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孟子集註

맹자집주

범례 |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맹자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1. 孟子[ㅣ] 曰 人皆有所不忍니 達之於其所忍이면 仁也ㅣ오 人皆有所不爲니 達之於其所爲 義也ㅣ니라(니라)
集註
惻隱羞惡之心 人皆有之 莫不有所不忍不爲니 仁義之端也이나 以氣質之偏 物欲之蔽 則於他事 或有不能者니 但推所能여 達之於所不能이면 則無非仁義矣니라
人能充無欲害人之心이면 而仁[을] 不可勝用也ㅣ며(ㅣ오) 人能充無穿踰之心이면 而義[] 不可勝用也ㅣ니라(니라)
集註
滿也 穿 穿穴이요 踰牆이니 皆爲盜之事也 能推〈其〉所不忍여 以達於所忍이면 則能滿其無欲害人之心여 而無不仁矣 能推其所不爲여 以達於所爲 則能滿其無穿踰之心여 而無不義矣니라
人能充無受爾汝之實이면 無所往而不爲義也ㅣ니라
集註
申說上文充無穿踰之心之意也 蓋爾汝 人所輕賤之稱이니 人雖或有所貪昧隱忍而甘受之者이나 其中心 必有慚忿而不肯受之之實니 人能卽此而推之여 使其充滿여 無所虧缺이면 則無適而非義矣니라
[ㅣ] 未可以言而言이면[] 以言餂之也ㅣ오 可以言而不言이면[] 以不言餂之也ㅣ니 是皆穿踰之類也ㅣ니라
集註
探取之也 今人 以舌取物曰餂이라하니 卽此意也 便佞, 隱黙 皆有意探取於人이니 是亦穿踰之類이나 其事隱微여 人所易忽이라 特擧以見例여 明必推無穿踰之心여 達於此而悉去之然後 爲能充其無穿踰之心也니라


31.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들은 모두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을 차마 하는 것에까지 확충시킨다면 그것이 인(仁)이다. 사람들은 모두 하지 않는 것이 있는데 그것을 하는 데에까지 확충시킨다면 그것이 의(義)이다.
[James Legge] Mencius said, 'All men have some things which they cannot bear;-- extend that feeling to what they can bear, and benevolence will be the result. All men have some things which they will not do;-- extend that feeling to the things which they do, and righteousness will be the result.
사람이 남을 해치려고 하지 않는 마음을 확충시킬 수 있다면 인을 이루 다 쓰지 못할 것이며, 사람이 담을 뚫거나 넘어가서 도둑질하지 않으려는 마음을 확충시킬 수 있다면 의를 이루 다 쓰지 못할 것이다.
[James Legge] 'If a man can give full development to the feeling which makes him shrink from injuring others, his benevolence will be more than can be called into practice. If he can give full development to the feeling which refuses to break through, or jump over, a wall, his righteousness will be more than can be called into practice.
사람이 ‘너’라고 무시하는 것을 당하고 싶지 않는 마음을 확충시킬 수 있다면 가는 곳마다 의가 아님이 없을 것이다.
[James Legge] 'If he can give full development to the real feeling of dislike with which he receives the salutation, "Thou," "Thou," he will act righteously in all places and circumstances.
선비가 말을 해서는 안 될 때에 말한다면 이는 말함으로써 이익을 낚으려는 것이고, 말을 해야 할 때에 말하지 않는다면 이는 말하지 않음으로써 이익을 낚으려는 것이니, 이는 모두 담을 뚫거나 넘어가서 남의 물건을 훔치는 것과 같은 종류이다.”
[James Legge] 'When a scholar speaks what he ought not to speak, by guile of speech seeking to gain some end; and when he does not speak what he ought to speak, by guile of silence seeking to gain some end;-- both these cases are of a piece with breaking through a neighbour's wall.'



맹자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