別
注+礫, 音的, 小石也. 別, 彼列切.이요 若遇良工
하면 卽爲萬代之寶
니 朕雖無美質
이나 爲公所切磋
注+七多切. 詩曰 “如切如磋, 如琢如磨.” 言其治之有緖, 而益致其精也.라 
                        		
                        		
                        		
	                     		
			                       	
			                       	
	                     		
	                     		
		                        
                        	
                        	
                        	
                        	
                        		
                        			
                        			
			                        
			                        	勞公約朕以仁義
하고 弘朕以道德
하여 使朕功業至此
하니 公亦足爲良工爾
注+按曰 “帝納其言不疑, 於是天下大治. 蠻夷君長, 襲衣冠, 帶刀宿衛. 東薄海, 南踰嶺. 戶闔不閉, 行旅不齎糧, 取給於道. 帝謂群臣曰 ‘此徵勸我行仁義, 旣效矣. 惜不令封德彛見之.’”라하다 
                        		
                        		
                        		
	                     		
			                       	
			                       	
	                     		
	                     		
		                        
                        	
                        	
                        	
                        	
                        		
                        			
                        			
			                        
                        		
                        		
                        		
	                     		
			                       	
			                       	
	                     		
	                     		
		                        
                        	
                        	
                        	
                        	
                        		
                        			
                        			
			                        
			                        	帝王興治道는 在觀時而爲之니 觀時는 在至明하고 至明은 在至公이니
			                         
                        		
                        		
                        		
	                     		
			                       	
			                       	
	                     		
	                     		
		                        
                        	
                        	
                        	
                        	
                        		
                        			
                        			
			                        
                        		
                        		
                        		
	                     		
			                       	
			                       	
	                     		
	                     		
		                        
                        	
                        	
                        	
                        	
                        		
                        			
                        			
			                        
			                        	通於理라 故能變天下之弊하고 正其事라 故能立天下之教니 弊變教立하면 其治不勞而成矣라
			                         
                        		
                        		
                        		
	                     		
			                       	
			                       	
	                     		
	                     		
		                        
                        	
                        	
                        	
                        	
                        		
                        			
                        			
			                        
			                        	孔子曰 如有用我者면 期月而已可也니 三年이면 有成이라하니 則聖人之意를 可見矣라
			                         
                        		
                        		
                        		
	                     		
			                       	
			                       	
	                     		
	                     		
		                        
                        	
                        	
                        	
                        	
                        		
                        			
                        			
			                        
			                        	但後之爲天下者는 雖欲興起治道나 多非聖哲之才라 不能通究時弊하여 以道變之하고 務速其功하여 以行一時之事라
			                         
                        		
                        		
                        		
	                     		
			                       	
			                       	
	                     		
	                     		
		                        
                        	
                        	
                        	
                        	
                        		
                        			
                        			
			                        
                        		
                        		
                        		
	                     		
			                       	
			                       	
	                     		
	                     		
		                        
                        	
                        	
                        	
                        	
                        		
                        			
                        			
			                        
			                        	觀魏公之論하면 誠得聖人之意어늘 文皇이 能納其言하여 而不惑姦人之論하고 力變時弊하여 以行王道하니 嗚呼明哉로다
			                         
                        		
                        		
                        		
	                     		
			                       	
			                       	
	                     		
	                     		
		                        
                        	
                        	
                        	
                        	
                        		
                        			
                        			
			                        
			                        	大亂之後에 興立教法하여 不急其功하여 致時太平하고 德流於後하니 嗚呼公哉로다
			                         
                        		
                        		
                        		
	                     		
			                       	
			                       	
	                     		
	                     		
		                        
                        	
                        	
                        	
                        	
                        		
                        			
                        			
			                        
                        		
                        		
                        		
	                     		
			                       	
			                       	
	                     		
	                     		
		                        
                        	
                        	
                        	
                        	
                        		
                        			
                        			
			                        
                        		
                        		
                        		
	                     		
			                       	
			                       	
	                     		
	                     		
		                        
                        	
                        	
                        	
                        	
                        		
                        			
                        			
			                        
			                        	魏徵의 仁義之言也는 欲順天下之理而治之요 封德彛의 刑罰之言也는 欲咈天下之性而治之라
			                         
                        		
                        		
                        		
	                     		
			                       	
			                       	
	                     		
	                     		
		                        
                        	
                        	
                        	
                        	
                        		
                        			
                        			
			                        
                        		
                        		
                        		
	                     		
			                       	
			                       	
	                     		
	                     		
		                        
                        	
                        	
                        	
                        	
                        		
                        			
                        			
			                        
                        		
                        		
                        		
	                     		
			                       	
			                       	
	                     		
	                     		
		                        
                        	
                        	
                        	
                        	
                        		
                        			
                        			
			                        
			                        	欲治天下하면 則順之而已니 咈之而能治之는 未之聞也라
			                         
                        		
                        		
                        		
	                     		
			                       	
			                       	
	                     		
	                     		
		                        
                        	
                        	
                        	
                        	
                        		
                        			
                        			
			                        
			                        	太宗이 從魏徵而不從德彛하여 行之數年에 遂致太平하니 仁義之效가 如此其速也라
			                         
                        		
                        		
                        		
	                     		
			                       	
			                       	
	                     		
	                     		
		                        
                        	
                        	
                        	
                        	
                        		
                        			
                        			
			                        
			                        	故治道는 在人主所力行耳니 孰不可爲太宗乎리오마는 及其成功하여 復歸美於下는 此前世帝王之所不及也라
			                         
                        		
                        		
                        		
	                     		
			                       	
			                       	
	                     		
	                     		
		                        
                        	
                        	
                        	
                        	
                        		
