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蘇轍(2)

당송팔대가문초 소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소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此亦자유子由見得경제景帝本末處니라
之賢君 皆曰문제경제이라하니라
문제文帝寬仁大度하여고제高帝之風하고 경제景帝忌刻少恩하여 無人君之量이니 其實非문제文帝比也니라
주아부周亞夫爲大將之銳鋒하여 不數月而平大難하니라
其於君臣父子兄弟之際 背理而傷道者 一至於此니라
原其所以能全身保國컨대문제文帝俱稱賢君者 惟不改其恭儉故耳니라
경제景帝之失道非一也로되 而猶稱賢君 豈非躬行恭儉하여 罪不及民故耶
此可以爲不恭儉者戒也니라


04. 경제景帝에 대한
이 또한 자유子由경제景帝본말本末을 꿰뚫어본 곳이다.
나라의 현군賢君은 모두들 “문제文帝경제景帝다.”라고 하였다.
문제文帝는 너그럽고 인자하고 도량이 커서 고제高帝풍격風格이 있었고, 경제景帝투기妬忌하고 각박刻薄하고 은덕恩德이 적어 인군人君의 도량이 없었으니 기실은 문제文帝와 비교할 대상이 아니었다.
경제景帝태자太子로 있을 때에 오왕吳王 세자世子내조來朝하여 경제景帝과 함께 장기를 두면서 불공한 태도를 보이거늘, 경제景帝하여 장기판으로 쳐서 그를 죽였으니, 반역叛逆은 그 형세가 여기서 격발한 것이다.
장석지張釋之문제文帝명신名臣이었건만 탄핵해서 아뢴 데 대한 앙갚음으로 회남淮南에 내쳐서 죽게 하였고, 등통鄧通문제文帝행신倖臣이었건만 종기를 빤 데 대한 원망으로 곤궁하게 살다가 죽게 하였다.
조조鼂錯가 처음에 경제景帝와 함께 제후諸侯들의 영토를 삭탈削奪할 것을 모의하니 경제景帝는 여러 사람들의 반대를 물리치고 조조鼂錯의 계략을 썼건만, 7이 반역함에 미쳐서는 원앙袁盎의 한마디 말에 속음으로써 동시東市에서 조조鼂錯를 참수하고 끝내 고념顧念하지 않았다.
주아부周亞夫대장大將이 되자 나라와 나라의 예봉銳鋒을 꺾어 몇 달 안 가서 대난大難을 평정하였다.
그가 정승이 되어서는 정도를 지키고 아부하지 않으니, 그의 굴하지 않는 태도를 미워하여 결국 죄가 없는 그를 죽였다.
양왕梁王 모제母弟였건만, 교만하여 멋대로 놀아나다가 거의 죽을 뻔하였다.
임강왕臨江王 태자太子였건만, 그의 모친이 경제景帝에게 사랑을 잃음으로써 혹리酷吏로 하여금 그(榮)를 살해하게 하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군신君臣, 부자父子, 형제兄弟의 사이에 도리道理를 위배하고 상하게 하는 것이 한결같이 이와 같은 지경에 이르렀다.
경제景帝가 몸과 나라를 잘 보전하게 된 까닭을 추구하건대, 문제文帝와 더불어 현군賢君이라고 칭하는 것은 오직 그 공검恭儉을 변개하지 않았기 때문일 뿐이다.
춘추春秋》의 에 임금을 시해한 경우에 임금의 이름을 말하는 것은 임금이 무도無道했음을 나타내고, 신하의 이름을 말하는 것은 신하에게 죄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진후陳侯 평국平國채후蔡侯 이 모두 무도無道로 시해하였는데, 시해에서 모두 신하의 이름을 말한 것은 그 죄가 백성에 미치지 않았다고 여긴 것이다.
경제景帝와 같은 경우는 를 잃은 점이 하나가 아니었음에도 오히려 현군賢君이라고 칭한 것은, 어찌 몸소 공검恭儉을 행하여 죄가 백성에게 미치지 않았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이것은 공검恭儉하지 않는 자의 경계가 될 만하다.


역주
역주1 漢景帝論 : 漢 文帝의 아들 劉啓를 가리킨다.
《欒城集》에는 本文의 標題가 〈漢景帝〉로 되어 있다.
