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2)

국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13. 重耳婚媾懷嬴
[大義]중이가 회영을 아내로 맞이함.
秦伯 歸女五人하니이라
하고 旣而하니 怒曰
秦晉어늘 何以卑我
公子하야하다
秦伯 見公子曰
寡人之 此爲才하야 子圉之이라
黃帝之子二十五人
唯靑陽與夷 皆爲己姓이라
靑陽 方雷氏之甥也 夷皷 彤魚氏之甥也
其同生而異姓者 四母之子 別爲十二姓이라
凡黃帝之子 二十五하니 姬酉祁己滕僖姞儇依是也
與倉林氏 同於黃帝 皆爲姬姓하니
於有蟜氏하야 生黃帝炎帝하니이라
成而異德이라 黃帝爲姬하고 炎帝爲姜하니 二帝用師하야 以相 異德之故也
同姓則同德이요 同德則同心이요 同心則同志 同志 雖遠이나 男女不相及
黷則生怨이요 怨亂毓災 災毓滅이라
是故 取妻 避其同姓 畏亂災也
異德하고 同德
義以
하고 利以이니 姓利相하야 成而不이라야이니
取其所棄하야 以濟大事 不亦可乎하니
公子謂子犯曰 何如 對曰
唯秦所命從也니이다
曰 何如 對曰
禮志 有之하니 曰 將有請於人인댄이요
欲人之愛己也인댄 必先愛人이요 欲人之從己也인댄 必先從人이니
하고하며 聽從以라도 懼其未可也어늘 又何疑焉이리오하니


113. 중이重耳회영懷嬴과 혼인하다
나라 군주君主가 여자 다섯 명을 〈공자公子중이重耳에게〉 시집보냈는데 회영懷嬴잉첩媵妾에 들어있었다.
공자 중이가 회영을 시켜 대야를 받들게 하고 세수한 다음 〈회영에게〉 물을 뿌리니, 회영이 성내며 말했다.
나라와 나라는 대등하거늘 어찌 나를 천시합니까?”
공자 중이가 두려워하여 윗옷을 벗고 죄수가 되어 명령을 따르겠다고 하였다.
나라 군주가 공자 중이를 보고 말하였다.
“나의 정실 딸 가운데 이 아이가 재주가 있어서, 자어子圉가 인질로 있을 때 빈장嬪嬙으로 갖추어 주었소.
혼례를 이루고자 하는데 〈자어의 처였었다는〉 악명을 얻을까 두려울 뿐이고 이것이 아니면 〈온전하여〉 다른 연고는 없소.
감히 혼례로 보내지 못한 것은 이 아이를 사랑하기 때문이오, 공자께서 욕을 본 것은 과인의 죄이니, 오직 명을 따르겠소.”
공자公子중이重耳가 〈회영을〉 사양하려 하니, 사공司空계자季子가 말하였다.
“〈아버지가 동일하여〉 이 동일하여야 형제입니다.
황제黃帝의 아들 25인 중에 그 성이 동일한 자는 2인뿐이니, 오직 청양靑陽이고夷皷만 모두 기성己姓입니다.
청양은 방뢰씨方雷氏의 생질이요, 이고는 동어씨彤魚氏의 생질입니다.
아버지를 동일하게 하여 함께 태어났으되 성이 다른 자는 네 어머니의 아들이니, 별도로 12성이 되었습니다.
황제의 아들 25대종大宗에 성을 얻은 자는 14인이요, 12성이 되었으니, 의성依姓이 그것입니다.
오직 청양靑陽창림씨倉林氏는 황제와 같아서 모두 희성姬姓이라 하니, 덕이 같기가 어려운 것이 이와 같습니다.
옛날에 소전少典유교씨有蟜氏를 아내로 맞이하여 황제黃帝염제炎帝를 낳으니, 황제는 희수姬水로 성공하고 염제는 강수姜水로 성공하였습니다.
성공하여 덕이 달랐으므로 황제는 희성姬姓이 되고 염제는 강성姜姓이 되니, 이제二帝가 군대를 일으켜 서로 멸망시킨 것은 덕이 다른 까닭입니다.
이 다르면 덕이 다르고, 덕이 다르면 부류가 다르니, 부류가 다르면 비록 가깝더라도 남녀가 서로 혼인하여 백성을 낳는 것입니다.
성이 같으면 덕이 같고, 덕이 같으면 마음이 같고, 마음이 같으면 뜻이 같으니, 뜻이 같으면 비록 멀더라도 남녀가 서로 혼인하지 못하는 것은 공경을 더럽히는 것을 두려워해서입니다.
더럽히면 원망을 낳고, 원망과 분란은 재앙을 낳고, 재앙이 생기면 생명을 멸하게 됩니다.