                        			
                        			
			                        
                        		
                        		
                        		
	                     		
			                       	
			                       	
	                     		
	                     		
		                        
                        	
                        	
                        	
                        	
                        		
                        			
                        			
			                        
			                        	德彛가 言三代以還으로 人漸澆訛는 未爲甚失이요 魏徴이 言若果澆訛면 當爲鬼魅는 則非也라
			                         
                        		
                        		
                        		
	                     		
			                       	
			                       	
	                     		
	                     		
		                        
                        	
                        	
                        	
                        	
                        		
                        			
                        			
			                        
			                        	以書契以來觀之하면 三代之時가 固不若唐虞之世하고 周之文勝이 又不若虞夏之質하며
			                         
                        		
                        		
                        		
	                     		
			                       	
			                       	
	                     		
	                     		
		                        
                        	
                        	
                        	
                        	
                        		
                        			
                        			
			                        
			                        	兩漢風俗이 豈敢望周며 而唐室風俗이 又安能及漢耶아
			                         
                        		
                        		
                        		
	                     		
			                       	
			                       	
	                     		
	                     		
		                        
                        	
                        	
                        	
                        	
                        		
                        			
                        			
			                        
			                        	若謂民常淳樸하여 無有澆訛하면 是結繩之治가 可以易約劑하고 土鼓之樂이 可以變絲竹矣라
			                         
                        		
                        		
                        		
	                     		
			                       	
			                       	
	                     		
	                     		
		                        
                        	
                        	
                        	
                        	
                        		
                        			
                        			
			                        
                        		
                        		
                        		
	                     		
			                       	
			                       	
	                     		
	                     		
		                        
                        	
                        	
                        	
                        	
                        		
                        			
                        			
			                        
			                        	亂極人少면 則氣厚而人淳하고 治極人多면 則氣漓而人澆니
			                         
                        		
                        		
                        		
	                     		
			                       	
			                       	
	                     		
	                     		
		                        
                        	
                        	
                        	
                        	
                        		
                        			
                        			
			                        
			                        	淳漓一變하면 而天地之氣盈虛消息이니 後世誠不及古遠矣라
			                         
                        		
                        		
                        		
	                     		
			                       	
			                       	
	                     		
	                     		
		                        
                        	
                        	
                        	
                        	
                        		
                        			
                        			
			                        
			                        	若夫人之所以爲人이 出於本心하여 不可泯滅者는 則古猶今耳라
			                         
                        		
                        		
                        		
	                     		
			                       	
			                       	
	                     		
	                     		
		                        
                        	
                        	
                        	
                        	
                        		
                        			
                        			
			                        
			                        	是故可以懐之以仁하고 理之以義하고 先之以敬讓하고 示之以好惡也라
			                         
                        		
                        		
                        		
	                     		
			                       	
			                       	
	                     		
	                     		
		                        
                        	
                        	
                        	
                        	
                        		
                        			
                        			
			                        
                        		
                        		
                        		
	                     		
			                       	
			                       	
	                     		
	                     		
		                        
                        	
                        	
                        	
                        	
                        		
                        			
                        			
			                        
			                        	故其效止於斗米數錢과 外戶不閉요 則無以進矣니 固不能使人人有士君子之器也로다
			                         
                        		
                        		
                        		
	                     		
			                       	
			                       	
	                     		
	                     		
		                        
                        	
                        	
                        	
                        	
                        		
                        			
                        			
			                        
			                        	愚按 
니 二者
는 皆出於天理之本然
하여 人心之固有也
라 
                        		
                        		
                        		
	                     		
			                       	
			                       	
	                     		
	                     		
		                        
                        	
                        	
                        	
                        	
                        		
                        			
                        			
			                        
			                        	古之聖人은 體之於心하고 行之於身하여 措之於家國天下라
			                         
                        		
                        		
                        		
	                     		
			                       	
			                       	
	                     		
	                     		
		                        
                        	
                        	
                        	
                        	
                        		
                        			
                        			
			                        
			                        	操存於未發之時하고 持守於隱微之地하여 終始如一하여 無須臾之離也요 表裏如一하여 無毫髪之間也라
			                         
                        		
                        		
                        		
	                     		
			                       	
			                       	
	                     		
	                     		
		                        
                        	
                        	
                        	
                        	
                        		
                        			
                        			
			                        
			                        	故能使天地自位
하고 萬物自育
하여 氣無不和
하여 畢至
하니 此豈可以僞而爲之
하고 襲而取之哉
리오 
                        		
                        		
                        		
	                     		
			                       	
			                       	
	                     		
	                     		
		                        
                        	
                        	
                        	
                        	
                        		
                        			
                        			
			                        
			                        	周道旣衰하고 聖學榛塞이라 孟子於戰國之時에 汲汲然以仁義說齊梁之君호대 則見謂迂闊而莫之行也라
			                         
                        		
                        		
                        		
	                     		
			                       	
			                       	
	                     		
	                     		
		                        
                        	
                        	
                        	
                        	
                        		
                        			
                        			
			                        
                        		
                        		
                        		
	                     		
			                       	
			                       	
	                     		
	                     		
		                        
                        	
                        	
                        	
                        	
                        		
                        			
                        			
			                        
			                        	 自謂本
라하여 不喜書生者
가 有之矣
니 其視仁義
를 不過尊之以美名
하고 待之以虛器而已
라 
                        		
                        		
                        		
	                     		
			                       	
			                       	
	                     		
	                     		
		                        
                        	
                        	
                        	
                        	
                        		
                        			
                        			
			                        
			                        	寥寥千載에 唐太宗이 以英武間世之姿로 當撥亂反正之運하여 獨能黜抑封倫之言하고 力行魏徵之請이라
			                         
                        		
                        		