역주2 帝之爲太子也……勢激於此 : 《史記》 〈吳王濞列傳〉에 의하면 “文帝 때에 吳 太子가 長安에 들어와 文帝를 뵙고 나서 皇太子(景帝)를 모시고 장기를 두다가 불공한 태도를 보이자 皇太子가 장기판을 던져서 吳 太子를 죽였다. 따라서 歸葬(타향에서 죽은 사람의 시체를 고향에 가서 장사 지내는 일)시키자, 吳王은 화를 내며 ‘同姓은 一家이니, 長安에서 죽었으면 장안에 장사 지낼 일이지, 하필 歸葬시키는가?’라고 하고는 다시 시체를 장안으로 보내 장사 지내게 했다. 吳王은 이때부터 원망하며 藩臣의 禮를 약간 잃고 병을 핑계로 장안에 조회하러 가지 않았다.”고 한다.
역주3 張釋之……斥死淮南 : 《漢書》 〈張釋之傳〉에 의하면 “張釋之가 文帝를 섬길 때 文帝는 그의 착함을 자주 칭찬하는 동시에 그의 말과 계략을 곧잘 따랐다. 張釋之가 公車令으로 있을 때에 太子(景帝)가 梁王과 함께 수레를 타고 조회하러 들어가다가 司馬門에서 내리지 않았다. 그러자 張釋之가 쫓아가서 太子와 梁王을 저지하여 殿門에 들어가지 못하게 하고는, 드디어 수레에서 내리지 않은 불경죄를 탄핵하여 아뢰니, 文帝는 그를 기특하게 여겨 中大夫를 제수하고 두 번 승진시켜 廷尉로 삼았다.……張釋之는 景帝를 섬긴 지 1년여 만에 淮南相이 되었으니, 前過 때문에 좌천을 당한 것이다. 張釋之는 淮南에서 年老하여 病死하였다.”고 한다.
역주4 鄧通……困迫至死 : 《漢書》 〈佞幸傳 鄧通〉에 의하면 “鄧通은 文帝를 섬김에 다른 재능은 없고 오직 謹身하고 아첨하여 임금에게 총애를 받았을 뿐이다. 文帝가 관상을 잘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鄧通의 관상을 보게 하였더니, ‘가난해서 굶어죽겠다.’고 하였다. 그러자 文帝는 ‘鄧通을 부자로 만드는 것은 나에게 달려 있는데, 왜 가난할 거라고 말하는가?’라고 하고는 이에 鄧通에게 蜀 嚴道의 銅山을 하사하여 돈을 주조하게 하니, 鄧通의 돈이 천하에 깔릴 정도로 부자가 되었다. 文帝가 종기를 앓을 때에 鄧通은 입으로 그 고름을 빨아냈다.
하루는 文帝가 조용히 ‘천하에서 누가 가장 나를 사랑하는 사람인가?’라고 물으니, 鄧通은 ‘太子만 한 이가 없습니다.’라고 하였다. 太子가 寢殿에 들어가서 문병하자, 文帝가 太子로 하여금 종기를 빨게 하니, 太子가 종기를 빨면서 난처한 안색이었다. 이윽고 鄧通이 항상 임금을 위하여 종기를 빤다는 말을 듣고는 太子는 부끄러워하였고, 이로 말미암아 마음속으로 鄧通을 원망하였다. 文帝가 승하하고 景帝가 즉위하자, 鄧通은 재산을 전부 몰수당하고 최후에는 동전 한 푼 없이 남의 집에 붙어살다가 죽었다.”고 한다.
역주5 鼂錯……曾不之䘏 : 《漢書》 〈袁盎鼂錯列傳〉에 의하면 “諸侯의 영토를 깎는다는 문서가 내려가자, 7國이 모두 반기를 들고 일어나 鼂錯를 誅殺한다는 명분을 내세웠다. 袁盎이 景帝에게 進言하기를 ‘7國이 반기를 들고 鼂錯를 誅殺한다는 명분을 내세우니, 鼂錯 하나만을 斬殺하면 7國이 撤軍할 것입니다.’라고 하니, 景帝가 말하기를 ‘내 한 사람을 아끼지 않음으로써 천하에 보답할 것이다.’라고 하고는 곧 中尉로 하여금 鼂錯를 불러 수레에 태워서 東市에서 斬首하게 하였다.”라고 한다.
