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蘇轍(2)

당송팔대가문초 소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소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前以조맹덕曹孟德形容사마중달司馬仲達하고 後以곽광霍光제갈공명孔明爲案하니라
世之說者曰 사마중달司馬仲達之於라하니 是不然이니라
二人智勇權略則同이나 而所處則異니라
雖使終身奉헌제獻帝하고 率天下而朝之라도 天下不歸而歸者 十室而九矣 조공曹公誠能安而俟之하여 使天命自至 라도 리오
惜其爲義不終하여 하고 義士憤怨於下로다
하니 此則조공曹公之過矣니라
사마중달司馬仲達則不然하니라
之末 조씨曹氏之業固矣니라
하고 而顚覆之形未見하니 天下未叛니라
사마중달仲達因其隙而乘之하여 而奪其成業하니 事與조공曹公異矣니라
무제武帝之老也소제昭帝곽광霍光이니라
소제昭帝尙幼하니 연왕燕王개장공주개장공주有簒取之心하고 상관걸上官桀상홍양桑弘羊助之하니 此其禍急於조상曹爽이니라
곽광霍光內斃연왕개장공주하고 外誅상관걸상홍양하여 擁護소제昭帝언만 訖無驕君之色이니라
소제昭帝早喪 國空無主하니 迎立창읍왕昌邑이언만 창읍왕昌邑不令이어늘 又援立선제宣帝하니라
柄在其手者屢矣이나 退就臣位 不以自疑하니 中外悉其本心하여 亦無一人有異議者니라
사마중달仲達곽광이면 孰爲得之耶
이나 곽광猶不足道니라
후주將亡제갈공명諸葛孔明而告之曰 사자嗣子可輔 輔之 如其不才 君可自取하라하고 復語후주後主하되 汝與승상丞相從事하여 事之如父하라하니라
후주後主之暗弱 공명孔明之賢智 人知之矣니라
使공명孔明有異志 一搖手而定矣니라
이나이평徼外蠻夷하고 하고 旁禦하여 功成業定하고 又付之하니 奉一昏主三十餘年하되 而無纖芥之隙이니라
此又곽광霍光之所不能望也니라
人患不誠이니 苟誠忠孝인댄 之於父母 이윤伊尹之於태갑太甲 終無間然者니라
사마중달仲達之後 人臣受六尺之寄하고 因而取之者多矣니라
皆以地勢迫切하니 置而不取 則身必危하고 國必亂이라하여 至自比騎虎不可復下하니 此亦自欺而已哉인저
동한之衰 왕망王莽啓其端하고 동탁董卓幸其禍하고 조조曹操踵其謀하고사마중달司馬以後 遂至於世 相擅以狐媚託孤定亂之間하고태종太宗而始絶이니라
甚矣 小人之流禍也
要之五代又踵之矣니라
予謂爲도의不終四字 非所以論조조니라
문왕文王之戴 終其身未嘗有一毛利天下之心하대조조特擁以劫天下之諸侯耳
순문약荀文若之死라도 君子謂其以身순문약奸也라하니라


09. 선제宣帝에 대한
앞에서는 조맹덕曹孟德(曹操)으로 사마중달司馬仲達(司馬懿)을 형용하고, 뒤에서는 곽광霍光제갈공명諸葛孔明으로 사안事案을 하였다.
세상에서 시사를 평론하는 자가 말하기를 “나라에서의 사마중달司馬仲達은 곧 나라에서의 조맹덕曹孟德과 같다.”라고 하니, 이 평론은 옳지 못한 것이다.
두 사람은 지혜智慧용맹勇猛권술權術모략謀略은 같지만 처해진 지위는 달랐다.
나라는 동탁董卓 이후로 안에서는 무너지고 밖에서는 반란이 일어났으므로, 헌제獻帝는 분주히 곤경을 당하기에 겨를이 없었으니, 제왕帝王의 세력은 다하고 제왕帝王이란 이름만 붙어 있을 뿐이었다.
조공曹公(曹操)은 그 명호名號를 빌어서 천하天下신복臣服시키고 헌제獻帝를 감싸 허창許昌으로 옮기어 도읍을 세웠으니, 반역叛逆을 정벌한 것은 모두 조공曹公이 한 일이었다.
