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孟子集註

맹자집주

범례 |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맹자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5. 齊宣王 問曰 人皆謂我毁明堂이라니 毁諸아(잇가) 已乎아(잇가)
集註
趙氏曰 明堂 泰山明堂이니 周天子東巡守朝諸侯之處라하니 漢時遺址尙在니라 人欲毁之者 蓋以天子不復巡守고 諸侯又不當居之也 王問 當毁之乎 且止乎
孟子 對曰 夫明堂者 王者之堂也ㅣ니 王欲行王政(이어시든) 則勿毁之矣쇼셔
集註
明堂 王者所居以出政令之所也 能行王政이면 則亦可以王矣 何必毁哉리오
王曰 王政 可得聞與잇가 對曰 昔者文王之治岐也 耕者[를] 九一며 仕者[를] 世祿며 關市[를] 譏而不征며 澤梁[을] 無禁며 罪人[을] 不孥더시니(ㅣ러시니) 老而無妻曰鰥이오 老而無夫曰寡ㅣ오 老而無子曰獨이오 幼而無父曰孤ㅣ니 此四者 天下之窮民而無告者ㅣ어늘(ㅣ라) 文王 發政施仁샤 必先斯四者시니(ㅣ러시니) 詩云 哿矣富人이어니와 哀此煢獨이라니이다
集註
周之舊國也 九一者 井田之制也 方一里爲一井이니 其田九百畝 中畫井字여 界爲九區여 一區之中 爲田百畝여 中百畝 爲公田고 外八百畝 爲私田여 八家各受私田百畝고 而同養公田니 是九分而稅其一也 世祿者 先王之世 仕者之子孫 皆敎之여 敎之而成材 則官之고 如不足用이어든 亦使之不失其祿니 蓋其先世嘗有功德於民이라 報之如此니 忠厚之至也 謂道路之關이요 謂都邑之市 察也 稅也 關市之吏 察異服異言之人고 而不征商賈之稅也 謂瀦水 謂魚梁이니 與民同利여 不設禁也 妻子也 惡惡 止其身이요 不及妻子也 先王養民之政 導其妻子여 使之養其老而恤其幼나니 不幸而有鰥寡孤獨之人여 無父母妻子之養이면 則尤宜憐恤이라 必以爲先也 小雅正月之篇이라 可也 困悴貌
王曰 善哉[라] 言乎ㅣ여 曰 王如善之(댄) 則何爲不行이니잇고(이시니잇고) 王曰 寡人이(은) 有疾호니 寡人(이) 好貨노이다 對曰 昔者[애] 公劉 好貨하더시니 詩云 乃積乃倉이어늘(이어) 乃裹餱糧을(호) 于橐于囊이오사(이오) 思戢用光야(샤) 弓矢斯張며 干戈戚揚으로 爰方啓行이라니[로] 居者 有積倉며 行者 有裹糧也(ㅣ라사) 然後[에] 可以爰方啓行이니 王如好貨ㅣ어시든 與百姓同之시면 於王[애] 何有ㅣ리잇고
集註
王自以爲好貨 取民無制여 而不能行此王政이라하니라 公劉 后稷之曾孫也 大雅公劉之篇이라 露積也 乾糧也 無底曰 橐이요 有底曰 囊이니 皆所以盛餱糧也 安集也 言思安集其民人여 以光大其國家也 斧也 鉞也 於也 啓行 言往遷于豳也 何有 言不難也 孟子言 公劉之民 富足如此니 公劉好貨而能推己之心여 以及民也 今王 好貨어시든 亦能如此 則其於王天下也 何難之有리오하시니라
王曰 寡人이(은) 有疾호니 寡人(이) 好色노이다 對曰 昔者[애] 大王 好色샤 愛厥妃더시니(러시니) 詩云 古公亶父 來朝走馬샤 率西水滸야(샤) 至于岐下야(샤) 爰及姜女 聿來胥宇ㅣ라니 當是時也야 內無怨女며 外無曠夫니(더니) 王如好色이어시든 與百姓同之시면 於王[애] 何有ㅣ리잇고
集註
王又言此者 好色이면 則心志蠱惑고 用度奢侈여 而不能行王政也 大王 公劉九世孫이라 大雅緜之篇也 古公 大王之本號 後乃追尊爲大王也 亶父 大王名也 來朝走馬 避狄人之難也 循也 水厓也 岐下 岐山之下也 姜女 大王之妃也 相也 居也 空也 無怨曠者 是大王好色而能推己之心여 以及民也 ○ 楊氏曰 孟子與人君言 皆所以擴充其善心여 而格其非心이요 不止就事論事시니 若使爲人臣者 論事 每如此 豈不能堯舜其君乎 愚謂 此篇 自首章至此 大意皆同니 蓋鍾鼓, 苑囿, 遊觀之樂 與夫好勇, 好貨, 好色之心 皆天理之所有 而人情之所不能無者이나 天理人欲 同行異情니 循理而公於天下者 聖賢之所以盡其性也 縱欲而私於一己者 衆人之所以滅其天也 二者之間 不能以髮이로되 而其是非得失之歸 相去遠矣 孟子因時君之問사 而剖析於幾微之際시니 皆所以遏人欲而存天理 其法似疏而實密고 其事似易而實難니 學者以身體之 則有以識其非曲學阿世之言이요 而知所以克己復禮之端矣리라