역주6 周亞夫爲大將……遂以無罪殺之 : 《漢書》 〈周勃列傳〉에 의하면 “景帝 前 3년(154)에 吳나라와 楚나라가 배반하자, 周亞夫(周勃의 아들)가 太尉가 되어 동쪽으로 吳나라와 楚나라를 치고, 따라서 景帝에게 청하기를 ‘楚나라의 군사가 剽輕하므로 그들과 교전하기가 어려우니, 梁나라에 맡겨서 군량 조달하는 길을 끊으면 제어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하니, 景帝가 허락하였다. 뒤에 군량 조달하는 길을 끊으니 吳나라의 군사가 굶주림에 시달렸는데, 이때 周亞夫가 精兵을 내어 추격하여 크게 깨뜨렸다.
吳나라‧楚나라의 난을 평정한 뒤에 景帝가 栗太子를 폐하고 王皇后의 兄인 王信을 봉하려고 하자, 周亞夫가 극력 간하였으나 景帝는 따르지 않고 그를 소원히 대하였다. 周亞夫는 결국 病으로 정승을 면하고 뒤이어 御器盜賣 사건에 연루되어 廷尉에 잡혀가서 피를 토하고 죽었다.”고 한다.
역주7 梁王武……幾致其死 : 《漢書》 〈文三王傳〉에 의하면 “梁王 劉武는 竇太后의 少子이자 景帝의 아우인데, 太后의 총애를 독차지한 그는 마치 天子인양 호화찬란하게 나들이하는 등 기세가 등등하였다. 太后가 그를 皇嗣로 세우려고 하자 袁盎 등 議臣들이 불가하다고 하니, 梁王이 몰래 사람을 시켜서 袁盎과 議臣 수십 명을 찔러 죽였다. 景帝가 매우 황급하게 추구하였으므로 梁王은 거의 죽을 뻔하였는데, 茅蘭의 계략을 이용하여 盖長公主의 後園에 숨음으로써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고 한다.
역주8 臨江王榮……至使酷吏殺之 : 《漢書》 〈景十三王傳〉에 의하면 “臨江王 劉榮은 景帝 前 4년(153)에 皇太子가 되었다가 4세 때 폐하여 臨江王이 되었다.”고 하고, 《漢書》 〈外戚傳〉에 의하면 “臨江王 劉榮의 모친은 栗姬인데, 성품이 질투가 심하고, 또 長公主와 화목하지 못하였다. 景帝가 王夫人을 皇后로 세울 때에 太子를 폐하여 臨江王으로 삼았다. 오래지 않아 臨江王 劉榮은 太宗의 廟壖地(사당이 있는 틈서리 땅)에 집을 세운 죄로 中尉에게 잡혀갔다. 中尉 郅都가 각박하게 臨江王을 신문하니, 臨江王은 두려워서 자살하였다.”고 한다.
역주9 酷吏 : 刑法을 남용하는 관리. 여기서는 郅都를 가리킨다.
역주10 春秋之法……臣之罪也 : 《春秋》 宣公 4년에 “鄭나라의 公子 歸生(子家)이 그 임금 夷(靈公)를 시해했다.[鄭公子歸生 弑其君夷]”란 데 대한 左氏의 傳에서 “經文에 ‘鄭나라의 公子 歸生이 그 임금 夷를 시해했다.’고 쓴 것은 子家가 子公의 역모를 제지할 임기응변의 재주가 부족했기 때문에 그를 풍자하는 뜻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하여 군자는 ‘仁愛가 있다고 해도 용기가 없으면 그 인애를 달성할 수가 없다.’고 비평하였다. 대개 임금을 시해한 경우에 임금의 이름을 말하는 것은 임금이 無道했음을 나타내고, 신하의 이름을 말하는 것은 신하에게 죄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書曰 鄭公子歸生 弑其君夷 權不足也 君子曰 仁而不武 以無能達也 凡弑君 稱君 君無道也 稱臣 臣之罪也]”라고 풀이하였다.
역주11 陳侯平國……以爲罪不及民故也 : 《春秋》 宣公 10년에 “陳의 夏徵舒가 그 임금 平國(靈公)을 시해하였다.”고 하였다. 곧 陳國大夫 夏徵舒가 陳 靈公의 음란함으로 인하여 시해하고 스스로 서서 陳侯가 되었다가, 뒤에 楚 莊王에게 피살되었다.
