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蘇轍(1)

당송팔대가문초 소철(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소철(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聞之하니 士不更變이면 不可與圖遠이요 知得而不知喪하고 知存而不知亡하며 始若可喜而終不可久라하나이다
昔者 轍讀書至而得之曰
番番(皤皤)良士 旅力旣愆 我尙有之하고 仡仡勇夫 射御不違 我尙不欲이라하나이다
蓋亦니이다
孟明視西乞術白乙丙 此三人者 秦之豪俊有決之士 而百里奚蹇叔子 此秦之所謂老耄而不武者也니이다
穆公 欲襲鄭한대 孟明 以爲可하고 而蹇叔 以爲不可하니 則蹇叔之說 無乃遠於事情而近於怯哉리잇가
然而要其成敗得失之終하여 而責其思慮之長短이면 則蹇叔不可謂迂 而孟明不可謂是也니이다
故曰 如有一个臣 斷斷猗無他技 其心 休休焉其如有容이라
人之有技 若己有之하며 人之彦聖 其心好之하되 不啻如自其口出하면
是能容之 以保我子孫黎民이니 亦職有利哉인저하나이다
嗟夫
穆公至此而後 知蹇叔之非庸人歟인저
今夫立於百官之上하여 而宰天下之事者 亦何以其他技爲哉리잇가
溫良博愛하여 而能容天下之士하면 斯可矣니이다
往者 而明公適爲京兆시니 當此之時 明公之聲 上震於朝廷하고 而下니이다
行道之人 爲之하고 盜賊 하니 可謂才有餘矣니이다
이나 至於參決大政하여는하고 務爲敦厚하여 不欲以才蓋天下시니이다
上承하고 下拊百官하며 周旋揖讓하니 而士大夫 莫不雍容和穆以相與也니이다
嗟夫
明公 何以及此哉리잇가
西蜀之匹夫 往年 偶以進士 得與一命之爵이라
今將爲吏崤黽之間하여 閒居無事러니
聞天子擧直言之士 而世之君子 以其山林朴野之人으로 不知朝廷之忌諱하여 其中無所隱蔽 以應詔라하나이다
而轍也 復不自度量하고 而言當世之事 亦不敢爲之說이니이다
其言語文章 雖無以過人이나 而其所論說 乃有矯拂切直之過니이다 竊獨悲古者深言之人하여 이면 而其言不復見錄於世니이다
方今群公在朝하여 以君子長者自處하고 而優容天下彦聖有技之士하니 士之有言者 可以安意肆志而無患然後 知士之生於今者之爲幸이요 而轍亦幸者之一人也니이다
素所爲文 家貧不能盡致하고 有歷代論十二篇 上自而下至於하니 治亂興衰之際 可以槪見於此리이다
觀其略可也니이다


05. 증참정曾參政에게 올린 서찰
은 들으니 “선비가 경장更張하지 않으면 그와 더불어 원대한 일을 도모할 수 없고, 신승가新勝家는 얻는 것만 알고 상실하는 것은 알지 못하며, 있는 것만 알고 없는 것은 알지 못하며, 처음에는 지기志氣가 충만하여 기뻐하는 듯하지만 나중에는 오래 지속하지 못한다.”고 하였습니다.
전에 이 글을 읽다가 〈진서秦誓〉에 이르러 명언을 발견하였으니,
파파皤皤(늙은 모양)한 어진 선비로 여력旅力이 이미 쇠한 자는 내 부디 소유하고, 흘흘仡仡(용맹한 모양)한 장부로 활쏘기와 말타기에 실수가 없는 자는 내 부디 등용하고자 하지 않는다.”라는 말이었는데,
옛날에 이 말을 한 사람은 아마 그 뜻을 이미 알았던 모양입니다.
맹명시孟明視서걸술西乞術백을병白乙丙 이 세 사람은 나라에서 재능이 걸출하고 결단력이 있는 무사武士었으며, 백리해百里奚건숙자蹇叔子나라에서 이른바 ‘쇠로衰老하고 무력武力이 없는 사람’이었습니다.