가사 종신토록 헌제獻帝시봉侍奉하며 천하天下를 거느리고 조신朝臣 노릇을 했다 하더라도 천하天下에서 나라로 돌아가지 않고 나라로 돌아온 자가 10에 9이었으니, 조공曹公이 참으로 안심하고 기다려 천명天命이 스스로 이르게 하였더라면, 비록 문왕文王이 천하의 3분의 2를 가졌으면서도 를 섬긴 일이라 하더라도 어찌 이보다 더하였겠는가?
그런데 애석하게도 처음부터 끝까지 도의道義를 행하지 못하여 헌제獻帝는 위에서 불안에 떨게 하고 의사義士는 아래에서 분원憤怨하게 하였다.
순문약荀文若(荀彧)도 오히려 제 명에 죽지 못하였으니, 이는 조공曹公의 과실인 것이다.
사마중달司馬仲達 같은 경우는 그렇지 않았다.
명제明帝의 말년에 조씨曹氏기업基業이 이미 견고해졌다.
비록 명제明帝음학淫虐으로 민심을 잃고 조상曹爽이 교만 방종으로 죄를 얻었다 하더라도 망국亡國의 조짐이 아직 드러나지 않았으니, 천하天下나라를 배반하지 않았다.
사마중달司馬仲達은 그 틈을 타서 등을 살살 도닥여 그들이 이루어놓은 공업功業을 빼앗았으니, 일이 조공曹公과 사뭇 달랐던 것이다.
무제武帝가 늙음에 소제昭帝곽광霍光에게 부탁하였다.
소제昭帝가 아직 어리니, 연왕燕王 개장공주蓋長公主찬취簒取할 마음을 가졌고 상관걸上官桀상홍양桑弘羊은 그 일을 도왔으니, 이것은 그 조상曹爽보다 급한 것이었다.
곽광霍光은 안으로는 연왕燕王 개장공주蓋長公主를 살해하고 밖으로는 상관걸上官桀상홍양桑弘羊을 주살하여 소제昭帝를 옹호하였지만, 임금에게 교만을 부리는 기색은 끝내 없었다.
소제昭帝가 일찍 죽음에 미쳐 나라가 비어 주군主君이 없자, 창읍왕昌邑王을 맞아 세웠건만 창읍왕昌邑王이 착하지 못하거늘 또 선제宣帝를 감싸 세웠다.
권병權柄이 그의 손에 있는 지 여러 번이었으나 신하의 자리로 물러감으로써 사람들이 자기를 의심하지 않게 하였으니, 온 나라 사람이 그의 본심을 알았으므로 또한 이의를 제기한 사람이 하나도 없었다.
사마중달司馬仲達곽광霍光에 견주면 누가 낫겠는가?
그러나 곽광霍光이 오히려 부족한 편이다.
나라의 선주先主(劉備)가 임종시에 제갈공명諸葛孔明을 불러서 당부하기를 “사자嗣子(劉禪)가 보필할 만하면 보필하고 만일 재주가 없으면 그대가 스스로 〈나라를〉 취해도 좋소.”라고 하고, 다시 후주後主에게 말하되 “너는 승상丞相과 함께 종사從事하여 섬기기를 아버지처럼 하라.”고 하였다.
후주後主암약暗弱공명孔明현지賢智나라 사람들이 다 아는 것이다.
가사 공명孔明찬위簒位할 마음을 가졌다면 손 한 번 움직여서 차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밖으로는 변경의 만이蠻夷를 평정하고, 안으로는 이평李平요립廖立을 폐하고, 곁으로는 나라와 나라를 막아 을 이루고 을 정하였으며, 또 장완蔣琬비위費褘에게 부탁하였으니, 한 혼암昏暗주군主君을 30여 년 동안 받들되 미세한 혐극嫌隙도 없었다.
이 또한 곽광霍光이 능히 바랄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은 성심誠心이 없는 게 걱정이니, 진실로 를 할진대, 이 그 부모에게, 이윤伊尹이 그 태갑太甲에게 끝내 흠잡을 데가 없이 〈를 한〉 것처럼 해야 한다.
사마중달司馬仲達 이후로 남의 신하가 된 자들은 어린 임금의 보필을 부탁받고는 그 기회를 인하여 국병國柄찬취簒取한 자가 많다.
