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孟子集註

맹자집주

범례 |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맹자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 萬章 問曰 象 日以殺舜爲事ㅣ어 立爲天子(샨) 則放之 何也ㅣ잇고(잇고) 孟子 曰 封之也ㅣ어시 或曰放焉이라니라
集註
猶置也 置之於此여 使不得去也 萬章 疑舜何不誅之오한대 孟子言 舜實封之어시늘 而或者誤以爲放也라하시니라
萬章[이] 曰 舜 流共工于幽州시고(시며) 放驩兜于崇山시고(시며) 殺三苗于三危시고(시며) 殛鯀于羽山샤 四罪[신대] 而天下[ㅣ] 咸服(은) 誅不仁也ㅣ니(ㅣ시니) 至不仁이어 封之有庳시니 有庳之人(은) 奚罪焉 仁人 固如是乎ㅣ잇가(아) 在他人則誅之고 在弟則封之온여 曰 仁人之於弟也 不藏怒焉며 不宿怨焉이오 親愛之而已矣 親之란(댄) 欲其貴也ㅣ오 愛之란(댄) 欲其富也ㅣ니 封之有庳 富貴之也ㅣ시니 身爲天子ㅣ오 弟爲匹夫ㅣ면 可謂親愛之乎
集註
徙也 共工 官名이요 驩兜 人名이니 二人比周여 相與爲黨니라 三苗 國名이니 負固不服니라 殺其君也 誅也 禹父名이니 方命圮族고 治水無功니 皆不仁之人也 幽州, 崇山, 三危, 羽山, 有庳 皆地名也 或曰 今道州鼻亭 卽有庳之地也라하니 未知是否 萬章 疑舜不當封象이니 使彼有庳之民으로 無罪而遭象之虐 非仁人之心也 藏怒 謂藏匿其怒 宿怨 謂留蓄其怨이라
敢問 或曰放者 何謂也ㅣ잇고(잇고) 曰 象 不得有爲於其國고(이오) 天子 使吏[로] 治其國而納其貢稅焉니(이라)[로] 謂之放이니(이라니) 豈得暴彼民哉리오 雖然[이나] 欲常常而見之(샤)[로] 源源而來니(케시니) 不及貢야 以政接于有庳라니 此之謂也ㅣ니라
集註
孟子言 象雖封爲有庳之君이나이나 不得治其國이요 天子使吏代之治고 而納其所收之貢稅於象니 有似於放이라 或者以爲放也 蓋象至不仁니 處之如此 則旣不失吾親愛之心이요 而彼亦不得虐有庳之民也 源源 若水之相繼也 謂來朝覲也 不及貢以政接于有庳 謂不待及諸侯朝貢之期고 而以政事 接見有庳之君이니 蓋古書之辭 而孟子引以證源源而來之意여 見其親愛之無已 如此也시니라○ 吳氏曰 言 聖人 不以公義廢私恩고 亦不以私恩害公義시니 舜之於象 仁之至 義之盡也시니라


3. 만장이 여쭈었다. “상이 날마다 순을 죽이려는 것을 일삼았는데, 순이 즉위하여 천자(天子)가 된 뒤에 그를 죽이지 않고 추방한 것은 어째서입니까?”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상을 제후에 봉해주었는데, 어떤 사람들이 ‘추방했다.’고 하는 것이네.”
[James Legge] Wan Chang said, 'Hsiang made it his daily business to slay Shun. When Shun was made sovereign, how was it that he only banished him?' Mencius said, 'He raised him to be a prince. Some supposed that it was banishing him?'
“순임금께서 공공(共工)을 유주(幽州)에 유배 보내시고, 환두(驩兜)를 숭산(崇山)으로 추방하시고, 삼묘(三苗)의 군주를 삼위(三危)에서 죽이시고, 곤(鯀)을 우산(羽山)에서 죽이시어 네 사람을 처벌하시자, 천하가 모두 순임금에게 복종한 것은 불인(不仁)한 자를 처벌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상은 지극히 불인하였는데도 그를 유비(有庳) 땅에 봉해주셨으니, 유비의 백성들은 무슨 죄란 말입니까? 어진 사람도 진실로 이렇단 말입니까? 다른 사람인 경우에는 죽이고 동생인 경우에는 봉해주는군요.” “어진 사람은 동생을 대함에 노여움을 감추지 않고, 원망을 묵혀 두지 않으며, 그를 내 몸처럼 여기고 사랑할 뿐이네. 그를 내 몸처럼 여긴다면 그를 귀하게 해주고자 하고, 그를 사랑한다면 그를 부유하게 해주고자 한다네. 그러니 상을 유비에 봉하신 것은 그를 부유하고 귀하게 해주신 것일세. 자신은 천자가 되었으면서 아우는 평민이라면, 아우를 내 몸처럼 여기고 사랑한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James Legge] Wan Chang said, 'Shun banished the superintendent of works to Yû-châu; he sent away Hwan-tâu to the mountain Ch'ung; he slew the prince of San-miâo in San-wei; and he imprisoned Kwân on the mountain Yü. When the crimes of those four were thus punished, the whole kingdom acquiesced:-- it was a cutting off of men who were destitute of benevolence. But Hsiang was of all men the most destitute of benevolence, and Shun raised him to be the prince of Yû-pî;-- of what crimes had the people of Yû-pî been guilty? Does a benevolent man really act thus? In the case of other men, he cut them off; in the case of his brother, he raised him to be a prince.' Mencius replied, 'A benevolent man does not lay up anger, nor cherish resentment against his brother, but only regards him with affection and love. Regarding him with affection, he wishes him to be honourable: regarding him with love, he wishes him to be rich. The appointment of Hsiang to be the prince of Yû-pî was to enrich and ennoble him. If while Shun himself was sovereign, his brother had been a common man, could he have been said to regard him with affection and love?'
“감히 여쭙겠습니다. 어떤 사람들이 ‘순임금께서 상을 추방하셨다.’고 말하는 것은 어째서입니까?” “상이 그 나라를 다스릴 수 없었고, 천자가 관리를 시켜 그 나라를 다스리게 하고 그 세금만 상에게 바치게 하였네. 그러므로 ‘상을 추방하셨다.’고 하는 것이니, 상이 어찌 저 백성들에게 포악하게 할 수 있었겠는가? 그러나 항상 상을 만나보고 싶어 하셨으므로 끊임없이 오게 하셨으니, ‘조공(朝貢)할 시기가 되기 전에 정사(政事)로써 유비의 군주를 접견하셨다.’는 것이 바로 이것을 말한 것이네.”
[James Legge] Wan Chang said, 'I venture to ask what you mean by saying that some supposed that it was a banishing of Hsiang?' Mencius replied, 'Hsiang could do nothing in his State. The Son of Heaven appointed an officer to administer its government, and to pay over its revenues to him. This treatment of him led to its being said that he was banished. How indeed could he be allowed the means of oppressing the people? Nevertheless, Shun wished to be continually seeing him, and by this arrangement, he came incessantly to court, as is signified in that expression-- "He did not wait for the rendering of tribute, or affairs of government, to receive the prince of Yû-pî.



맹자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