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孟子集註

맹자집주

범례 |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맹자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2. 公孫丑[ㅣ] 曰 詩曰 不素餐兮라니 君子之不耕而食 何也잇고 孟子[ㅣ] 曰 君子 居是國也 其君[이] 用之(면) 則安富尊榮고 其子弟[ㅣ] 從之(면) 則孝弟忠信니 不素餐兮 孰大於是리오
集註
魏國風伐檀之篇이라 空也 無功而食祿 謂之素餐이라 與告陳相彭更之意同이라


32. 공손추가 말하였다. “《시경》 〈벌단(伐檀)〉에 이르기를 ‘공밥을 먹지 않는다.’ 하였는데, 군자(君子)가 농사짓지 않고 먹는 것은 어째서 입니까?”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가 어떤 나라에 있을 경우 그 나라 임금이 그를 등용하면, 나라가 편안하고 부유해지고 권위가 높아지고 영화로우며, 자제(子弟)들이 그를 따르면 효도하고 공손하며 충성스럽고 미덥게 될 것이니, 공밥을 먹지 않는 것 중에 무엇이 이보다 더 크겠는가?”
[James Legge] Kung-sun Ch'âu said, 'It is said, in the Book of Poetry,

"He will not eat the bread of idleness!"

How is it that we see superior men eating without labouring?' Mencius replied, 'When a superior man resides in a country, if its sovereign employ his counsels, he comes to tranquillity, wealth and glory. If the young in it follow his instructions, they become filial, obedient to their elders, true-hearted, and faithful. What greater example can there be than this of not eating the bread of idleness?'



맹자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