                        		
	                     		
			                       	
			                       	
	                     		
	                     		
		                        
                        	
                        	
                        	
                        	
                        		
                        			
                        			
			                        
			                        	故能致斗米三錢하고 外戶不閉하며 行旅野宿하고 幾於刑措하니 亦可謂仁義之效矣라
			                         
                        		
                        		
                        		
	                     		
			                       	
			                       	
	                     		
	                     		
		                        
                        	
                        	
                        	
                        	
                        		
                        			
                        			
			                        
			                        	然太宗之於仁義也에 慕其名而不得其實하고 喜其文而不究其本하고 知求之於紀綱政事하되 而不知反之於吾身方寸之間하고 知求之於外廷朝著하되 而不知行之於宮闈隱微之際라
			                         
                        		
                        		
                        		
	                     		
			                       	
			                       	
	                     		
	                     		
		                        
                        	
                        	
                        	
                        	
                        		
                        			
                        			
			                        
			                        	故始以從諫爲美
하되 而終不免
하고 外以
爲名
하되 而内不免
하니 内外扞格
하고 終始衡決
이라 
                        		
                        		
                        		
	                     		
			                       	
			                       	
	                     		
	                     		
		                        
                        	
                        	
                        	
                        	
                        		
                        			
                        			
			                        
			                        	其於聖人之仁義에 蓋外似而内違하고 名同而實乖也라
			                         
                        		
                        		
                        		
	                     		
			                       	
			                       	
	                     		
	                     		
		                        
                        	
                        	
                        	
                        	
                        		
                        			
                        			
			                        
			                        	夫自成康八百餘年하여 而後有漢하고 漢八百餘年하여 而後有太宗하니 天之生賢君이 如此其不數數也라
			                         
                        		
                        		
                        		
	                     		
			                       	
			                       	
	                     		
	                     		
		                        
                        	
                        	
                        	
                        	
                        		
                        			
                        			
			                        
			                        	幸而有力行仁義之君이나 而較之於聖人之道하면 則又若珷玞之於美玉하고 稊稗之於美稼焉하니 豈非聖道不明하여 有君無臣之所致乎아
			                         
                        		
                        		
                        		
	                     		
			                       	
			                       	
	                     		
	                     		
		                        
                        	
                        	
                        	
                        	
                        		
                        			
                        			
			                        
                        		
                        		
                        		
	                     		
			                       	
			                       	
	                     		
	                     		
		                        
                        	
                        	
                        	
                        	
                   			
                        	
                        	
                        	
                        	
	                       	
	                       	
	                       	
	                       	
							                       	
	                        
	                        
	                        	
	                        
	                        	
	                        		
	                        	
	                        
	                        	
	                        
	                        	
	                        		
	                        	
	                        
	                        	
	                        
	                        	
	                        		
	                        	
	                        
	                        	
	                        
	                        	
	                        		
	                        	
	                        
	                        	
	                        
	                        	
	                        		
	                        	
	                        
	                        	
	                        
	                        	
	                        		
	                        	
	                        
	                        	
	                        
	                        	
	                        		
	                        	
	                        
	                        	
	                        
	                        	
	                        		
	                        	
	                        
	                        	
	                        
	                        	
	                        
	                        	
	                        
	                        	
	                        
	                        	
	                        
	                        	
	                        
	                        	
	                        
	                        	
	                        
	                        	
	                        
	                        	
	                        
	                        	
	                        
	                        	
	                        
	                        	
	                        
	                        	
	                        
	                        	
	                        
	                        	
	                        
	                        	
	                        
	                        	
	                        
	                        	
	                        
	                        	
	                        
	                        	
	                        
	                        	
	                        
	                        	
	                        
	                        	
	                        
	                        	
	                        
	                        	
	                        
	                        	
	                        
	                        	
	                        
	                        	
	                        
	                        	
	                        
	                        	
	                        
	                        	
	                        
	                        	
	                        
	                        	
	                        
	                        	
	                        
	                        	
	                        
	                        	
	                        
	                        	
	                        
	                        	
	                        
	                        	
	                        
	                        	
	                        
	                        	
	                        
	                        	
	                        
	                        	
	                        
	                        	
	                        
	                        	
	                        
	                        	
	                        
	                        	
	                        
	                        	
	                        
	                        	
	                        
	                        	
	                        
	                        	
	                        
	                        	
	                        
	                        	
	                        
	                        	
	                        
	                        	
	                        
	                        	
	                        
	                        	
	                        
	                        	
	                        
	                        	
	                        
	                        	
	                        
	                        	
	                        
	                        	
	                        
	                        	
	                        
	                        	
	                        
	                        	
	                        
	                        	
	                        
	                        	
	                        
	                        	
	                        
	                        	
	                        
	                        	
	                        
	                        	
	                        
	                        	
	                        
	                        	
	                        
	                        	
	                        
	                        	
	                        
	                        	
	                        
	                        	
	                        
	                        	
	                        
	                        	
	                        
	                        	
	                        
	                        	
	                        
	                        	
	                        
	                        	
	                        
	                        	
	                        
	                        	
	                        
	                        	
	                        
	                        	
	                        
	                        
	                        
                        	
		                        
		                        
		                        
		                        
                        		
                        	
		                        
		                        
		                        
		                        	
		                        	
		                        
		                        
                        		
                        		
                        			
			                        
			                        	태종太宗이 늘 힘써 행하고 게을리 하지 않아서 수년 사이에 천하가 편안해지고 
돌궐突厥이 격파되니,
注+돌突은 타陀와 몰沒의 반절이요, 궐厥은 구九와 물勿의 반절이다. 돌궐突厥은 아사나씨阿史那氏로, 옛날 흉노匈奴의 북부北部이고, 금산金山의 남쪽에 살았다. 하夏나라에서는 험윤獫狁이라 하였고, 상商나라에서는 귀방鬼方이라 하였고, 주周나라에서는 험윤獫狁이라고 하였다. 그 별부別部(氏族 갈래)는 모두 28등이고 모두 그 관직을 세습하여 중국과 맞서니, 대대로 근심이 되었는데 당唐나라에 모두 신하로 복종하였다. 이로 인하여 여러 신하들에게 말하였다.
 
