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韓愈(1)

당송팔대가문초 한유(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한유(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韓公之不汲汲著書 固其力之未至어나 抑其時之不暇耳
而云云者 乃從而爲之辭
然其文特工甚이라
吾子不以愈하고 意欲推而納諸聖賢之域하야 하고 謂愈之質 有可以至於道者라하야 하고 하니 此盛德者之所辭讓이온 況於愈者哉
抑其中有宜復者 故不可로라
昔者로되 然猶不敢公傳道之하고 口授弟子하야 至於後世然後 其書出焉하니니라
擇其可語者誨之라도하니 若遂成其書 則見而怒之者必多矣 必且以我爲狂爲惑하리니 其身之不能恤이어니 리오
夫子聖人也로되 且曰 라하고
其餘輔而相者周天下로되 猶且하고 하고 하고 하니
其道雖尊이나 其窮也亦甚矣
賴其徒相與守之하야 卒有立於天下하니 向使獨言之而獨書之 其存也可冀乎
今夫二氏行乎中土也 蓋六百年有餘矣
其植根固하고하니 非所以朝令而夕禁也니라
自文王沒 武王周公成康相與守之하야 禮樂皆在하니 及乎夫子未久也 自夫子而及乎孟子未久也 自孟子而及乎揚雄 亦未久也
然猶其勤若此하고 其困若此而後 能有所立하니 吾其可易而爲之哉리오
其爲也易 則其傳也不遠이라
故余所以不敢也로라
然觀古人컨대 得其時하야 行其道 則無所爲書하니 書者 皆所爲不行乎今而行乎後世者也니라
今吾之得吾志 失吾志 未可知 竢五六十爲之라도
其行道 其爲書 其化今 其傳後아는 吾子其於吾所爲哉
前書謂吾與人商論不能下氣하야 若好勝者然이라하니 雖誠有之 抑非好己勝也 好己之道勝也니라
己之道 乃夫子孟軻揚雄所傳之道也
若不勝이면 則無以爲道 吾豈敢避是名哉리오
夫子之言曰 라하시니 則其與衆人辨也有矣니라
駁雜之譏 前書盡之하니 吾子其復之어다
昔者하시고
詩不云乎 라하고
記曰 라하니 惡害於道哉리오
吾子其未之思乎ᄂ저
孟君將有所適하야 思與吾子別하니 庶幾一來하노라
唐荊川曰 本是三節文字로되 而活動不羈


01. 다시 장적張籍에게 답한 편지
한공韓公저서著書에 급급하지 않았던 것은 진실로 힘이 미치지 못해서였거나, 아니면 시간을 낼 겨를이 없어서였을 뿐이다.
그런데도 이러이러하다고 말한 것은 장적張籍의 말에 따라 변명한 것이다.
그러나 문장은 매우 정교精巧하다.
그대는 나를 불초不肖하다 여기지 않고 나를 추대해 성현聖賢의 경지로 들여보내고자 생각하여, 부정不正한 마음을 제거하여 아직 높은 경지에 이르지 못한 덕행德行증진增進시키게 하며, 나의 자질이 에 이를 수 있다고 여겨, 그 근원을 준설浚渫하여 물길을 인도하고, 그 뿌리에 물을 주어 그 열매를 먹게 하려 하니, 이는 도덕이 성대한 사람도 사양할 일인데, 하물며 나 같은 사람이겠소.
그러나 그대의 말 중에 마땅히 대답해야 할 내용이 있으므로, 드디어 이대로 논의를 종결終結해서는 안 되겠기에 〈다시 답신을 보내는 바이오.〉
옛날에 성인聖人(孔子)께서 《춘추春秋》를 지을 적에, 이미 〈포폄褒貶대의大義를〉 문사文辭 속에 깊이 숨기고서도 오히려 공공연히 전하여 말씀하지 않으시고 제자들에게 구두口頭전수傳授하여 후세에 이르러서야 그 책이 세상에 나오게 하셨으니, 공자께서 화환禍患을 염려하신 방법이 은미하다고 하겠소.
지금 저 노불老佛[二氏]을 존경해 신앙信仰의 대상으로 삼아 섬기는 자들이 〈위로 천자에서부터〉 아래로 공경公卿보상輔相에 이르렀으니, 내 어찌 감히 공공연히 말하여 배척할 수 있겠소.
말해줄 만한 자를 가려서 가르쳐주어도 오히려 때때로 나와 의견이 어긋나서 논쟁하며 반박하는 소리가 요란하니, 만약 끝내 글로 써서 책을 만든다면 보고서 화를 내는 자가 틀림없이 많을 것이고, 반드시 또 나를 광망狂妄(시건방짐)하다 하고 미혹迷惑(시비를 분간하지 못함)되었다고 할 것이니, 내 몸도 구제할 수 없을 것인데 책이 나에게 무슨 도움이 되겠소.