《春秋》 襄公 30년에 “蔡나라의 世子 般이 그 임금 固를 시해하였다.”고 하였다. 곧 蔡 景侯 固가 太子 般을 위하여 楚나라에서 부인을 맞았는데, 景侯가 그 부인과 私通하였다. 그러자 太子가 景侯를 시해하고 自立하였으니 이가 바로 蔡靈侯인데, 뒤에 楚 莊王에게 피살되었다. ‘稱臣’은 ‘稱君’의 잘못인 듯하다.
역주12 <주석명/> : 乾隆의 《御選唐宋文醇》에서는 “ ‘恭’이란 것은 仁의 表다. 禹임금이 말하기를 ‘내가 天下를 보건대, 愚夫‧愚婦 개개인이 능히 우리를 이길 수 있다.’라고 하였으니, 仁의 지극함이다. 그러므로 그 恭이 이와 같은 것이다. 가사 天下의 美가 모두 자기에게 있어서 萬物이 자기만 못하는 것이라고 여긴다면, 不恭의 흐르는 폐단은 반드시 刻覈하여 仁惠가 적을 것이다. 蘇轍은 漢 景帝가 刻覈하여 仁惠가 적다고 하고, 또 恭儉함을 아름답게 여겼으니, 모순이 되지 않겠는가?
또 鄧通이 窮困하여 죽은 것을 가지고 漢 景帝가 刻覈하여 仁惠가 적은 것과 한 가지 일로 삼았으니, 이는 크게 옳지 못한 것이다. 鄧通은 아름다운 얼굴을 가지고 文帝에게 총애를 받아 天下의 갑부가 되었으니, 文帝의 성대한 덕의 한 유형이다. 오직 鄧通에게 정치만을 맡기지 않았을 뿐이다. 만일 정치를 맡겼다면 董賢(美麗하고 善媚하여 漢 哀帝에게 총애를 받아 高安侯에 봉해지고 나이 22세에 벼슬이 大司馬, 衛將軍에 이르렀는데, 哀帝가 승하하자, 王莽에게 탄핵을 받아 파직해 돌아가서 자살함)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景帝가 卽位하여 鄧通을 朝市에서 드러내놓고 죽이지 않음으로써 先君의 과실을 나타내지 않았으니, 景帝에게 은혜가 있는 것이다. 蘇轍이 이에 鄧通을 窮困하게 만들어 죽게 한 것이라고 기롱하였으니, 그렇다면 景帝의 입장에서는 그대로 鄧通을 天下의 갑부가 되게 해야 옳은가?
鄧通이 天下의 갑부가 되었다면 〈漢 高帝가 총애한〉 愼夫人이 옷이 땅에 끌리지 않을 정도로 짧은 옷을 입음으로써 검소한 생활을 한 것은 또한 공연히 한 일었을 뿐이다.
‘恭儉’ 두 글자는 文帝에 있어서도 오히려 논란이 있는 일인데, 하물며 景帝야 오죽하겠는가? 단지 ‘景帝는 백성에게 죄를 얻지 않았으니, 賢主라고 칭할 수 있겠다.’는 것만은 그 論을 취할 만하다.[恭者仁之表也 禹曰 予視天下愚夫愚婦 一能勝予 仁之至也 故其恭乃如是 使以爲天下之美盡在己 而萬物莫己若也 則不恭之所流 必爲刻覈少恩矣 轍以漢景刻覈少恩 而又美爲恭儉 毋乃矛盾歟 又以鄧通窮困而死 爲漢景刻覈少恩之一事 是大不然 通以姿貌 得幸文帝 富甲天下 文帝盛德之類也 唯不任以政耳 若任以政 與董賢何殊 景帝卽位 不顯戮之於朝市 以彰先君之過 景帝之有恩也 轍乃以使通窮困而死爲譏 然則爲景帝者 仍當使通富甲天下乃可耶 鄧通富甲天下 則愼夫人衣不曳地者 亦徒爾爲矣 恭儉二字 在文帝猶有議焉 況景帝乎 特謂景帝未得罪於民 可稱賢主者 其論可取也]”라고 비평하였다.

당송팔대가문초 소철(2)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