목공穆公나라를 습격하려고 하자, 맹명孟明은 ‘옳은 일’로 여겼고 건숙蹇叔은 ‘불가한 일’로 여겼으니, 건숙蹇叔의 말이 사정事情에 오활하고 겁쟁이에 가까운 것이 아니었겠습니까?
그러나 그 성패成敗득실得失의 결과를 살펴 사려思慮장단長短을 책망한다면 건숙蹇叔을 오활하다고 할 수 없고 맹명孟明을 옳다고 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만일 한 신하가 단단斷斷(정성스럽고 한결같은 모양)하고 다른 기예技藝가 없으나 그 마음이 곱고 포용력이 있는 듯하여,
남이 가지고 있는 기예技藝를 자신이 소유한 것처럼 여기며, 남의 훌륭하고 스러움을 마음속으로 좋아하되 입에서 나오는 칭찬보다도 더 좋아한다면
이는 남을 포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나의 자손子孫여민黎民을 보호할 것이니, 또한 전적으로 이로움이 있을진저.”라고 하였습니다.
아! 슬픕니다.
여기에 이른 뒤에야 목공穆公건숙蹇叔이 보통 사람이 아니었다는 것을 알았을 것입니다.
지금 관직이 백관百官의 위에 놓여 천하天下의 일을 주재하는 자 또한 어찌 다른 기예를 요하겠습니까?
온량溫良하고 박애博愛하여 능히 천하天下의 선비들을 포용하면 그것으로 되는 것입니다.
왕년에 동유東遊할 때 명공明公은 마침 경조윤京兆尹으로 계셨는데, 이때에 명공明公명성名聲이 위로는 조정朝廷에 진동하고 아래로는 여리閭里에 위엄을 보였습니다.
길에 다니는 사람은 감히 함부로 보지 못하고, 도적盜賊은 숨을 죽이고 발작하지 못했으니, 재능이 충분하다고 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국가의 정무에 참여하여 정책을 결정하는 일에 있어서는 마치 태양이 빛을 감추듯이 재능을 드러내지 않고 돈후敦厚하고 관대寬大한 행위만을 힘써 재능으로 천하天下를 덮으려고 하지 않으셨습니다.
위로는 이공二公을 받들고 아래로는 백관百官을 어루만졌으며, 예절에 맞게 행동을 하시니, 사대부士大夫들이 거기에 맞추어 조용하고 화목한 모습으로 서로 대하였습니다.
아!
명공明公은 어떻게 해서 이렇게 되실 수 있었습니까?
서촉西蜀필부匹夫로서 왕년往年에 우연히 진사進士로서 일명一命관작官爵을 얻었는지라,
지금 곧 효산崤山민지黽池의 사이에서 관리가 되어 일없이 한가히 지내는데,
듣건대 “천자天子께서 직언直言하는 선비를 뽑음에 세상의 군자君子들은 산림山林의 소박한 사람으로서 조정朝廷기휘忌諱를 알지 못하여 마음속에 은폐隱蔽하는 바가 없기 때문에 조령詔令에 응하였다.” 합니다.
은 다시 능력을 헤아리지 않고 당세當世의 일을 말하였으나 또한 감히 노망불상鹵莽不詳한 말은 하지 못하였습니다.
언어言語문장文章은 비록 남보다 나은 것이 없으나 그 논설論說에는 세정世情에 맞지 않게 바른말을 한 과실이 있으니, 유독 옛날 솔직하게 말하는 사람이 좋지 못한 시대를 만나 한번 통치계급의 기휘忌諱에 저촉되면 그 말이 다시는 세상에 기록되지 않았던 것을 슬퍼합니다.
지금 제공諸公들이 조정에 있어 군자君子장자長者자처自處하며 천하天下의 훌륭하고 성스럽고 기예技藝가 있는 선비들을 너그럽게 포용하니, 직언을 하는 선비가 마음대로 말하더라도 후환이 없은 연후에야 선비가 지금 태어난 것이 다행임을 알 것이요, 도 또한 다행한 사람 중에 한 사람일 것입니다.
