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孟子集註

맹자집주

범례 |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맹자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1. 孟子[ㅣ] 曰 廣土衆民 君子[ㅣ] 欲之 所樂(은) 不存焉이니라(고)
集註
地闢民聚여 澤可遠施 君子欲之이나 未足以爲樂也
中天下而立야 定四海之民 君子[ㅣ] 樂之 所性 不存焉이니라(니)
集註
其道大行여 無一夫不被其澤이라 君子樂之이나 其所得於天者 則不在是也니라
君子所性 雖大行[이나] 不加焉이며(며) 雖窮居[ㅣ나] 不損焉이니 分定故也ㅣ니라
集註
分者 所得於天之全體 不以窮達而有異니라
君子所性 仁義禮智 根於心이라(야) 其生色也 睟然見於面[며] 盎於背며 施於四體야 四體 不言而喩ㅣ니라
集註
上言所性之分 與所欲所樂不同고 此乃言其蘊也 仁義禮智 性之四德也 本也 發見 睟然 淸和潤澤之貌 豐厚盈溢之意 施於四體 謂見於動作威儀之間也 曉也 四體不言而喩 言四體不待吾言而自能曉吾意也 蓋氣稟淸明여 無物欲之累면 則性之四德 根本於心니 其積之盛이면 則發而著見於外者 不待言而無不順也니라 程子曰 睟面盎背 皆積盛致然이니 四體不言而喩 惟有德者能之니라○ 此章 言 君子固欲其道之大行이나이나 其所得於天者 則不以是而有所加損也니라


21.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토지를 넓히고 백성을 많게 하는 것[廣土衆民]을 군자가 바라지만 즐거워하는 것은 거기에 있지 않다.
[언해] 孟子ㅣ 샤 土토ㅣ 廣며 民민이 衆홈을 君군子ㅣ 欲욕나 樂락 바 存존티 아니니라 天텬下하애 中야 立립야 四海ㅅ 민을 욤을 君군子ㅣ 樂락나 性셩인 바 存존티 아니니라
[James Legge] Mencius said, 'Wide territory and a numerous people are desired by the superior man, but what he delights in is not here.
천하의 한가운데에 서서 온 천하 백성을 안정시키는 것을 군자가 즐거워하지만 본성(本性)으로 여기는 것은 거기에 있지 않다.
[James Legge] 'To stand in the centre of the kingdom, and tranquillize the people within the four seas;-- the superior man delights in this, but the highest enjoyment of his nature is not here.
군자가 본성으로 여기는 것은 비록 자신의 도가 세상에 크게 행해지더라도 더 늘어나지 않고, 비록 곤궁하게 지내더라도 더 줄어들지 않으니, 분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언해] 君군子의 性셩인 바 비록 키 行나 加가티 아니며 비록 窮궁히 居거나 損손티 아니니 分분이 定 고ㅣ니라
[James Legge] What belongs by his nature to the superior man cannot be increased by the largeness of his sphere of action, nor diminished by his dwelling in poverty and retirement;-- for this reason that it is determinately apportioned to him by Heaven.
군자가 본성으로 여기는 것은 인의예지(仁義禮智)가 마음속에 뿌리박고 있어서 그것이 밖으로 드러난 것이, 환하고 깨끗하게 얼굴에 나타나고 등에 가득하며 사지(四肢)에 퍼져서 굳이 말하지 않아도 사지가 스스로 알게 되는 것이다.”
[언해] 君군子의 性인 바 仁과 義의와 禮례와 智디ㅣ 心심에 根근얀디라 그 生애 生욤이 睟슈히 面면에 見현며 背예 盎며 四體톄예 施시야 四體톄ㅣ 言언티 아니야셔 喩유니라
[James Legge] 'What belongs by his nature to the superior man are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knowledge. These are rooted in his heart; their growth and manifestation are a mild harmony appearing in the countenance, a rich fullness in the back, and the character imparted to the four limbs. Those limbs understand to arrange themselves, without being told.'



맹자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