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孟子集註

맹자집주

범례 |
나란히 보기 지원 안함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맹자집주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 咸丘蒙 問曰 語[에] 云 盛德之士 君不得而臣며 父不得而子ㅣ라 南面而立어시늘(이어시) 諸侯야 北面而朝之시고(시며) 瞽瞍 亦北面而朝之어늘(어) 見瞽瞍시고 其容[이] 有蹙이라야 孔子[ㅣ] 曰 於斯時也 天下[ㅣ] 殆哉岌岌乎뎌시니(ㅣ라시다니) 不識[게이다] 此語 誠然乎哉잇가 孟子[ㅣ] 曰 否ㅣ라 此非君子之言이라 齊東野人之語也ㅣ라(ㅣ니)[ㅣ] 老而舜[이] 攝也ㅣ러시니 堯典[애] 曰 二十有八載 放勳 乃徂落커시늘(거시) 百姓(은) 如喪考妣三年고 四海 遏密八音이라며(이라고) 孔子[ㅣ] 曰 天無二日이오 民無二王이라시니 旣爲天子矣 又帥天下諸侯야 以爲堯三年喪이면(시면) 二天子矣니라
集註
咸丘蒙 孟子弟子也 語者 古語也 顰蹙不自安也 岌岌 不安之貌也 言人倫乖亂여 天下將危也 齊東 齊國之東鄙也 孟子言 堯但老不治事여 而舜攝天子之事耳 堯在時 舜未嘗卽天子位시니 堯何由北面而朝乎아하시고 又引書及孔子之言여 以明之시니라 堯典 虞書篇名이라 今此文 乃見於舜典니 蓋古書 二篇 或合爲一耳 言舜攝位二十八年而堯死也 升也 降也 人死則魂升而魄降이라 古者 謂死爲徂落이라 止也 靜也 八音 金石絲竹匏土革木樂器之音也
咸丘蒙[이] 曰 舜之不臣堯() 則吾旣得聞命矣어니와 詩云 普天之下 莫非王土ㅣ며 率土之濱 莫非王臣이라니 而舜[이] 旣爲天子矣시니 敢問瞽瞍之非臣(은) 如何ㅣ잇가(잇고) 曰 是詩也 非是之謂也ㅣ라 勞於王事而不得養父母也야 曰 此[ㅣ] 莫非王事ㅣ어늘(ㅣ어) 我獨賢勞也ㅣ라니[로] 說詩者 不以文害辭며 不以辭害志오(고) 以意逆志라(라사) 是爲得之 如以辭而已矣ㄴ댄(댄) 雲漢之詩[예] 曰 周餘黎民 靡有孑遺ㅣ라니 信斯言也댄[] 周無遺民也ㅣ니라(ㅣ로다)
集註
不臣堯 不以堯爲臣여 使北面而朝也 小雅北山之篇也 徧也 循也 此詩 今毛氏序云 役使不均여 己勞於王事而不得養其父母焉이라하고 其詩下文 亦云 大夫不均여 我從事獨賢이라하니 乃作詩者自言 天下皆王臣이어늘 何爲獨使我以賢才而勞苦乎아하니 非謂天子可臣其父也 字也 語也 迎也 雲漢 大雅篇名也 獨立之貌 脫也 言 說詩之法 不可以一字而害一句之義며 不可以一句而害設辭之志 當以己意 迎取作者之志라야 乃可得之 若但以其辭而已 則如雲漢所言인댄 是周之民 眞無遺種矣 惟以意逆之 則知作詩者之志 在於憂旱이요 而非眞無遺民也니라
孝子之至 莫大乎尊親이오 尊親之至 莫大乎以天下養이니 爲天子父니 尊之至也ㅣ오 以天下養시니 養之至也ㅣ라(ㅣ니) 詩曰 永言孝思ㅣ라 孝思維則이라니 此之謂也ㅣ니라
集註
言 瞽瞍旣爲天子之父 則當享天下之養이니 舜之所以爲尊親養親之至也 豈有使之北面而朝之理乎 大雅下武之篇이라 言 人能長言孝思而不忘이면 則可以爲天下法則也
[애] 曰 祗載見瞽瞍샤 夔夔齊신대 瞽瞍[ㅣ] 亦允若이라니 是爲父不得而子也ㅣ니라
集註
大禹謨篇也 敬也 事也 夔夔齊栗 敬謹恐懼之貌 信也 順也 言 舜敬事瞽瞍여 往而見之 敬謹如此시니 瞽瞍亦信而順之也 孟子引此而言 瞽瞍不能以不善及其子고 而反見化於其子니 則是所謂父不得而子者 而非如咸丘蒙之說也라하시니라