			                              
                        			
                        		
                        		
	                     		
			                       	
			                       	
	                     		
		                        
                        	
		                        
		                        
		                        
		                        
                        		
                        	
		                        
		                        
		                        
		                        	
		                        	
		                        
		                        
                        		
                        		
                        			
			                        
			                        	“정관貞觀 초년에 사람들이 모두 논의가 달라서 당시에 결코 제도帝道와 왕도王道를 시행할 수 없다고 말하였는데, 위징魏徵만이 나에게 권하였소.
			                              
                        			
                        		
                        		
	                     		
			                       	
			                       	
	                     		
		                        
                        	
		                        
		                        
		                        
		                        
                        		
                        	
		                        
		                        
		                        
		                        	
		                        	
		                        
		                        
                        		
                        		
                        			
			                        
			                        	그의 말을 따르고 난 뒤 몇 년 지나지 않아 마침내 화하華夏(중국)가 편안함을 얻었고, 먼 곳의 오랑캐들도 복종하였소.
			                              
                        			
                        		
                        		
	                     		
			                       	
			                       	
	                     		
		                        
                        	
		                        
		                        
		                        
		                        
                        		
                        	
		                        
		                        
		                        
		                        	
		                        	
		                        
		                        
                        		
                        		
                        			
			                        
			                        	돌궐은 예로부터 늘 중국의 강한 적이었는데
注+경勍은 음은 경檠이니, 강하다는 뜻이다. 지금 추장이
注+추酋(우두머리)는 자慈와 유由의 반절이고, 장長(우두머리)은 음이 장掌이니, 번국의 우두머리이다. 함께 칼을 차고 궁궐에서 호위를 하고, 
부락部落들이 모두 의관을 입고 있소.
      
                        			
                        		
                        		
	                     		
			                       	
			                       	
	                     		
		                        
                        	
		                        
		                        
		                        
		                        
                        		
                        	
		                        
		                        
		                        
		                        	
		                        	
		                        
		                        
                        		
                        		
                        			
			                        
			                        	내가 마침내 여기에 이르게 된 것은 모두 위징의 힘이오.”
			                              
                        			
                        		
                        		
	                     		
			                       	
			                       	
	                     		
		                        
                        	
		                        
		                        
		                        
		                        
                        		
                        	
		                        
		                        
		                        
		                        	
		                        	
		                        
		                        
                        		
                        		
                        			
			                             
                        			
                        		
                        		
	                     		
			                       	
			                       	
	                     		
		                        
                        	
		                        
		                        
		                        
		                        
                        		
                        	
		                        
		                        
		                        
		                        	
		                        	
		                        
		                        
                        		
                        		
                        			
			                        
			                        	“옥이 비록 아름다운 바탕이 있으나 돌 사이에 섞여 있어서 숙련공에게 연마되지 못하면 기와나 자갈과 다름이 없고,
注+역礫은 음이 적的이니, 작은 돌이다. 별別(다르다)은 피彼와 열列의 반절이다. 만약 숙련공을 만나면 곧 만대의 보물이 되는 것이니, 짐은 비록 아름다운 바탕이 없으나 공에게 단련을 받았소.
注+〈차磋(갈다)는〉 칠七과 다多의 반절이다. 《시경詩經》 〈위풍衛風 기오淇奧〉에 “깎고 다듬고 쪼고 간 듯하네.”라고 하니, 다루는데 순서가 있고 정밀함을 더욱 세밀하게 함을 말한 것이다.      
                        			
                        		
                        		
	                     		
			                       	
			                       	
	                     		
		                        
                        	
		                        
		                        
		                        
		                        
                        		
                        	
		                        
		                        
		                        
		                        	
		                        	
		                        
		                        
                        		
                        		
                        			
			                        
			                        	 공이 수고롭게도 짐을 
인의仁義로 단속해주고 짐을 
도덕道德으로 넓혀주어 짐의 
공업功業이 여기에 이르도록 하였으니, 공은 또한 숙련공이라 하기에 충분하오.”
注+살펴보니 사책史冊에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태종太宗이 그 말을 받아들여 의심하지 않았고 이에 천하가 크게 다스려졌다. 만이蠻夷의 군장君長들이 의관을 입고 칼을 차고 호위하였다. 동으로는 바닷가에 이르고 남으로는 오령五嶺을 넘었으며, 문을 열어두어 닫지 않고 여행자들이 양식을 싸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길에서 조달할 수 있었다. 태종이 신하들에게 말하기를 ‘이는 위징魏徵이 일찍이 나에게 인의를 행하라고 권하여 효험이 드러난 것이다. 봉덕이封德彝가 죽어서 보지 못하게 된 것이 애석하구나.’라고 하였다.”      
                        			
