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孟子集註

맹자집주

범례 |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맹자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6. 萬章[이] 曰 士之不託諸侯 何也ㅣ잇고(잇고) 孟子[ㅣ] 曰 不敢也ㅣ니라(ㅣ니) 諸侯 失國而後[에] 託於諸侯 禮也ㅣ오 士之託於諸侯 非禮也ㅣ니라
集註
寄也 謂不仕而食其祿也 古者 諸侯出奔他國여 食其廩餼 謂之寄公이라 士無爵土여 不得比諸侯니 不仕而食祿이면 則非禮也니라
萬章[이] 曰 君 餽之粟(면) 則受之乎ㅣ잇가(잇가) 曰 受之니라 受之 何義也ㅣ잇고(잇고) 曰 君之於氓也 固周之니라
集註
救也 視其空乏이면 則周卹之 無常數니 君待民之禮也
曰 周之則受고 賜之則不受 何也ㅣ잇고(잇고) 曰 不敢也ㅣ니라 曰 敢問其不敢 何也ㅣ잇고(잇고) 曰 抱關擊柝者 皆有常職야 以食於上니 無常職而賜於上者 以爲不恭也ㅣ니라
集註
謂予之祿 有常數니 君所以待臣之禮也
曰 君 餽之則受之라시니(댄) 不識[게이다] 可常繼乎ㅣ잇가(잇가) 曰 繆公之於子思也 시고(시며) 亟餽鼎肉이어시늘(이어시) 子思 不悅샤 於卒也 摽使者[야] 出諸大門之外시고 北面稽首再拜而不受曰 今而後[애] 知君之犬馬畜伋이라시니 蓋自是[로] 臺無餽也니 悅賢不能擧ㅣ오 又不能養也ㅣ면 可謂悅賢乎
集註
鼎肉 熟肉也 末也 麾也 數以君命來餽 當拜受之 非養賢之禮 不悅而於其末後復來餽時 麾使者出고 拜而辭之시니라 犬馬畜伋 言不以人禮待己也 賤官이니 主使令者 蓋繆公愧悟여 自此 不復令臺來致餽也 用也 能養者 未必能用이어든 況又不能養乎
曰 敢問 國君 欲養君子댄 如何ㅣ라(ㅣ라사) 斯可謂養矣리잇고 曰 以君命將之어든(야) 再拜稽首而受니(ㅣ어든) 其後 廩人[이] 繼粟며 庖人[이] 繼肉야(호) 不以君命將之 子思 以爲 鼎肉 使己僕僕爾亟拜也ㅣ라(ㅣ) 非養君子之道也ㅣ라시니라
集註
初以君命來餽 則當拜受 其後 有司各以其職으로 繼續所無 不以君命來餽여 不使賢者有亟拜之勞也 僕僕 煩猥貌
堯之於舜也 使其子九男[으로] 事之며(시며) 二女[로] 女焉시고(시며) 百官牛羊倉廩[을]야 以養舜於畎畝之中이러시니(이라가)[에] 擧而加諸上位시니[로] 曰王公之尊賢者也ㅣ니라(ㅣ라노라)
集註
能養, 能擧 悅賢之至也 惟堯舜 爲能盡之시니 而後世之所當法也니라