4. 맹자의 제자 함구몽(咸丘蒙)이 여쭈었다. “옛말에 이르기를 ‘덕(德)이 뛰어난 선비는 임금도 그를 신하로 삼을 수 없고, 아버지도 그를 아들로 삼을 수 없다. 순이 천자가 되시자 요임금께서 제후를 거느리고 북면(北面)하여 조회하셨고, 아버지 고수 또한 북면하여 조회하였는데, 순임금께서 고수를 보시자 불안하여 얼굴을 찌푸리셨다.’ 하였습니다. 이를 두고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이때에 천하가 매우 위태롭고 불안했다.’고 하셨는데, 잘 모르겠습니다만, 이 말이 사실입니까?”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아닐세. 이는 군자의 말이 아니라, 제(齊)나라 동쪽 야인(野人)들의 말이네. 요임금께서 살아계실 때에 순이 천자의 지위에 오른 것이 아니라, 요임금께서 늙어 순이 섭정(攝政)한 것이네. 《서경》 〈요전(堯典)〉에 이르기를 ‘순이 섭정한 지 28년 만에 요임금께서 마침내 별세하시니, 백성들은 부모를 잃은 것처럼 슬퍼하여 3년상을 하였고, 온 천하에 음악소리가 그쳐 조용하였다.’ 하였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하늘에는 두 태양이 없고 백성에게는 두 임금이 없다.’ 하셨네. 순이 이미 천자가 되시고 나서 또 천하의 제후들을 거느리고서 요 임금을 위해 3년상을 하셨다면, 이는 천자가 둘인 셈이네.”
[James Legge] Hsien-ch'iû Mang asked Mencius, saying, 'There is the saying, "A scholar of complete virtue may not be employed as a minister by his sovereign, nor treated as a son by his father. Shun stood with his face to the south, and Yâo, at the head of all the princes, appeared before him at court with his face to the north. Kû-sâu also did the same. When Shun saw Kû-sâu, his countenance became discomposed. Confucius said, At this time, in what a perilous condition was the kingdom! Its state was indeed unsettled."-- I do not know whether what is here said really took place.' Mencius replied, 'No. These are not the words of a superior man. They are the sayings of an uncultivated person of the east of Ch'î. When Yâo was old, Shun was associated with him in the government. It is said in the Canon of Yâo, "After twenty and eight years, the Highly Meritorious one deceased. The people acted as if they were mourning for a father or mother for three years, and up to the borders of the four seas every sound of music was hushed." Confucius said, "There are not two suns in the sky, nor two sovereigns over the people." Shun having been sovereign, and, moreover, leading on all the princes to observe the three years' mourning for Yâo, there would have been in this case two sovereigns.'
“순이 요임금을 신하로 삼지 않았다는 것에 대해서는 제가 이미 가르침을 들었습니다만, 《시경》 〈북산(北山)〉에 이르기를 ‘온 하늘 아래가 왕의 땅이 아닌 곳이 없으며, 온 땅의 안에 왕의 신하가 아닌 자가 없다.’ 하였으니, 순이 이미 천자가 되셨는데, 고수를 신하로 삼지 않으셨다는 것은 어째서입니까?” “이 시는 그런 뜻이 아닐세. 이 시를 지은 자가 나랏일에 힘쓰느라 부모를 봉양할 수 없어서 탄식하기를 ‘이것은 나랏일이 아닌 것이 없는데, 나만이 홀로 어질다 하여 고생한다.’고 한 것이네. 그러므로 시를 해설하는 자는 한 글자 때문에 한 구절의 말을 오해하지 말고, 한 구절의 말 때문에 시 본래의 뜻을 오해하지 말며, 시를 보는 자신의 마음으로 시를 지은 시인의 뜻을 헤아려보아야 시를 알 수 있는 것이네. 만일 한 구절의 말만 가지고 본다면, 《시경》 〈운한(雲漢)〉에 이르기를 ‘주(周)나라의 남은 백성이 하나도 없다.’ 하였으니, 이는 가뭄을 걱정하여 지은 시인데, 진실로 이 말대로 해석한다면 이것은 주나라에 한 명도 살아남은 백성이 없는 것이 된다네.
[James Legge] Hsien-ch'iû Mang said, 'On the point of Shun's not treating Yâo as a minister, I have received your instructions. But it is said in the Book of Poetry,