5. 제나라 선왕이 물었다. “사람들이 모두 나더러 천자가 제후들에게 조회받는 명당(明堂)을 부수라 하니, 부수어야 합니까? 부수지 말아야 합니까?”
[James Legge] The king Hsüan of Ch'î said, 'People all tell me to pull down and remove the Hall of Distinction. Shall I pull it down, or stop the movement for that object?'
맹자께서 대답하셨다. “명당이란 천자의 집이니, 왕께서 왕도정치를 행하고자 하신다면 부수지 마십시오.”
[James Legge] Mencius replied, 'The Hall of Distinction is a Hall appropriate to the sovereigns. If your Majesty wishes to practise the true royal government, then do not pull it down.'
“왕도정치에 대하여 들을 수 있겠습니까?” “옛날 문왕(文王)께서 기주(岐周)를 다스리실 때에 경작하는 자들에게는 9분의 1의 세금을 받으셨으며, 벼슬하는 자들에게는 대대로 녹(祿)을 주셨으며, 관문(關門)과 시장(市場)을 순찰하기만 하시고 세금을 징수하지 않으셨으며, 못에서 고기 잡는 것을 금하지 않으셨으며, 죄인을 처벌하시되 처자식에게까지 미치지 않게 하셨습니다. 늙고 아내가 없는 것을 ‘홀아비[鰥]’라 하고, 늙고 남편이 없는 것을 ‘과부[寡]’라 하고, 늙고 자식이 없는 것을 ‘무의탁자[獨]’라 하고, 어리고 부모가 없는 것을 ‘고아[孤]’라 하니, 이 네 부류는 세상에서 가장 곤궁한 백성으로서 하소연할 곳이 없는 자들입니다. 문왕은 선정(善政)을 펴고 인정(仁政)을 베푸시되, 반드시 이 네 부류의 사람들을 가장 먼저 배려하셨습니다. 《시경》 〈정월(正月)〉에 이르기를 ‘부자(富者)들은 괜찮지만 이 외롭고 고독한 사람들이 가엾다.’ 하였습니다.”
[언해] 王이 샤 王政을 可가히 시러곰 들으리잇가 對야 샤 녜 文문王이 岐기를 治티심애 耕者쟈를 九구애 一일을 며 仕者쟈를 世셰로 祿록며 關관과 市시를 譏긔고 征티 아니며 澤과 梁량을 禁금홈이 업며 罪죄人을 孥노티 아니더시니 老로고 妻쳐 업슨 이 온 鰥환이오 老로고 夫부 업슨 이 온 寡과ㅣ오 老로고 子 업슨 이 온 獨독이오 幼유고 父부 업슨 이 온 孤고ㅣ니 이 四者쟈 天텬下하의 窮궁民민이오 告고  업 者쟈ㅣ어늘 文문王이 政을 發발며 仁을 施시샤 반시 이 四者쟈애 몬져 시니 詩시예 닐오 哿가 이 富부人이어니와 이 煢獨독이 哀홉다 니이다
[James Legge] The king said, 'May I hear from you what the true royal government is?' 'Formerly,' was the reply, 'king Wan's government of Ch'î was as follows:-- The husbandmen cultivated for the government one-ninth of the land; the descendants of officers were salaried; at the passes and in the markets, strangers were inspected, but goods were not taxed: there were no prohibitions respecting the ponds and weirs; the wives and children of criminals were not involved in their guilt. There were the old and wifeless, or widowers; the old and husbandless, or widows; the old and childless, or solitaries ; the young and fatherless, or orphans:-- these four classes are the most destitute of the people, and have none to whom they can tell their wants, and king Wan, in the institution of his government with its benevolent action, made them the first objects of his regard, as it is said in the Book of Poetry,

