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韓愈(3)

당송팔대가문초 한유(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한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一篇交誼之情이라
唐元和九年歲在甲午八月己亥 貞曜先生孟氏卒하니라 無子하야 其配鄭氏以告하니라
愈走하고 且召張籍會哭하니라 明日 使以錢如東都하야 供葬事하니라 諸嘗與往來者 咸來哭弔韓氏하니라
遂以書告興元尹故相餘慶하니라 閏月 하니라
愈哭曰 嗚呼 吾尙忍銘吾友也夫 興元人以幣如孟氏賻하고 且來商家事하니라
樊子使來速銘曰 不則無以掩諸幽라하야늘 乃序而銘之하니라
先生諱郊 字東野 父廷玢 娶裴氏女하고 而選爲崑山尉하며 生先生及二季酆郢而卒하니라
先生生六七年 하고 長而愈하야 하고 內外完好하야 하야 可畏而親이라
及其爲詩하야는 하여 하며 하야 間見層出이라
唯其하고하야 人皆이나 我獨
年幾五十 始以尊夫人之命으로 來集京師하야 從進士試하고 旣得 卽去하니라
間四年 又命來하야 選爲溧陽尉하야 迎侍溧上하니라
去尉二年 而故相鄭公尹河南 奏爲水陸運從事協律郞하고 親拜其母於門內하니라
母卒五年 而鄭公以節領興元軍 奏爲其軍參謀試大理評事하니라
挈其妻行之興元타가 次於閿鄕 暴疾卒하니 年六十四 買棺以斂하고 以二人輿歸하니라
酆郢皆在江南하니라 十月庚申 樊子合凡贈賻하야 而葬之洛陽東其先人墓左하고 以餘財附其家而供祀하니라
將葬 張籍曰 先生 於古有光이라 이온 況士哉
하야 不待講說而明이라 皆曰 然이라하야늘 遂用之하니라
先生所與俱學同姓簡 於世次爲叔父 由給事中觀察浙東하니라 曰 生吾不能擧하니 死吾知恤其家리라 銘曰
於戲貞曜
維執不猗하고
維出不訾로다
維卒不施
以昌其詩리라
按孟東野是昌黎生平極厚交 而其志銘處亦不妄許一字


13. 貞曜先生墓誌銘
全篇이 모두 友誼交情을 서술하였다.
나라 元和 9년(814), 歲在 甲午 8월 己亥日貞曜先生 孟氏하였다. 자식이 없어서 그 夫人 鄭氏訃告를 보내왔다.
孟郊孟郊
나는 〈나의 집에〉 靈位를 설치하고 달려가서 弔哭하고, 또 張籍을 불러 함께 弔哭하였다. 다음날 사람을 시켜 돈을 가지고 東都로 가서 葬事에 필요한 물자를 마련하게 하였다. 일찍이 선생과 왕래하던 벗들이 모두 나의 집으로 와서 弔哭하였다.
나는 드디어 興元府尹으로 있는 전 재상 鄭餘慶에게 편지를 보내어 선생의 사망을 알렸다. 閏月樊宗師가 사람을 보내어 조곡하고, 선생의 葬日을 알려주면서 나에게 墓誌銘을 지으라고 요구하였다.
나는 곡하면서 “아! 내 어찌 차마 내 벗의 묘지명을 지을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興元 사람이 錢財를 가지고 孟家의 집에 가서 喪事를 돕고, 또 와서 맹씨의 家事를 상의하였다.
樊宗師가 사람을 보내어 묘지명을 재촉하며 말하기를 “〈지금〉 묘지명을 지어 보내지 않으면 묘지명을 무덤에 묻을 방법이 없다.”라고 하기에, 사실을 서술하여 이 묘지명을 짓는다.
先生이고 東野이다. 父親 廷玢裴氏의 따님을 아내로 맞이하였고, 崑山縣尉選任되었으며, 先生과 두 동생 을 낳고서 서거하셨다.
선생은 6, 7세 때에 이미 頭角을 드러냈고, 장성해서는 더욱 뛰어났다. 학식이 해박하고 사리에 정통하였으며 內面의 수양과 外面處事가 완벽하여 容色이 화평하고 神氣嚴峻하여 두려워할 만하고 친애할 만하였다.