이 때문에 아내를 얻을 때에 동성同姓을 피하는 것은 분란과 재앙을 두려워해서입니다.
그러므로 덕이 다르면 을 합하여 결혼하고, 덕이 같으면 를 합하는 것입니다.
의가 있으면 이익이 따라오고 이익이 있으면 을 두텁게 하니, 성과 이익이 서로 이어서 이루되 흩어지지 않아야 단단히 붙잡을 수 있어서 그 거처를 지킵니다.
지금 당신이 자어子圉에게는 길 가는 사람과 같습니다.
자어가 버린 바를 취하여, 큰일을 이루는 것이 또한 옳지 않겠습니까?”
공자 중이重耳자범子犯에게 말하기를 “어떻소?” 하니, 〈자범이〉 대답하였다.
“장차 자어의 나라를 빼앗을 것인데, 아내를 맞이하는 것을 어찌 사양할 것입니까?
오직 나라가 명하는 바를 따를 뿐입니다.”
〈공자 중이가〉 자여子餘에게 말하기를 “어떻소?” 하니, 〈자여가〉 대답하였다.
“《예지禮志》에 한 말이 있는데, ‘장차 다른 사람에게 청하려고 하면 반드시 먼저 받아들임이 있어야 하고,
남이 자기를 사랑하기를 바라면 반드시 먼저 남을 사랑하여야 하고, 남이 자신을 따르기를 바라면 반드시 먼저 남을 따라야 하니,
남에게 덕을 베풀지 않고 남에게 쓰임을 구하는 것은 죄이다.’라고 하였습니다.
지금 장차 〈회영을〉 재혼시키려는 나라의 명령을 따르고 목공이 좋아하는 딸을 받아들여 사랑하며 명령을 듣고 따라서 〈목공에게 당신이〉 덕이 있다고 여기게 하여도 목공이 안 된다고 할까 두려워해야 하거늘, 또 무엇을 의심할 것입니까?”
마침내 여자 회영을 돌려보내고 폐백을 들여보내고서 〈회영을〉 또한 친히 맞아 왔다.


역주
역주1 懷嬴與焉 : 子圉의 前妻. 자어가 秦나라에 인질로 있다가 도주하여 晉나라로 돌아가서 즉위하여 懷公이 되었으므로, 懷嬴이라고 하였다. 嬴은 秦나라의 姓. 與焉은 끼어서 媵妾이 됨을 말한다.
역주2 公子使奉匜沃盥 : 婚禮에는 “正室이 방에 들어가면 잉첩이 대야를 받들어 세수를 하게 한다.”고 하였다.
역주3 揮之 : 灑(물을 뿌리다)이다. 《左傳》 僖公 23년에 이에 대한 글이 있는바, 그 〈疏〉에 “이윽고 젖은 손을 휘둘러서 물로 그 옷을 더럽히게 하였다.[既而以濕手揮之 使水湔汚其衣]”라고 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역주4 : 敵(대등함)의 뜻.
역주5 : 회영이 호소할 것을 두려워한 것이다.
역주6 降服囚命 : 降服은 윗도리를 벗음이고, 囚命은 스스로 죄수가 되어 명령을 따르는 것이다.
역주7 : 適妃의 딸.
역주8 : 秦나라에 인질로 있을 때를 말한다.
역주9 嬪嬙 : 부녀자의 관직.
역주10 欲以成婚……則無故 : 혼례를 이루고자 하였으나 子圉의 妻였던 것이 두려웠고 그 악명을 얻을까 우려하였고, 이것이 아니면 다른 연고는 없다.
역주11 不敢以禮致之 歡之故也 : 감히 혼인의 정식 예절로 보내지 못하고 다섯 명의 잉첩에 끼워 가게 한 것은 이 딸을 사랑하기 때문이다.
역주12 : 四部備要本에는 ‘懽’으로 되어 있는데 古字에는 통용한다.
역주13 公子有辱 寡人之罪〈也〉 : 辱은 윗옷을 벗은 것이다. 寡人이 예를 갖추지 못하였으므로, 공자가 딸을 비천하게 대한 것이니, 이것이 절로 과인의 죄이다.
역주14 〈也〉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5 唯命是聽 : 이 딸을 나아가게 하거나 물러가게 하는 데는 공자의 명령을 따르겠다.
역주16 公子欲辭 : 골육이 서로 혼인하는 것을 꺼려서이다. 자기가 사양하려 하는 것은 감당하지 못해서이다.
역주17 司空季子 : 晉나라 大夫 胥臣臼季. 앞에 나온 賈它. 뒤에 司空이 되었다.