Under the whole heaven,
Every spot is the sovereign's ground;
To the borders of the land,
Every individual is the sovereign's minister;"

-- and Shun had become sovereign. I venture to ask how it was that Kû-sâu was not one of his ministers.' Mencius answered, 'That ode is not to be understood in that way:-- it speaks of being laboriously engaged in the sovereign's business, so as not to be able to nourish one's parents, as if the author said, "This is all the sovereign's business, and how is it that I alone am supposed to have ability, and am made to toil in it?" Therefore, those who explain the odes, may not insist on one term so as to do violence to a sentence, nor on a sentence so as to do violence to the general scope. They must try with their thoughts to meet that scope, and then we shall apprehend it. If we simply take single sentences, there is that in the ode called "The Milky Way,"--

Of the black-haired people of the remnant of Châu,
There is not half a one left."

If it had been really as thus expressed, then not an individual of the people of Châu was left.
효자(孝子)의 일 중에 지극한 것은 어버이를 높이는 것보다 더 큰 것이 없고, 어버이를 높이는 일 중에 지극한 것은 천하로써 봉양하는 것보다 더 큰 것이 없는데, 고수는 천자의 아버지가 되었으니 높이는 것이 지극했고 순임금께서는 천하로써 봉양하셨으니 봉양하는 것이 지극했네. 《시경》 〈하무(下武)〉에 이르기를 ‘길이 효도하기를 생각하여 효도하는 마음이 세상 사람들의 법칙이 된다.’ 하였으니, 이를 말한 것이네.
[James Legge] 'Of all which a filial son can attain to, there is nothing greater than his honouring his parents. And of what can be attained to in the honouring one's parents, there is nothing greater than the nourishing them with the whole kingdom. Kû-sâu was the father of the sovereign;-- this was the height of honour. Shun nourished him with the whole kingdom;-- this was the height of nourishing. In this was verified the sentiment in the Book of Poetry,

"Ever cherishing filial thoughts,
Those filial thoughts became an example to after ages."
《서경》 〈대우모(大禹謨)〉에 이르기를 ‘순이 천자가 되신 뒤에 공경히 섬겨 고수를 뵙되 공경하고 두려워하시자, 고수 또한 순임금을 믿고 따랐다.’ 하였으니, 이것이 덕이 뛰어난 사람은 아버지도 아들로 삼을 수 없다는 뜻이네.”
[James Legge] 'It is said in the Book of History, "Reverently performing his duties, he waited on Kû-sâu, and was full of veneration and awe. Kû-sâu also believed him and conformed to virtue."-- This is the true case of the scholar of complete virtue not being treated as a son by his father.'



맹자집주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