                        		
                        		
	                     		
			                       	
			                       	
	                     		
		                        
                        	
		                        
		                        
		                        
		                        
                        		
                        	
		                        
		                        
		                        
		                        	
		                        	
		                        		
		                        		
		                        	
		                        
		                        
                        		
                        		
                        			
			                             
                        			
                        		
                        		
	                     		
			                       	
			                       	
	                     		
		                        
                        	
		                        
		                        
		                        
		                        
                        		
                        	
		                        
		                        
		                        
		                        	
		                        	
		                        		
		                        		
		                        	
		                        
		                        
                        		
                        		
                        			
			                        
			                        	“제왕이 다스리는 도를 일으키는 것은 때를 살펴서 하는 데 달려 있으니, 때를 살피는 것은 지극히 밝음에 있고, 지극히 밝음은 지극히 공평함에 있다.
			                              
                        			
                        		
                        		
	                     		
			                       	
			                       	
	                     		
		                        
                        	
		                        
		                        
		                        
		                        
                        		
                        	
		                        
		                        
		                        
		                        	
		                        	
		                        		
		                        		
		                        	
		                        
		                        
                        		
                        		
                        			
			                        
			                        	지극히 밝으면 이치가 통하지 않는 것이 없고, 지극히 공평하면 일이 바르지 않은 것이 없다.
			                              
                        			
                        		
                        		
	                     		
			                       	
			                       	
	                     		
		                        
                        	
		                        
		                        
		                        
		                        
                        		
                        	
		                        
		                        
		                        
		                        	
		                        	
		                        		
		                        		
		                        	
		                        
		                        
                        		
                        		
                        			
			                        
			                        	이치에 통하므로 천하의 폐단을 변하게 할 수 있고, 그 일을 바르게 하므로 천하의 가르침을 세울 수 있으니, 폐단이 변하고 가르침이 확립되면 다스림은 수고롭지 않아도 이루어진다.
			                              
                        			
                        		
                        		
	                     		
			                       	
			                       	
	                     		
		                        
                        	
		                        
		                        
		                        
		                        
                        		
                        	
		                        
		                        
		                        
		                        	
		                        	
		                        		
		                        		
		                        	
		                        
		                        
                        		
                        		
                        			
			                        
			                        	《논어論語》 〈자로子路〉에 공자孔子가 말하기를 ‘만일 나를 등용해주는 자가 있다면 1년 만 하더라도 괜찮을 것이고, 3년이면 이루어짐이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성인의 뜻을 볼 수 있다.
			                              
                        			
                        		
                        		
	                     		
			                       	
			                       	
	                     		
		                        
                        	
		                        
		                        
		                        
		                        
                        		
                        	
		                        
		                        
		                        
		                        	
		                        	
		                        		
		                        		
		                        	
		                        
		                        
                        		
                        		
                        			
			                        
			                        	다만 후세에 천하를 다스리는 자는 비록 다스리는 도를 일으키려고 하였으나 대부분 성스럽고 명철한 재주를 지닌 이가 아니어서 당시의 폐단을 통틀어 규명하여 도리로 변화시키지 못하고, 힘써 그 공을 서둘러서 한때의 일을 행하였다.
			                              
                        			
                        		
                        		
	                     		
			                       	
			                       	
	                     		
		                        
                        	
		                        
		                        
		                        
		                        
                        		
                        	
		                        
		                        
		                        
		                        	
		                        	
		                        		
		                        		
		                        	
		                        
		                        
                        		
                        		
                        			
			                        
			                        	그러므로 하는 일이 뒤섞여 옛날의 치적을 회복한 이가 없었다.
			                              
                        			
                        		
                        		
	                     		
			                       	
			                       	
	                     		
		                        
                        	
		                        
		                        
		                        
		                        
                        		
                        	
		                        
		                        
		                        
		                        	
		                        	
		                        		
		                        		
		                        	
		                        
		                        
                        		
                        		
                        			
			                        
			                        	위징의 논의를 보면 진실로 성인의 뜻을 얻었는데, 문황文皇(太宗)이 그의 말을 받아들여 간사한 사람의 논의에 현혹되지 않고 힘써 당시의 폐단을 변화시켜서 왕도를 행하였으니, 아, 명철하도다.
			                              
                        			
                        		
                        		
	                     		
			                       	
			                       	
	                     		
		                        
                        	
		                        
		                        
		                        
		                        
                        		
                        	
		                        
		                        
		                        
		                        	
		                        	
		                        		
		                        		
		                        	
		                        
		                        
                        		
                        		
                        			
			                        
			                        	크게 어지러운 시기 뒤에 교화의 법도를 일으켜 세워 그 공을 이루는 것을 조급해하지 않아 태평 시대를 이룩하고 덕택이 후세에 이어지게 하였으니, 아! 공평하도다.”
			                              
                        			
                        		
                        		
	                     		
			                       	
			                       	
	                     		
		                        
                        	
		                        
		                        
		                        
		                        
                        		
                        	
		                        
		                        
		                        
		                        	
		                        	
		                        		
		                        		
		                        	
		                        
		                        
                        		
                        		
                        			
			                             
                        			
                        		
                        		
	                     		
			                       	
			                       	
	                     		
		                        
                        	
		                        
		                        
		                        
		                        
                        		
                        	
		                        
		                        
		                        
		                        	
		                        	
		                        		
		                        		
		                        	
		                        
		                        
                        		
                        		
                        			
			                        
			                        	“태종太宗은 잘 살펴 취사선택을 하였다고 말할 만하다.
			                              
                        			
                        		
                        		
	                     		
			                       	
			                       	
	                     		
		                        
                        	
		                        
		                        
		                        
		                        
                        		
                        	
		                        
		                        
		                        
		                        	
		                        	
		                        		
		                        		
		                        	
		                        
		                        
                        		
                        		
                        			
			                        
			                        	위징魏徵이 말한 인의仁義는 천하의 이치를 따라 다스리려 한 것이고, 봉덕이封德彝가 말한 형벌刑罰은 천하의 성정을 어겨서 다스리려고 한 것이다.
			                              