그가 를 지음에 미쳐서는 온갖 심혈을 기울여 통달하고 유창하였으며 복잡한 章法과 독특한 詩句心肝에서 뽑아내어 귀신이 지은 것 같은 아름다운 詩句가 연거푸 나왔다.
그러나 선생은 문학에만 정력을 쏟고 세속의 榮辱에는 무관심하여, 사람들은 모두 名利에 급급하였으나 오직 선생만은 여유롭게 스스로의 생활에 만족하였다.
어떤 사람이 시대에 뒤떨어진다고 선생을 깨우치자, 선생은 “내 이미 일체의 名利를 밀어내어 남들에게 주었으니, 어찌 도리어 그리워할 가치가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선생은 거의 50이 되어서 비로소 모친의 명으로 京師로 와서 進士試에 응시하였고, 進士에 급제한 뒤에는 즉시 京師를 떠났다.
4년이 지난 뒤에 또 모친의 명을 받들고 와서 선발되어 溧陽縣尉가 되어서는 溧水 가에 거주하며 모친을 봉양하였다.
溧陽縣尉에서 물러난 2년 뒤에 전임 宰相 鄭公(鄭餘慶)이 河南府尹이 되자, 조정에 奏請해 선생을 水陸轉運從事 試協律郞으로 삼고서, 직접 선생의 집을 방문하여 그 모친께 拜謁하였다.
모친이 사망한 5년 뒤에 鄭公符節을 가지고 興元軍領率하게 되자, 조정에 주청해 선생을 興元軍參謀 試大理評事로 삼았다.
선생은 아내를 데리고 興元으로 가다가 閿鄕에서 머물던 중에 갑자기 병이 나서 사망하니, 향년이 64세였다. 買入大斂한 뒤에 두 사람을 시켜 수레로 運柩洛陽으로 돌아가게 하였다.
이때 선생의 두 아우인 孟酆孟郢은 모두 江南에 있었다. 10월 庚申日樊宗師가 부조로 들어온 재물을 모두 모아, 선생을 낙양 동쪽에 있는 先人의 무덤 왼쪽에 장사 지내고, 남은 재물은 선생의 가족에게 내어주어 제사를 받드는 데 쓰게 하였다.
장사 지내려 할 적에 張籍이 “선생은 덕행을 수립하고 文風을 진작시킨 찬란한 빛이 古人에 못지않다. 故事賢者易名하는 가 있었는데, 하물며 〈도덕과 문장을 겸비한〉 선비이겠는가?
만약 ‘貞曜先生’이라 한다면 〈‘貞曜’라는 글자에〉 姓字名字德行이 모두 실려 있어 설명하지 않아도 분명해질 것이다.”라고 하니, 모두 “그렇다.”고 하기에 마침내 〈‘貞曜’를 선생의 諡號로〉 쓰기로 하였다.
당초에 선생과 함께 배우던 사람 중에 이 같은 孟簡이 있었는데, 항렬에 있어 叔父가 된다. 給事中을 거쳐 浙東觀察使로 나가 있었는데, 〈선생의 사망 소식을 듣고〉 말하기를 “생전에는 내 천거하지 못했으나 사후에는 내 그 가족을 돌볼 것이다.”라고 하였다. 은 다음과 같다.
貞曜先生이시여
지조 지켜 남에게 의지하지 않으셨고
걸출한 재능 적지 않으셨네
끝내 시행하지 못하셨으나
詩歌는 성대하게 칭송되리라
살펴보건대 孟東野는 바로 昌黎의 평소 지극히 친한 벗이었으나, 그의 을 지음에는 한 글자도 함부로 허여한 것이 없다.


역주
역주1 貞曜先生墓誌銘 : 이 墓誌銘은 元和 9년(814)에 지은 것이다. 貞曜先生은 韓愈의 벗 孟郊(751~814)의 私諡이다.
역주2 : 孟郊의 靈位이다. 元和 9년(814)에 興元府尹 鄭餘慶의 초빙을 받고 興元府尹의 참모로 가던 孟郊가 閿鄕(문향)에 당도해 急病으로 사망하니, 鄭餘慶이 그 靈柩를 東都로 運柩해 安葬하였다. 이때 韓愈는 長安에서 관직을 맡고 있었으므로 洛陽으로 가서 葬禮에 참가할 방법이 없었다. 그래서 자기 집에 맹교의 靈位를 설치하고서 弔哭한 것이다.