부자夫子는 성인이셨는데도 “내가 자로子路를 얻고부터는 헐뜯는 말이 귀에 들리지 않았다.”고 하셨고,
그 밖에도 부자를 보좌하는 자들이 천하에 두루 퍼져 있었는데, 오히려 나라에서는 식량食量이 떨어지고, 광읍匡邑에서는 포위를 당하고, 숙손무숙叔孫武叔에게 헐뜯음을 당하고, 교야郊野를 분주히 돌아다니셨으니,
그 도가 비록 높았으나 그 곤궁함 또한 심하셨소.
그 제자들이 함께 수호守護한 덕분에 끝내 천하에 수립樹立하게 된 것이니, 그때 만약 혼자 말하고 혼자 책을 쓰셨다면 어찌 보존되기를 기대할 수 있었겠소.
지금 저 노불老佛사설邪說이 중국에 유행한 지가 대체로 600여 년이 되었소.
박힌 뿌리가 견고하고 퍼진 세력이 광범위하니, 아침에 명령하여 저녁에 금지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니오.
문왕文王이 죽은 뒤로 무왕武王주공周公성왕成王강왕康王이 함께 지켜 예악禮樂이 모두 보존되었으니, 그로부터 부자夫子에 이르기까지는 시대가 오래되지 않았고, 부자로부터 맹자孟子에 이르기까지도 시대가 오래되지 않았으며, 맹자로부터 양웅揚雄에 이르기까지도 시대가 오래되지 않았소.
그런데도 오히려 이처럼 근로勤勞하고 이처럼 곤궁困窮한 뒤에 수립樹立한 바가 있었으니, 내 어찌 그 일을 쉽게 할 수 있겠소.
쉽게 한 일은 오래 전해지지 못하오.
그러므로 내 감히 글을 쓰지 않는 것이오.
그러나 옛사람을 보건대 때를 만나 자기의 도를 행하였으면 책을 짓지 않았으니, 책을 지은 이는 모두 자신의 도를 당시에 실행하지 못하여 후세에 실행되게 하기 위함이었소.
지금 내가 나의 뜻을 실현할 수 있을는지 실현할 수 없을는지를 알 수 없으니, 5, 60세가 되기를 기다려 책을 지어도 늦지 않을 것이오.
하늘이 이 백성에게 〈노불老佛의 허황됨을〉 알리고 싶어 하지 않는다면 나의 수명壽命을 기약할 수 없겠으나, 만약 하늘이 이 백성들에게 알리고 싶어 한다면 〈알릴 사람이〉 내가 아니고 그 누구이겠소.
나에게 도를 행하게 할 것인지, 책을 짓게 할 것인지, 지금 세상을 교화하게 할 것인지, 후세에 전하게 할 것인지는 하늘이 결정하였을 것이니, 그대는 무엇 때문에 내가 하는 일을 이처럼 근심하고 두려워하는 것이오.
그대의 지난번 편지에 “내가 남과 토론할 때 심기를 가라앉히지 못하는 것이 마치 이기기를 좋아하는 사람 같다.”고 하였는데, 진실로 그런 점이 있소만 내가 이기기를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도가 이기기를 좋아하는 것이오.
나의 도는 바로 공자孔子맹자孟子양웅揚雄이 전한 도이오.
만약 이기지 못한다면 도가 될 수 없으니, 내 어찌 감히 〈이기기를 좋아한다는〉 이름을 피하겠소.
부자夫子의 말씀에 “내가 종일토록 안회顔回강론講論할 때 괴이하게 여겨 반문反問함이 없는 것이 마치 어리석은 사람 같았다.”고 하셨으니, 이 말씀으로 보면 부자께서도 사람들과 변론한 적이 있었던 것이오.
박잡駁雜하다는 나무람에 대해서는 지난번 편지에 다 말하였으니 그대는 다시 그 편지를 살펴보시오.
옛날에 부자께서도 오히려 농담을 하신 적이 있으셨소.
그리고 《시경詩經》에도 “농담으로 우스갯소리를 잘하였으나 지나치지 않았다.”고 말하지 않았소.
예기禮記》에도 “항상 긴장하고 그 긴장을 풀지 않는 것은 문왕文王무왕武王도 할 수 없었다.”고 하였으니, 농담을 한다 해서 도에 무슨 해가 되겠소.
그대는 아마도 이를 생각하지 못한 듯하오.
맹군孟君(孟郊)이 갈 곳이 있어 그대와 작별하기를 생각하고 있으니, 한 번 오기 바라오.