                        			
                        		
                        		
	                     		
			                       	
			                       	
	                     		
		                        
                        	
		                        
		                        
		                        
		                        
                        		
                        	
		                        
		                        
		                        
		                        	
		                        	
		                        		
		                        		
		                        	
		                        
		                        
                        		
                        		
                        			
			                        
			                        	백성들 중에는 위태로움을 싫어하여 편안하려 하고 수고로움을 싫어하여 쉬려고 하지 않는 자가 없다.
			                              
                        			
                        		
                        		
	                     		
			                       	
			                       	
	                     		
		                        
                        	
		                        
		                        
		                        
		                        
                        		
                        	
		                        
		                        
		                        
		                        	
		                        	
		                        		
		                        		
		                        	
		                        
		                        
                        		
                        		
                        			
			                        
			                        	인의仁義로 다스리면 따르고 형벌刑罰로 다스리면 어긴다.
			                              
                        			
                        		
                        		
	                     		
			                       	
			                       	
	                     		
		                        
                        	
		                        
		                        
		                        
		                        
                        		
                        	
		                        
		                        
		                        
		                        	
		                        	
		                        		
		                        		
		                        	
		                        
		                        
                        		
                        		
                        			
			                        
			                        	천하를 다스리려고 하면 〈천하의 이치를〉 따를 뿐이니, 어기면서 잘 다스릴 수 있다는 말은 듣지 못하였다.
			                              
                        			
                        		
                        		
	                     		
			                       	
			                       	
	                     		
		                        
                        	
		                        
		                        
		                        
		                        
                        		
                        	
		                        
		                        
		                        
		                        	
		                        	
		                        		
		                        		
		                        	
		                        
		                        
                        		
                        		
                        			
			                        
			                        	태종이 위징을 따르고 봉덕이를 따르지 않아 몇 년 동안 시행한 뒤에 마침내 태평을 이룩하였으니, 인의仁義의 효과가 이와 같이 빠르다.
			                              
                        			
                        		
                        		
	                     		
			                       	
			                       	
	                     		
		                        
                        	
		                        
		                        
		                        
		                        
                        		
                        	
		                        
		                        
		                        
		                        	
		                        	
		                        		
		                        		
		                        	
		                        
		                        
                        		
                        		
                        			
			                        
			                        	그러므로 다스리는 도는 임금이 힘써 행하는 데에 있을 뿐이니, 누구인들 태종이 될 수 없겠는가마는 그가 공을 이루고 나서 다시 아름다움을 아래에 돌려준 것은 이전 시대의 제왕帝王이 미치지 못한 것이다.”
			                              
                        			
                        		
                        		
	                     		
			                       	
			                       	
	                     		
		                        
                        	
		                        
		                        
		                        
		                        
                        		
                        	
		                        
		                        
		                        
		                        	
		                        	
		                        		
		                        		
		                        	
		                        
		                        
                        		
                        		
                        			
			                             
                        			
                        		
                        		
	                     		
			                       	
			                       	
	                     		
		                        
                        	
		                        
		                        
		                        
		                        
                        		
                        	
		                        
		                        
		                        
		                        	
		                        	
		                        		
		                        		
		                        	
		                        
		                        
                        		
                        		
                        			
			                        
			                        	“봉덕이封德彝가 말한 ‘삼대三代 이후로 사람들이 점점 경박하고 속이게 되었다.’라는 것은 심하게 그릇된 말이 아니고, 위징魏徵이 말한 ‘만약 과연 경박하고 속이게 되었다면 당연히 귀신이 되었을 것이다.’라는 말은 잘못이다.
			                              
                        			
                        		
                        		
	                     		
			                       	
			                       	
	                     		
		                        
                        	
		                        
		                        
		                        
		                        
                        		
                        	
		                        
		                        
		                        
		                        	
		                        	
		                        		
		                        		
		                        	
		                        
		                        
                        		
                        		
                        			
			                        
			                        	문자가 생긴 이래로 살펴보면, 삼대의 시대가 진실로 요순堯舜 시대만 못하고, 주나라가 문식文飾에 치중한 것이 또 순우舜禹의 질박함만 못하다.
			                              
                        			
                        		
                        		
	                     		
			                       	
			                       	
	                     		
		                        
                        	
		                        
		                        
		                        
		                        
                        		
                        	
		                        
		                        
		                        
		                        	
		                        	
		                        		
		                        		
		                        	
		                        
		                        
                        		
                        		
                        			
			                        
			                        	전한前漢과 후한後漢의 풍속이 어찌 감히 주周나라를 바라겠으며, 당唐나라의 풍속이 또 어찌 한漢나라에 미칠 수 있겠는가.
			                              
                        			
                        		
                        		
	                     		
			                       	
			                       	
	                     		
		                        
                        	
		                        
		                        
		                        
		                        
                        		
                        	
		                        
		                        
		                        
		                        	
		                        	
		                        		
		                        		
		                        	
		                        
		                        
                        		
                        		
                        			
			                        
			                        	만약 백성이 항상 순박하여 경박하고 속임이 없다면, 결승結繩의 정치가 약자約劑(증빙 문서)를 바꿀 수 있고 토고土鼓(흙과 가죽으로 만든 북)의 음악이 사죽絲竹(현악기와 관악기)을 변화시킬 수 있다.
			                              
                        			
                        		
                        		
	                     		
			                       	
			                       	
	                     		
		                        
                        	
		                        
		                        
		                        
		                        
                        		
                        	
		                        
		                        
		                        
		                        	
		                        	
		                        		
		                        		
		                        	
		                        
		                        
                        		
                        		
                        			
			                        
			                        	요컨대 한 번 다스려지고 한 번 어지러워짐은 천지의 큰 운수이다.
			                              