"The rich may get through life well;
But alas! for the miserable and solitary!"'
“선생의 말씀이 매우 좋습니다.” “왕께서 만일 좋게 여기신다면 어찌하여 행하시지 않습니까?” “과인은 병통이 있으니, 과인은 재물(財物)을 좋아합니다.” “옛적에 후직(后稷)의 증손(曾孫)인 공유(公劉)가 재물을 좋아하였는데, 《시경》 〈공유(公劉)〉에 이르기를 ‘집에 남아 있는 자들을 위해서는 양식을 노적가리에 쌓고 창고에 쌓으며, 길을 떠나는 자들을 위해서는 마른 양식을 싸되 전대에다 넣고 자루에다 넣고서 백성을 편안히 하여 이로써 나라를 빛낼 것을 생각하여, 활과 화살을 준비하며 창과 방패와 도끼를 갖추고서 이에 새 도읍을 개척하러 비로소 길을 떠났다.’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집에 남아 있는 자들에게는 노적가리와 창고에 쌓아놓은 양식이 있으며, 길을 떠나는 자들에게는 전대와 자루에 싼 양식이 있은 뒤에야 이에 비로소 길을 떠날 수 있었습니다. 왕께서 만일 재물을 좋아하시면 백성과 함께하소서. 그렇게 하신다면 왕도정치를 하는 데 무슨 어려움이 있겠습니까?”
[James Legge] The king said, 'O excellent words!' Mencius said, 'Since your Majesty deems them excellent, why do you not practise them?' 'I have an infirmity,' said the king; 'I am fond of wealth.' The reply was, 'Formerly, Kung-lîu was fond of wealth. It is said in the Book of Poetry,

"He reared his ricks, and filled his granaries,
He tied up dried provisions and grain,
In bottomless bags, and sacks,
That he might gather his people together, and glorify his State.
With bows and arrows all-displayed,
With shields, and spears, and battle-axes, large and small,
He commenced his march."

In this way those who remained in their old seat had their ricks and granaries, and those who marched had their bags of provisions. It was not till after this that he thought he could begin his march. If your Majesty loves wealth, give the people power to gratify the same feeling, and what difficulty will there be in your attaining the royal sway?'
“과인은 병통이 있으니, 여색(女色)을 좋아합니다.” “옛적에 공유의 9세손인 태왕(太王)께서 여색을 좋아하시어 왕비를 사랑하셨습니다. 《시경》 〈면(綿)〉에 이르기를 ‘고공단보(古公亶父)가 아침에 말을 달려 서쪽 물가를 따라 기산(岐山) 아래에 이르러서 이에 부인인 강녀(姜女)와 함께 와서 집터를 보았다.’ 하였는데, 이때를 당하여 안으로는 원망하는 여자가 없었으며 밖으로는 홀아비가 없었습니다. 왕께서 만일 여색을 좋아하시면 백성과 함께하소서. 그렇게 하신다면 왕도정치를 하는 데 무슨 어려움이 있겠습니까?” 고공(古公)은 태왕(太王)의 본래 칭호인데 주(周)나라가 건립된 뒤에 태왕으로 추존되었으며, 단보(亶父)는 태왕의 이름이다.
[James Legge] The king said, 'I have an infirmity; I am fond of beauty.' The reply was, 'Formerly, king T'âi was fond of beauty, and loved his wife. It is said in the Book of Poetry,

"Kû-kung T'an-fû
Came in the morning, galloping his horse,
By the banks of the western waters,
As far as the foot of Ch'î hill,
Along with the lady of Chiang;
They came and together chose the site for their settlement."

At that time, in the seclusion of the house, there were no dissatisfied women, and abroad, there were no unmarried men. If your Majesty loves beauty, let the people be able to gratify the same feeling, and what difficulty will there be in your attaining the royal sway?'


동영상 재생
1 5. 제선왕이 문왈 … 527

맹자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