6. 만장이 말하였다. “선비가 제후에게 몸을 의탁하지 않음은 어째서입니까?”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감히 하지 못하는 것이네. 제후가 나라를 잃은 뒤에 제후에게 몸을 의탁하는 것은 예(禮)이지만, 선비가 제후에게 몸을 의탁하는 것은 예가 아닐세.”
[James Legge] Wan Chang said, 'What is the reason that a scholar does not accept a stated support from a prince?' Mencius replied, 'He does not presume to do so. When a prince loses his State, and then accepts a stated support from another prince, this is in accordance with propriety. But for a scholar to accept such support from any of the princes is not in accordance with propriety.'
“임금이 곡식을 주면 그것을 받습니까?” “받는다네.” “받는 것은 무슨 도리입니까?” “임금은 본래 백성을 구휼(救恤)해주게 되어 있기 때문이네.”
[James Legge] Wan Chang said, 'If the prince send him a present of grain, for instance, does he accept it?' 'He accepts it,' answered Mencius. 'On what principle of righteousness does he accept it?' 'Why-- the prince ought to assist the people in their necessities.'
“군주가 구휼해주면 받고 녹을 주면 받지 않는 것은 어째서입니까?” “감히 하지 못하는 것이네.” “감히 여쭙겠습니다. 감히 하지 못하는 것은 어째서입니까?” “관문을 지키는 문지기와 목탁(木柝)을 치는 야경꾼들도 다 일정한 직책이 있어서 윗사람에게 녹을 얻어먹으니, 일정한 직책이 없으면서 윗사람에게 하사받는 것을 불공(不恭)하다고 여기기 때문이네.”
[James Legge] Chang pursued, 'Why is it that the scholar will thus accept the prince's help, but will not accept his pay?' The answer was, 'He does not presume to do so.' 'I venture to ask why he does not presume to do so.' 'Even the keepers of the gates, with their watchmen's sticks, have their regular offices for which they can take their support from the prince. He who without a regular office should receive the pay of the prince must be deemed disrespectful.'
“임금이 구휼해주면 받는다 하셨는데, 계속해서 받아도 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노(魯)나라 목공(繆公)이 자사(子思)를 대함에 자주 문안하고 자주 삶은 고기를 보내주자, 임금의 명을 받은 하인이 물건을 가져다주면 매번 절을 하고 받아야 하는데, 이는 현자를 대우하는 예가 아니므로 자사께서 기뻐하지 않으셨네. 그리하여 마지막에는 심부름 온 자를 손을 저으면서 대문 밖으로 내보내시고, 임금이 계신 북쪽을 향해 머리를 조아려 두 번 절하시고 보내온 물건을 받지 않고는 말씀하시기를 ‘지금에야 임금이 나를 개나 말처럼 기른다는 것을 알았다.’ 하셨는데, 이 뒤로는 임금의 명을 받은 하인들이 물건을 가져온 일이 없었네. 현자를 좋아하면서 등용하지 못하고 또 제대로 봉양하지도 못한다면, 현자를 좋아한다고 이를 수 있겠는가?”
[James Legge] Chang asked, 'If the prince sends a scholar a present, he accepts it;-- I do not know whether this present may be constantly repeated.' Mencius answered, 'There was the conduct of the duke Mû to Tsze-sze-- He made frequent inquiries after Tsze-sze's health, and sent him frequent presents of cooked meat. Tsze-sze was displeased; and at length, having motioned to the messenger to go outside the great door, he bowed his head to the ground with his face to the north, did obeisance twice, and declined the gift, saying, "From this time forth I shall know that the prince supports me as a dog or a horse." And so from that time a servant was no more sent with the presents. When a prince professes to be pleased with a man of talents and virtue, and can neither promote him to office, nor support him in the proper way, can he be said to be pleased with him?
“감히 여쭙겠습니다. 한 나라의 임금이 군자를 봉양하고자 할 경우에 어떻게 해야 제대로 봉양한다고 이릅니까?” “임금의 명을 받고 하인이 물건을 가져오거든, 신하가 두 번 절하고 머리를 조아리며 받는다네. 그렇게 한 뒤에 창고지기는 곡식을 계속 대주며, 푸줏간 사람은 고기를 계속 대주지만 담당관리들이 맡은 바 직책에 따라 없는 것을 계속 대주지, 임금의 명에 의하여 물건을 가지고 오지는 않는다네. 그러나 자사의 경우는 계속해서 임금의 명이라며 삶은 고기를 보내와서 매번 절해야 하므로, 삶은 고기가 자기로 하여금 번거롭게 자주 절하게 만드니 군자를 봉양하는 예가 아니라고 여기신 것이네.
[James Legge] Chang said, 'I venture to ask how the sovereign of a State, when he wishes to support a superior man, must proceed, that he may be said to do so in the proper way?' Mencius answered, 'At first, the present must be offered with the prince's commission, and the scholar, making obeisance twice with his head bowed to the ground, will receive it. But after this the storekeeper will continue to send grain, and the master of the kitchen to send meat, presenting it as if without the prince's express commission. Tsze-sze considered that the meat from the prince's caldron, giving him the annoyance of constantly doing obeisance, was not the way to support a superior man.
요임금께서는 자신의 아홉 아들로 하여금 순을 섬기게 하시고 두 딸을 시집보내셨으며, 백관(百官)과 소와 양과 창고를 갖추어서 순이 사는 시골에서 순을 봉양하게 하시더니, 뒤에 그를 등용하여 천자의 자리에 올려놓으셨네. 그러므로 이를 일러 왕공(王公)이 현자를 높인 것이라고 하는 것이네.”
[James Legge] 'There was Yâo's conduct to Shun:-- He caused his nine sons to serve him, and gave him his two daughters in marriage; he caused the various officers, oxen and sheep, storehouses and granaries, all to be prepared to support Shun amid the channelled fields, and then he raised him to the most exalted situation. From this we have the expression-- "The honouring of virtue and talents proper to a king or a duke."'



맹자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