모두들 처지가 위험하니 놓아두고 취하지 않으면 몸은 반드시 위험하고 나라는 반드시 어지럽기 때문이라 핑계하여, 심지어 범을 타고 다시 내릴 수 없는 일에 비유하기까지 하니, 이 또한 스스로를 속이는 일일 뿐이다.
양한兩漢(西漢과 동한東漢)의 쇠락衰落왕망王莽이 그 단서端緖를 열었고, 동탁董卓이 그 를 요행으로 여겼고, 조조曹操가 그 모략謀略을 답습하였고, 사마중달司馬仲達 이후 먼 세대에 이르기까지 어린 임금의 보필을 부탁받고 을 평정하는 사이에서 서로들 멋대로 유미책柔媚策을 써서 사람을 유혹하였는데, 그 풍조가 태종太宗에 이르러서 비로소 끊어졌다.
심하다, 소인小人들의 가 퍼져나감이여!
요컨대 오대五代에서도 그 전철을 밟았다.
나는 생각하건대 ‘위의부종爲義不終(처음부터 끝까지 도의道義를 행하지 못함)’이란 네 글자는 조조曹操를 평론하는 데 쓸 문구가 아니다.
대개 문왕文王나라를 받듦에 있어서 종신토록 터럭만큼도 천하를 탐할 마음을 가지지 않았는데, 조조曹操는 다만 나라를 끼고 천하天下제후諸侯들을 위협한 것일 뿐이다.
비록 순문약荀文若의 죽음이라 하더라도 군자君子는 그 몸으로 간악奸惡함을 문식한 것이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晉宣帝論 : 晉 宣帝는 司馬懿(178~251)를 가리킨다. 字는 仲達이다. 齊王 曹芳이 즉위했을 때에 丞相 曹爽과 함께 曹芳을 보필하다가, 뒤에 曹爽을 죽이고 단독으로 國政을 총괄하였다. 손자 司馬炎이 魏나라를 대신하여 ‘帝’라 칭하고 晉 王朝를 건립하였으며, 司馬懿에게 ‘宣帝’란 시호를 추증하였다.
《欒城集》에는 本文의 標題가 〈晉宣帝〉로 되어 있다.
역주2 曹孟德之於漢也 : 孟德은 曹操(155~220)의 字이다. 曹操는 군사를 일으켜 董卓을 토벌하고 漢 獻帝를 許 땅에서 맞이하였으며, 北方의 群雄을 쳐 없애 황하 유역을 통일하였다. 官位는 丞相, 大將軍에 이르고 魏王에 봉해졌다. 아들 曹丕가 漢나라를 대신하여 ‘帝’라 칭하고 曹操를 ‘太祖 武帝’로 추존하였다.
역주3 漢自董卓之後……獨其名在耳 : 董卓은 京師에 들어간 뒤에 권력을 휘둘러 少帝를 폐하고 獻帝를 세웠다. 董卓은 凶暴하고 淫亂하여 정치가 부패하였다. 大臣이 권력을 휘두르고 群雄이 아울러 일어났다. 董卓이 獻帝를 핍박하여 도읍을 長安으로 옮기고 洛陽의 宮廟를 불태우고 洛陽의 여러 王陵을 파헤쳤다. 董卓의 부하 李傕‧郭汜 등이 반란을 일으켜 長安을 함락하였다. 李傕 등이 스스로 將軍이 되고 뒤에 獻帝를 협박하여 營으로 가도록 하고 宮室을 불태우고 또 獻帝를 北塢로 옮겨가게 하였다. 뒤에 李傕‧郭汜 등이 乘輿를 추격하자, 獻帝는 밤에 黃河를 건너 달아났다. 獻帝는 바로 劉協(181~231)인데, 9세에 즉위하여 먼저는 董卓에게 제재를 받고, 뒤에는 曹操에게 곤욕을 받으며 겨우 帝位를 지켰을 뿐이다.
역주4 曹公假其名號……皆曹公也 : 曹操는 入京한 뒤에 漢 丞相의 名義로 天子를 끼고 諸侯를 호령하였으며, 李傕‧呂布를 죽이고, 公孫瓚‧袁紹‧袁術‧劉備‧孫權‧劉表 등을 공격하였다.
