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孟子集註

맹자집주

범례 |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맹자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9. 孟子[ㅣ] 曰 伯夷 非其君不事며 非其友不友며(야) 不立於惡人之朝야(며) 不與惡人言더니(고) 立於惡人之朝야(와) 與惡人言호(을) 如以朝衣朝冠으로 坐於塗炭며 推惡惡之心야 思與鄕人立 其冠不正이어든 望望然去之야 若將浼焉니(이라) 是故[로] 諸侯 雖有善其辭命而至者ㅣ라도 不受也니 不受也者 是亦不屑就已니라
集註
泥也 鄕人 鄕里之常人也 望望 去而不顧之貌 汚也 趙氏曰 潔也라하고 說文曰 動作切切也라하니 不屑就 言不以就之爲潔而切切於是也 語助辭
柳下惠 不羞汚君며 不卑小官야(며) 進不隱賢야 必以其道며 遺佚而不怨며 阨窮而不憫더니[로] 曰 爾爲爾오(며) 我爲我ㅣ니 雖袒裼裸裎於我側이나(인) 爾焉能浼我哉리오니[로] 由由然與之偕而不自失焉야(며) 援而止之而止니 援而止之而止者 是亦不屑去已니라
集註
柳下惠 魯大夫展禽이니 居柳下而諡惠也 不隱賢 不枉道也 遺佚 放棄也 困也 憂也 爾爲爾 至焉能浼我哉 惠之言也 袒裼 露臂也 裸裎 露身也 由由 自得之貌 並處也 不自失 不失其正也 援而止之而止者 言欲去而可留也
孟子[ㅣ] 曰 伯夷고 柳下惠 不恭니 隘與不恭은(을) 君子[ㅣ] 不由也ㅣ니라
集註
狹窄也 不恭 簡慢也 夷惠之行 固皆造乎至極之地이나 旣有所偏이면 則不能無弊 不可由也니라


9.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백이(伯夷)는 섬길 만한 군주가 아니면 섬기지 않았으며, 벗할 만한 사람이 아니면 벗하지 않았으며, 악(惡)한 사람의 조정(朝廷)에서는 벼슬하지 않고, 악한 사람과는 말하지 않았다. 악한 사람의 조정에서 벼슬하는 것과, 악한 사람과 말하는 것을, 마치 조정에서 입는 옷을 입고 조정에서 쓰는 관(冠)을 쓰고서 진흙탕과 숯구덩이에 앉아 있는 것처럼 여겼으며, 악을 미워하는 마음을 미루어 넓혀서 시골 사람과 함께 서 있을 때에 그 사람의 관이 바르지 않으면 마치 그가 자신을 더럽히기라도 할 것처럼 휑하니 떠났다. 이 때문에 제후들 중에 초빙(招聘)하는 말을 잘 꾸며서 찾아오는 자가 있어도 받아들이지 않았으니, 받아들이지 않은 것은 또한 벼슬에 나아가는 것을 좋게 여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James Legge] Mencius said, 'Po-î would not serve a prince whom he did not approve, nor associate with a friend whom he did not esteem. He would not stand in a bad prince's court, nor speak with a bad man. To stand in a bad prince's court, or to speak with a bad man, would have been to him the same as to sit with his court robes and court cap amid mire and ashes. Pursuing the examination of his dislike to what was evil, we find that he thought it necessary, if he happened to be standing with a villager whose cap was not rightly adjusted, to leave him with a high air, as if he were going to be defiled. Therefore, although some of the princes made application to him with very proper messages, he would not receive their gifts.-- He would not receive their gifts, counting it inconsistent with his purity to go to them.
노(魯)나라 대부 유하혜(柳下惠)는 더러운 군주 섬기기를 부끄러워하지 않았으며, 작은 벼슬을 하찮게 여기지 않았다. 벼슬에 나아가면 자기의 현명함을 숨기지 않고 반드시 자기 도리를 다하였으며, 벼슬길에서 버림받아도 원망하지 않았고 곤액(困厄)을 당하여도 근심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유하혜가 말하기를 ‘너는 너이고 나는 나이니[爾爲爾 我爲我], 네가 내 곁에서 옷을 걷고 맨 몸을 드러낸들 네가 어찌 나를 더럽힐 수 있겠는가?’ 하였다. 그러므로 그는 느긋하게 남들과 함께 있으면서도 스스로 올바름을 잃지 않아서 떠나려고 하다가도 만류하여 멈추게 하면 멈추었다. 만류하여 멈추게 하면 멈춘 것은 또한 떠나감을 좋게 여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James Legge] 'Hûi of Liû-hsiâ was not ashamed to serve an impure prince, nor did he think it low to be an inferior officer. When advanced to employment, he did not conceal his virtue, but made it a point to carry out his principles. When neglected and left without office, he did not murmur. When straitened by poverty, he did not grieve. Accordingly, he had a saying,"You are you, and I am I. Although you stand by my side with breast and aims bare, or with your body naked, how can you defile me?" Therefore, self-possessed, he companied with men indifferently, at the same time not losing himself. When he wished to leave, if pressed to remain in office, he would remain.-- He would remain in office, when pressed to do so, not counting it required by his purity to go away.'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백이는 도량이 좁고 유하혜는 공손하지 못하니, 도량이 좁고 공손하지 못한 것을 군자는 따르지 않는다.”
[James Legge] Mencius said, 'Po-î was narrow-minded, and Hûi of Liû-hsiâ was wanting in self-respect. The superior man will not manifest either narrow-mindedness, or the want of self-respect.'



맹자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