당형천唐荊川은 “본래 삼단논법三段論法문자文字인데, 문사文辭생동감生動感이 있고 활발活潑하며 형식과 내용이 틀에 얽매지 않았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重答張籍書 : 이것은 韓愈가 張籍의 편지에 回答한 뒤에, 장적이 다시 편지를 보내어 한유의 論據를 반박하며 조기에 著書하기를 권면한 데 대한 答書이다.
역주2 無似 : 不肖와 같다. 《禮記》 〈哀公問〉에 “과인이 비록 불초하나[寡人雖無似]”란 말이 보이는데, 그 注에 “無似는 不肖하다는 말과 같다.[無似猶言不肖]”라고 하였다.
역주3 拂其邪心 增其所未高 : 純正하지 못한 마음을 제거하여 아직 높은 경지에 이르지 못한 도덕의 수양을 增進시키라는 말이다.
역주4 浚其源 導其所歸 : 근원의 물이 잘 흐르도록 도랑을 쳐서 農地로 流入되도록 인도하라는 말로, 道德이 流行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여 온 천하에 도덕이 두루 퍼지게 함을 비유한 것이다.
역주5 漑其根 將食其實 : 心性을 涵養하여 道德君子가 됨을 비유한 것이다.
역주6 遂已 : 이대로 論議를 終結함이다. 已는 終了이다.
역주7 聖人之作春秋也 旣深其文辭 : 聖人은 孔子이다. 《春秋》는 공자가 기존의 魯史에 筆削을 가해, 242년 동안의 諸侯와 執政官들의 행위에 褒貶을 가하여 尊王의 大義를 드러낸 歷史書이다. 深其文辭는 포폄을 공개하지 않고 포폄의 뜻을 字句 사이에 숨김이다. 褒貶은 천자만이 행사할 수 있는 大權인데, 공자는 평민으로서 당시 제후와 집정관들을 포폄하였으므로, 혹 禍가 닥칠 것을 우려하여 공개적으로 포폄하지 않고, 포폄의 뜻을 文辭 사이에 깊이 숨겼다는 말이다.
역주8 所以慮患之道微 : 이미 褒貶의 뜻을 文辭 사이에 깊이 숨기고서도 공공연히 전하지 않고 제자들에게 口傳하여 후세에 책으로 만들어지게 한 것은, 禍患을 우려한 방법이 隱微(속에 깊이 숨어서 알기 어려움)하였다는 말이다.
역주9 今夫二氏之所宗而事之者 下及公卿輔相 : 二氏는 佛敎와 道敎를 이른다. 所宗은 존경해 信仰하는 대상을 이른다. 저본에는 ‘下及’의 ‘及’이 ‘乃’로 되어 있으나, 朱子의 《韓文考異》에 “ ‘乃’는 어떤 판본에는 ‘及’으로 되어 있다. 지금 이 말을 고찰하건대, ‘낮은 자도 오히려 公卿 輔相’이라는 말은 완곡하게 말하여 위로 천자부터도 老佛을 종주로 삼아 섬긴다는 뜻을 드러낸 것이다.[乃或作及 今按此言 其下者猶是公卿輔相 蓋微詞以見上自天子亦宗事二氏之意]”라고 하였다. 이에 의거하여 ‘及’으로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역주10 昌言 : 公言(공공연히 말함)과 같다. 《五百家注昌黎文集》
역주11 時與吾悖 其聲嘵嘵 : 悖는 의견이 서로 어긋남이고, 嘵嘵는 논쟁하며 서로 반박하는 소리이다.
역주12 書於吾何有 : 책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韓文考異》
역주13 自吾得子路 而惡聲不入於耳 : 이 말은 《史記》 〈仲尼弟子列傳〉에 보인다. 《史記集解》에 “子路가 공자의 侍衛가 되었으므로, 공자를 업신여기는 자들이 감히 辱說을 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욕설이 공자의 귀에 들리지 않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역주14 絶糧於陳 : 《論語》 〈衛靈公〉에 “陳나라에 계실 때 食糧이 떨어져서 隨從하던 자들이 虛飢에 지쳐 일어나지 못하였다.[在陳絶糧 從者病 莫能興]”라는 말이 보인다. 《史記》 〈孔子世家〉에 의하면, 공자가 陳나라와 蔡나라 사이에 있을 때 楚王이 使者를 보내어 공자를 招聘하니, 陳‧蔡의 대부들은 楚나라가 공자를 등용하면 자기들에게 불리할 것으로 여겨, 下人들을 보내어 공자를 포위하여 초나라로 가지 못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식량이 떨어진 것이다.