역주5 雖文王三分天下……以事紂 : 《論語》 〈泰伯〉에 “周나라는 천하의 3분의 2를 가졌으면서도 殷나라에 신하 노릇을 하였으니 周나라의 德이야말로 지극하다고 할 수 있다.[三分天下 有其二 以服事殷 周之德 其可謂之德也已矣]”라고 보인다.
역주6 何以加之 : 曹操가 가령 天命이 스스로 이르기를 기다렸더라면 그 德은 文王과 비교할 수 있었음을 이른 것이다.
역주7 使獻帝不安於上 : 《後漢書》 〈皇后紀〉에 의하면 “獻帝는 許에 도읍을 세운 이후로 帝位만을 지켰을 뿐인데, 宿衛兵이 曹氏의 黨與나 친척이 아닌 사람이 없었다. 뒤에 曹操가 董貴人을 죽일 때에 獻帝가 ‘貴人이 잉태하였다.’고 누차 애원하였으나 되지 않았고, 또 伏皇后를 죽일 때 伏皇后가 獻帝에게 구해주기를 요구하자, 獻帝는 ‘나도 언제 죽을지 모른다.’고 하며 안타까워하였다.”고 한다.
역주8 雖荀文若猶不得其死 : 《三國志》 〈魏志 荀彧傳〉에 의하면 “荀文若(163~212)은 이름을 ‘彧’이라고 하는데, 항상 軍國大事에 참여하여 曹操의 功業이 대부분 荀文若의 모사에서 나왔다. 그러나 荀文若은 뒤에 曹操가 國公에 오르는 것을 반대하였다가 曹操에게 소외당해 독살되었다.”고 한다.
역주9 明帝 : 여기서는 魏 明帝 曹睿(204~239)를 가리킨다.
역주10 雖明帝以淫虐失衆 : 《魏書》 〈明帝紀〉와 《魏略》 등에 의하면 “明帝가 일찍이 크게 宮室을 짓고, 이미 관리나 백성에게 시집가 姿色이 있는 士女들을 빼앗아 掖庭에 들이게 하였다. 대신들이 자주 간하였으나 듣지 않았다.”고 한다.
역주11 曹爽以驕縱得罪 : 《魏書》 〈曹爽傳〉에 의하면 “曹爽(?~249)은 明帝의 병이 위중할 때 大將軍이 되어 전국 군사를 총괄하고, 齊王 芳이 즉위하자, 더없는 貴寵을 받아 飮食‧車服이 천자와 비견하였으며, 太常樂器와 武府禁兵을 마음대로 취하였으므로 公卿들이 諫言하여 ‘曹爽을 誅斬해야 된다.’고 하였기 때문에 결국 三族이 멸하게 되었다.”고 한다.
역주12 拊其背 : 어깨와 등을 가볍게 두들겨서 撫慰를 표시한다는 뜻이다. 여기서는 聲色을 드러내지 않는 방식을 가리킨다.
역주13 內廢李平廖立 : 《三國志》 〈蜀書 李嚴傳〉에 의하면 “驃騎將軍 李嚴(李平이라고도 함)은 軍糧 조달을 제대로 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諸葛亮으로부터 폐해져 庶民이 되어 梓潼郡으로 이주되었건만, 그는 諸葛亮이 卒하였다는 소식을 듣고는 병이 나서 죽었다.”라고 하였고, 〈蜀書 廖立傳〉에 의하면 “長水校尉 廖立이 群士를 비평하고 君臣을 비방한 貴人의 죄에 連坐됨으로 인하여 諸葛亮이 廖立을 폐하여 庶民으로 삼아 汶山郡으로 이주시켰지만, 廖立은 諸葛亮이 卒하였다는 소식을 듣고는 눈물을 흘리며 탄식하기를 ‘나는 끝내 오랑캐가 되겠다.’고 했다.”라고 한다.
역주14 蔣琬費褘 : 蔣琬(?~246)은 諸葛亮으로부터 ‘社稷之器’란 말을 들을 정도로 아낌을 받았고, 諸葛亮이 그를 後主에게 密表로 ‘큰일을 부탁할 만한 인물’이라고 추천하였기 때문에 諸葛亮이 죽은 뒤에 尙書令이 되니, 민심이 안정되었다. 費褘(?~253) 또한 諸葛亮이 아끼는 인물로서 蔣琬을 이어 尙書令이 되었다.

당송팔대가문초 소철(2)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