본래 지어놓은 글들은 집이 가난해서 전부 수집하지 못했고, 〈역대론歷代論〉 12편은 위로 삼왕三王에서부터 아래로 오대五代에 이르렀으니, 각 왕조王朝 사이에 있었던 치란治亂흥쇠興衰의 상황을 여기에서 대충 엿볼 수 있을 것입니다.
대략적인 것만을 살펴보시면 좋겠습니다.


역주
역주1 上曾參政書 : 본 서찰은 嘉祐 6년(1061)에 쓴 것이다. 曾參政은 曾公亮(998~1078)을 가리킨다. 자는 仲明. 參政은 參知政事의 약칭. 參知政事는 宰相의 다음 직위에 해당한다.
역주2 新勝之家 : 갓 성취한 사람을 가리킨다.
역주3 秦誓 : 《書經》 〈周書〉의 편명인데, 《春秋左傳》에 의하면 “杞子가 秦나라에 알리기를 ‘鄭나라에서 나에게 北門의 열쇠를 관리하도록 하였으니, 만일 군사를 은밀히 출동하면 鄭나라를 획득할 수 있다.’라고 하였다. 秦 穆公이 이것을 百里奚와 蹇叔에게 묻자, 그들은 불가한 일이라고 하였으나 穆公은 거절하고 孟明視‧西乞術‧白乙丙으로 하여금 鄭나라를 치게 하였는데, 晉 襄公이 직접 군사를 거느리고 秦나라 군사를 殽 땅에서 패배시키고 세 장수를 가두었다. 3년 뒤에 穆公은 晉나라를 깨뜨려 殽 땅에서 패배당한 일을 보복하였다. 穆公이 殽 땅에 이르러서 秦나라 군사의 시체를 매장하고 나서 자신의 과오를 뉘우쳐 軍中에 맹세하였다. 史官이 이 맹세를 기록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秦誓〉이다.” 라고 한다.
역주4 昔之爲此言者 : 秦 穆公을 가리킨다.
역주5 已知之矣 : ‘士不更變 不可與圖遠’ 등의 도리를 이미 알았다는 말이다.
역주6 轍之東遊 : 蘇轍은 嘉祐 원년(1056)과 嘉祐 4년(1059) 두 차례 京師에 간 일이 있었는데, 蘇轍은 바로 西蜀 사람이기 때문에 ‘東遊’라고 한 것이다.
역주7 懾於閭里 : 백성들이 曾公亮의 위엄에 감복함을 말한다.
역주8 不敢妄視 : 감히 함부로 보지 못함. 여기서는 곧 曾公亮의 엄중함을 극도로 표현한 것이다.
역주9 明公之聲……屛息而不作 : 《宋史》 〈曾公亮傳〉에 의하면 “(曾公亮이) 端明殿學士로 지방에 내려가 鄭州를 맡아 다스릴 때에 유능하다는 명성을 떨쳤으므로 도적이 모두 다른 지경으로 떠나서 밤에도 대문을 닫지 않았다.”고 한다.
역주10 日韜其光 : 才能을 드러내지 않음을 비유한다.
역주11 二公 : 여기서는 同中書門下平章事와 樞密使를 가리킨다. 이 둘은 官品이 모두 參知政事의 위에 있었다.
역주12 鹵莽不詳 : 粗疏하고 周密하지 않음을 이른다.
역주13 時之不祥 : 정치가 깨끗하지 못한 시대를 이른다.
역주14 一有所觸 : 통치계급의 忌諱에 저촉됨을 가리킨다.
역주15 三王 : 夏‧商‧周 三代의 君主를 가리킨다.
역주16 五代 : 後梁‧後唐‧後晉‧後漢‧後周를 가리킨다.

당송팔대가문초 소철(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