역주18 同姓爲兄弟 : 아버지를 동일하게 하여 태어나 姓을 동일하게 얻은 자라야 형제가 될 수 있음을 말한다. 惠公과 重耳는 그 덕이 동일하지 않으니, 子圉는 길 가는 사람과 같은 관계여서 그의 아내를 아내로 맞이할 수 있음을 말한다.
역주19 其同姓者二人而已……皆爲己姓 : 그 두 사람은 서로 함께 덕이 같으므로 모두 己姓이 되었다. 靑陽은 金天氏 帝少昊이다.
역주20 唯靑陽[玄囂]……皆爲姬姓 : 25宗에 靑陽과 倉林만 덕이 黃帝에 미쳐서 성을 동일하게 하여 희성이 되었다.
역주21 : 四部備要本에는 ‘鼓’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아래도 같다.
역주22 : 别子를 이은 것이 大宗이 되고, 별자의 庶孫은 小宗이 될 뿐이다.
역주23 其得姓者十四人 爲十二姓 : 得姓은 德으로 관직에 있어 애초에 성을 하사한 것이다. 14인 중에 2인은 姬姓이 되고 2인은 己姓이 되었으므로 12성이다.
역주24 葴[箴] : 四部備要本과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의거하여 고쳤다.
역주25 : 黃丕烈의 《國語札記》에는 “본래 ‘郇’이었는데 ‘阝’를 버리고 ‘荀’이 되었으나 ‘荀’은 ‘苟’의 오자이고 《潛夫論》에는 ‘拘’로 쓰여 있다.”고 하였다.
역주26 靑陽[玄囂] :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의거하여 고쳤다.
역주27 同德之難也如是 : 덕이 黃帝와 같이 하기는 어렵기가 이와 같음을 말한다.
역주28 少典 取於有蟜氏 生黃帝炎帝 : 少典은 黃帝ㆍ炎帝의 先祖이고, 有蟜는 諸侯이고, 炎帝는 神農이다.
역주29 : 四部備要本에는 ‘娶’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역주30 黃帝 以姬水成 炎帝 以姜水成 : 姬ㆍ姜은 물 이름이다. 成은 생장하여 성공함을 말한다.
역주31 : ‘擠’로 써야 하니, ‘擠’는 멸망시킴이다.
역주32 異姓則異德……以生民也 : 重耳는 懷嬴과 異姓이므로 또한 이것을 말하여 혼인을 권하였다. 近은 친속 이름이다. 相及은 혼인함이다.
역주33 畏黷敬也 : 그 부류를 더럽힘을 두려워한다.
역주34 姓[性] :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의거하여 고쳤다.
역주35 合姓 : 두 姓이 결합하여 혼인함을 말한다.
역주36 合義 : 德義로 서로 친함을 말한다.
역주37 道利 : 의리가 있으면 이익이 따름을 말한다.
역주38 : 四部備要本에는 ‘導’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아래도 같다.
역주39 : 厚(두터움)의 뜻.
역주40 : 음은 ‘경’. 續(잇다)의 뜻.
역주41 : 離散(흩어지다)이다.
역주42 乃能攝固 保其土房 : 攝은 持(유지하다), 保는 守(지키다), 房은 居(살다)의 뜻.
역주43 今子於子圉 道路之人也 : 德과 姓이 다름을 말한다.
역주44 將奪其國 何有於妻 唯秦所命從也 : 장차 자어의 나라를 빼앗을 것인데, 아내를 맞이하는 것을 어찌 사양할 것인가라고 말한 것이다. 과거에 奚齊ㆍ卓子가 죽었을 때 秦伯은 重耳를 들여보내려 하였으나 子犯이 어려워하면서 안 된다고 하였다. 지금 다시 이 말을 하는 것은 자어가 무도하여 중이를 해치려고 狐突에게 자범과 그의 형 毛를 부르도록 하였는데 호돌이 부르지 않자 호돌을 죽였으므로, 중이와 자범이 모두 자어를 원망하였다.
역주45 子餘 : 趙衰의 字.
역주46 必先有入焉 : 반드시 먼저 스스로 받아들임이 있어야 한다.
역주47 無德於人……罪也 : 남에게 먼저 덕을 베풀지 않고 남에게 자기가 쓰임을 구하는 것은 바로 죄라고 말한 것이다.
역주48 今將婚媾以從秦 : 再婚을 媾라고 한다. 從은 그 명령을 따름이다.
역주49 受好以愛之 : 그가 좋아하는 바를 받아들여 친애함이다.
역주50 德之 : 그에게 나를 덕스러워하도록 함이다.
역주51 乃歸女而納幣 且逆之 : 여자 회영을 돌려보내고서 폐백을 들여보내고 다시 혼례를 이루었다. 逆은 親迎함이다.

국어(2)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