                        			
                        		
                        		
	                     		
			                       	
			                       	
	                     		
		                        
                        	
		                        
		                        
		                        
		                        
                        		
                        	
		                        
		                        
		                        
		                        	
		                        	
		                        		
		                        		
		                        	
		                        
		                        
                        		
                        		
                        			
			                        
			                        	혼란이 극도에 이르러 사람이 적어지면 기운이 온후하여 사람이 순박해지고, 다스려짐이 지극하여 사람이 많아지면 기운이 희박해져 사람이 경박해진다.
			                              
                        			
                        		
                        		
	                     		
			                       	
			                       	
	                     		
		                        
                        	
		                        
		                        
		                        
		                        
                        		
                        	
		                        
		                        
		                        
		                        	
		                        	
		                        		
		                        		
		                        	
		                        
		                        
                        		
                        		
                        			
			                        
			                        	순박함과 희박함이 한 번 변하면 천지의 기운이 찼다가 비고 사라졌다 불어나니 후세가 진실로 먼 옛날에 미치지 못한다.
			                              
                        			
                        		
                        		
	                     		
			                       	
			                       	
	                     		
		                        
                        	
		                        
		                        
		                        
		                        
                        		
                        	
		                        
		                        
		                        
		                        	
		                        	
		                        		
		                        		
		                        	
		                        
		                        
                        		
                        		
                        			
			                        
			                        	사람이 사람답게 되는 것이 본심에서 나와 사라지지 않는 것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같다.
			                              
                        			
                        		
                        		
	                     		
			                       	
			                       	
	                     		
		                        
                        	
		                        
		                        
		                        
		                        
                        		
                        	
		                        
		                        
		                        
		                        	
		                        	
		                        		
		                        		
		                        	
		                        
		                        
                        		
                        		
                        			
			                        
			                        	이 때문에 인仁으로 품어줄 수 있고 의리로 다스릴 수 있고 공경과 사양으로 솔선할 수 있고 좋아함과 싫어함으로 보일 수 있는 것이다.
			                              
                        			
                        		
                        		
	                     		
			                       	
			                       	
	                     		
		                        
                        	
		                        
		                        
		                        
		                        
                        		
                        	
		                        
		                        
		                        
		                        	
		                        	
		                        		
		                        		
		                        	
		                        
		                        
                        		
                        		
                        			
			                        
			                        	위징이 굶주리고 목마른 자에게 음식되기가 쉽다는 것은 알았으나 사람들의 마음이 아직 망하지 않은 것은 알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그 효과가 쌀 한 말의 값이 몇 전에 불과하고 사람들이 바깥문을 닫지 않는 정도에 그치고 더 이상 진전이 없었으니, 진실로 사람마다 사군자士君子의 국량을 가지게 할 수는 없는 것이다.”
			                              
                        			
                        		
                        		
	                     		
			                       	
			                       	
	                     		
		                        
                        	
		                        
		                        
		                        
		                        
                        		
                        	
		                        
		                        
		                        
		                        	
		                        	
		                        		
		                        		
		                        	
		                        
		                        
                        		
                        		
                        			
			                        
			                        	내가 살펴보건대, 인仁은 마음의 덕이고 사랑의 원리이며, 의義는 마음의 제재이고 일의 마땅함이니, 두 가지는 모두 천리의 본연에서 나와서 사람의 마음에 고유固有한 것이다.
			                              
                        			
                        		
                        		
	                     		
			                       	
			                       	
	                     		
		                        
                        	
		                        
		                        
		                        
		                        
                        		
                        	
		                        
		                        
		                        
		                        	
		                        	
		                        		
		                        		
		                        	
		                        
		                        
                        		
                        		
                        			
			                        
			                        	옛날의 성인은 마음에 인의仁義를 체득하고 몸에 인의를 행하여 집안, 국가, 천하에 인의를 두었다.
			                              
                        			
                        		
                        		
	                     		
			                       	
			                       	
	                     		
		                        
                        	
		                        
		                        
		                        
		                        
                        		
                        	
		                        
		                        
		                        
		                        	
		                        	
		                        		
		                        		
		                        	
		                        
		                        
                        		
                        		
                        			
			                        
			                        	아직 발현하지 않았을 때에 잡아 보존하고 은미한 데에서 잡아 지켜서 처음부터 끝까지 똑같아서 잠시도 떠남이 없고, 겉과 속이 똑같아서 털끝만 한 틈도 없다.
			                              
                        			
                        		
                        		
	                     		
			                       	
			                       	
	                     		
		                        
                        	
		                        
		                        
		                        
		                        
                        		
                        	
		                        
		                        
		                        
		                        	
		                        	
		                        		
		                        		
		                        	
		                        
		                        
                        		
                        		
                        			
			                        
			                        	그러므로 천지가 스스로 자리할 수 있게 하고 만물이 스스로 양육될 수 있게 하여 기운이 화합하지 않음이 없어서 사령四靈이 다 이르게 되니, 이것이 어찌 속여서 할 수 있고 엄습하여 취할 수 있는 것이겠는가.
			                              
                        			
                        		
                        		
	                     		
			                       	
			                       	
	                     		
		                        
                        	
		                        
		                        
		                        
		                        
                        		
                        	
		                        
		                        
		                        
		                        	
		                        	
		                        		
		                        		
		                        	
		                        
		                        
                        		
                        		
                        			
			                        
			                        	주周나라의 도가 쇠퇴한 뒤에 성인의 학문이 두절되었는데, 맹자孟子가 전국시대에 급급히 인의仁義를 가지고 제齊나라‧양梁나라의 임금에게 유세하였으나 우활迂闊(사리에 어두움)하다는 평가를 받아 그것을 행하는 자가 없었다.
			                              