역주3 樊宗師使來弔……徵銘 : 樊宗師가 한유에게 사람을 보내어 孟郊의 葬日을 알리고 墓誌銘을 지으라고 요구한 것이다. 樊宗師도 한유와 함께 맹교의 친한 벗이다. 번종사는 이때 낙양에서 맹교의 喪葬을 돌봤다.
역주4 端序則見 : 端은 端緖이고, 序는 開端(시작)이다. 端緖는 頭緖의 뜻이니 “端序則見”은 처음 頭角을 드러냄이다.
역주5 : 날아오르는 모양이니, 바로 ‘拔群’의 뜻이다.
역주6 涵而揉之 : 涵은 含이니 일체를 포함함이다. 여기에서는 學識이 廣博하다는 뜻이다. 揉는 비비고 문지름이니, 融會貫通(모든 사리를 자세히 이해함)의 뜻이다.
역주7 色夷氣淸 : 夷는 화평함이고, 淸은 淸峻(엄준)함이니, 엄준하기 때문에 경외할 만하고 화평하기 때문에 친애할 만한 것이다.
역주8 劌(귀)目鉥心 : 劌는 칼날로 생채기를 냄이고, 鉥은 침으로 찌름이다. 후인들이 말하는 ‘嘔心滴血’과 같은 말로, 시를 구상하느라 심혈을 기울이는 것을 이른다.
역주9 刃迎縷解 : 刃迎은 대나무를 쪼갤 때에 몇 마디를 쪼갠 뒤에는 칼날만 대도 쪼개진다는 “迎刃而解”라는 말이고, 縷解는 타래실을 풂이니, 이는 통달하고 유창한 것을 말한 것이다.
역주10 鉤章棘句 : 고심하여 글자를 골라 시구를 지어 章法이 曲折(복잡)하고 造句가 기발하다는 말이다.
역주11 搯擢胃腎 : 搯는 뽑아냄이고, 擢은 끌어냄이니, 곧 詩語를 心肝에서 뽑아낸다는 말이다.
역주12 神施鬼設 : 그의 詩가 神妙하여 사람이 지은 것 같지 않다는 말이다.
역주13 大翫於詞 : 翫은 玩과 같으니 硏究檢討함이다.
역주14 與世抺摋 : 抺摋은 抹殺과 같으니, 世人들이 추구하는 名利에 대해서는 모두 말소하고 냉담하게 대하여 전혀 관심이 없음이다.
역주15 劫劫 : 汲汲과 같다.
역주16 有餘 : 여유롭게 지내면서 스스로 만족해함이다.
역주17 有以後時開先生者 : 시대에 뒤쳐진다는 것으로 선생을 깨우치는 자가 있었다는 말이다.
역주18 吾旣擠而與之 : 내 이미 세상의 영욕을 모두 배제해 남에게 주었다는 말이다.
역주19 其猶足存邪(야) : 어찌[其] 도리어 懷念[存]할 가치가 있겠느냐는 말이다. 懷念은 그리워함이다.
역주20 : 唐나라 제도에 정식으로 임명을 받지 않고 임시로 어떤 관직을 맡는 것을 ‘試’라 하였다.
역주21 揭德振華 : 揭德은 德을 수립함이다. 華는 文采이니, 振華는 孟郊가 홀로 文壇에 깃발을 꽂고서 文風을 진작시킨 것을 가리킨다.
역주22 賢者故事有易名 : 故事는 先例이다. 易名은 본래 賜諡를 이른다. 古代에는 王公이나 大人의 死後에는 모두 諡號를 올렸다. 시호를 올린 뒤에는 시호를 칭하고 이름을 칭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易名’이라 한다. 賢士가 죽으면 비록 생전에 벼슬이 없었다 해도 그 家屬이나 門人들이 諡號를 지어 올리는 例가 있었다. 孟郊는 微官이어서 나라에서 내리는 시호를 받을 수 있는 신분이 아니었으니, ‘貞曜’는 私諡이다.
역주23 如曰貞曜先生 則姓名字行有載 : 貞은 堅貞의 뜻이고, 曜는 光耀의 뜻이니, 孟郊의 德行을 표현하기에 충분하다. ‘貞曜’라는 두 글자 속에 ‘堅貞’‧‘光耀’‧‘德行’의 뜻이 모두 실려 있다는 말이다.

당송팔대가문초 한유(3)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