역주15 畏於匡 : 《論語》 〈子罕〉에 “공자께서 匡邑에서 포위를 당하셨다.[子畏於匡]”는 말이 보인다. 《史記》 〈孔子世家〉에 의하면, 陽虎가 일찍이 匡人에게 포학한 짓을 한 적이 있었는데, 공자의 모습이 양호와 비슷하므로 공자가 광읍을 지나실 때 광인이 공자를 양호로 오인하여 5일 동안 억류하였다고 한다. 《論語正義》에는 ‘畏’자를 訓解하지 않고서 전체의 뜻을 뭉뚱그려 ‘匡人以兵圍之’라고 풀었다.
역주16 毁於叔孫 : 《論語》 〈子張〉에 “叔孫武叔이 仲尼를 헐뜯었다.[叔孫武叔毁仲尼]”는 말이 보인다.
역주17 奔走於齊魯宋衛之郊 : 孔子가 35세 때 魯나라를 떠나 齊나라로 갔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9년 만에 다시 노나라로 돌아오셨고, 56세 때 다시 노나라를 떠나 衛나라‧宋나라‧陳나라 등을 두루 돌아다니신 것을 이른다. 《史記》 〈孔子世家〉에 자세히 보인다.
역주18 流波漫 : 흐르는 물결이 넓다는 말로, 老佛의 세력이 널리 퍼졌음을 비유한 것이다.
역주19 未失也 : 때를 놓치지 않는다는 말로, 곧 늦지 않다는 뜻이다.
역주20 天不欲使玆人有知乎……非我其誰哉 : 玆人은 今人을 이른다. 하늘이 이 백성들에게 老佛의 虛荒됨을 알리고 싶어 하지 않는다면 내가 5, 60세의 壽命을 기약할 수 없지만, 하늘이 이 백성들에게 노불의 허황됨을 알리고 싶어 한다면 내가 아니고는 알려줄 사람이 없으니, 당연히 하늘이 나에게 5, 60세의 수명을 주어 책을 쓰게 할 것이라는 뜻이다.
역주21 必有在矣 : 반드시 있는 곳이 있다는 말로, 하늘이 결정한 바가 있을 것이라는 뜻이다.
역주22 何遽戚戚 : 何遽는 如何이고, 戚戚은 근심하고 두려워하는 모양이다.
역주23 {非好己之道勝也} : 《五百家注昌黎文集》에 “《新唐書》 〈張籍傳〉에 ‘非好己之道勝也’란 한 句가 있는데, 이는 옳지 않다.”고 하였다. 이에 의거하여 이 句를 衍文으로 처리하여 번역하지 않았다.
역주24 吾與回言終日 不違如愚 : 《論語》 〈爲政〉에 보인다. 不違를 何晏의 注에 따라 “孔子의 말씀에 대해 괴이하게 여겨 反問함이 없이 묵묵히 아는 것이 어리석은 사람 같았다.[無所怪問於孔子之言 黙而識之 如愚]”라고 해석하였다.
역주25 夫子猶有所戱 : 《論語》 〈陽貨〉에 보인다. 孔子가 子游가 邑宰로 있는 武城에 가서 거문고를 타며 詩歌를 부르는 소리를 듣고서 미소를 지으며 “닭을 잡는 데 무엇 때문에 소 잡는 칼을 사용하느냐?”라고 농담한 말을 이른다.
역주26 善戱謔兮 不爲虐兮 : 《詩經》 〈衛風 淇奧〉에 보이는데, 鄭玄의 箋에 “군자의 덕은 때로는 緊張하고 때로는 弛緩한다. 그러므로 항상 嚴肅하게 공경하는 모습만을 짓지 않고 때로는 戱謔하기도 한다.”고 하였다. ‘不爲虐’은 긴장과 이완이 적절함이니, 곧 지나치지 않음이다.
역주27 張而不弛 文武不能 : 《禮記》 〈雜記 下〉에 보이는데, 그 疏에 의하면 이는 孔子가 백성을 활[弓]에 비유한 것이다. 張은 활에 시위를 거는 것이고, 弛는 시위를 벗기는 것이다. 原義는 ‘활에 시위를 오래 걸어두고 벗기지 않으면 활줄의 힘이 떨어지듯이, 백성을 오랫동안 근로시키고 休息시키지 않으면 백성의 힘이 줄어든다. 그러므로 비록 文王과 武王이라 해도 훌륭한 정치를 할 수 없다.’는 뜻인데, 韓愈는 항상 緊張(엄숙하게 공경하는 모습을 지음)하고 弛緩(긴장을 풂)하지 않는 것은 문왕과 무왕도 할 수 없었다는 뜻으로 인용하였다.

당송팔대가문초 한유(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