                        			
                        		
                        		
	                     		
			                       	
			                       	
	                     		
		                        
                        	
		                        
		                        
		                        
		                        
                        		
                        	
		                        
		                        
		                        
		                        	
		                        	
		                        		
		                        		
		                        	
		                        
		                        
                        		
                        		
                        			
			                        
			                        	이 이후로는 임금이 스스로 말하기를 “말 위에서 천하를 얻었거늘 어찌 《시경詩經》과 《서경書經》을 일삼으랴.”라고 하는 자가 있었고, 황제黃帝와 노자老子를 숭상하고 유술儒術을 믿지 않는 자가 있었으며,
			                              
                        			
                        		
                        		
	                     		
			                       	
			                       	
	                     		
		                        
                        	
		                        
		                        
		                        
		                        
                        		
                        	
		                        
		                        
		                        
		                        	
		                        	
		                        		
		                        		
		                        	
		                        
		                        
                        		
                        		
                        			
			                        
			                        	 스스로 말하기를 “본래 왕도와 패도를 섞어서 썼다.”라고 하여 선비를 기뻐하지 않는 자가 있었으니, 인의仁義를 보기를 그럴듯한 이름으로 높이고 유명무실한 빈 그릇으로 여기는 데에 지나지 않을 뿐이었다.
			                              
                        			
                        		
                        		
	                     		
			                       	
			                       	
	                     		
		                        
                        	
		                        
		                        
		                        
		                        
                        		
                        	
		                        
		                        
		                        
		                        	
		                        	
		                        		
		                        		
		                        	
		                        
		                        
                        		
                        		
                        			
			                        
			                        	아득히 천년 후에 당唐 태종太宗이 영특하고 용맹하여 세상에 드문 자질로 난리를 평정하여 올바름으로 되돌아가는 운세를 당하여 홀로 봉륜封倫(봉덕이)의 말을 물리쳐 억제하고 위징의 요청을 힘써 행하였다.
			                              
                        			
                        		
                        		
	                     		
			                       	
			                       	
	                     		
		                        
                        	
		                        
		                        
		                        
		                        
                        		
                        	
		                        
		                        
		                        
		                        	
		                        	
		                        		
		                        		
		                        	
		                        
		                        
                        		
                        		
                        			
			                        
			                        	그러므로 쌀 한 말이 3전錢이고 바깥문을 닫지 않았으며, 여행자들이 들에서 유숙하고 거의 형벌을 버려두고 쓰지 않는 데에 이르렀으니, 또한 인의의 효과라고 말할 만하다.
			                              
                        			
                        		
                        		
	                     		
			                       	
			                       	
	                     		
		                        
                        	
		                        
		                        
		                        
		                        
                        		
                        	
		                        
		                        
		                        
		                        	
		                        	
		                        		
		                        		
		                        	
		                        
		                        
                        		
                        		
                        			
			                        
			                        	그러나 태종太宗이 인의에 대해서는 그 이름만 사모하였지 그 실제를 터득하지 못하였으며, 그 글만 기뻐하였지 그 근본을 궁구하지 못하였으며, 기강과 정사에서 구할 줄만 알았지 나의 몸과 마음속에서 돌이켜 구할 줄을 알지 못하였으며, 외정外廷의 조반朝班에서 구할 줄만 알았지 궁중의 은미한 곳에서 행할 줄을 알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처음에 간언을 따르는 것을 아름다운 일로 여겼으나 끝에는 위징魏徵의 비석을 무너뜨리는 실수를 면하지 못하였고, 밖으로는 궁녀를 내보내는 것으로 명분을 삼았으나 안으로는 회영懐嬴의 잘못을 면하지 못하였으니, 내외内外가 서로 막히고 처음과 끝이 서로 맞지 않은 것이다.
			                              
                        			
                        		
                        		
	                     		
			                       	
			                       	
	                     		
		                        
                        	
		                        
		                        
		                        
		                        
                        		
                        	
		                        
		                        
		                        
		                        	
		                        	
		                        		
		                        		
		                        	
		                        
		                        
                        		
                        		
                        			
			                        
			                        	그가 성인의 인의에 대해서 외면은 비슷하였으나 내면은 어긋났고 명분은 같았으나 실상은 괴리되었다.
			                              
                        			
                        		
                        		
	                     		
			                       	
			                       	
	                     		
		                        
                        	
		                        
		                        
		                        
		                        
                        		
                        	
		                        
		                        
		                        
		                        	
		                        	
		                        		
		                        		
		                        	
		                        
		                        
                        		
                        		
                        			
			                        
			                        	주周나라 성왕成王과 강왕康王으로부터 800여 년 후에 한漢나라가 있었고, 한漢나라로부터 800여 년 후에 태종太宗이 있었으니, 하늘이 어진 임금을 낼 때 이처럼 드물게 했던 것이다.
			                              
                        			
                        		
                        		
	                     		
			                       	
			                       	
	                     		
		                        
                        	
		                        
		                        
		                        
		                        
                        		
                        	
		                        
		                        
		                        
		                        	
		                        	
		                        		
		                        		
		                        	
		                        
		                        
                        		
                        		
                        			
			                        
			                        	다행히 인의를 힘써 행한 임금이 있었으나 성인의 도에 비교해보면, 또 마치 무부珷玞(옥 비슷한 돌)를 아름다운 옥에 견주는 것과 같고 제패稊稗를 좋은 벼에 견주는 것과 같으니, 어찌 성인의 도가 밝지 않아 훌륭한 임금만 있고 신하는 없는 데서 온 결과가 아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