予讀詩書
에 歷觀唐虞
하고 至於夏商
하여 以爲自生民以來
로 天下未嘗一日而不
也
니라 
                        		
                        		
                        		
	                     		
			                       	
			                       	
	                     		
	                     		
		                        
                        	
                        	
                        	
                        	
                        		
                        			
                        			
			                        
                        		
                        		
                        		
	                     		
			                       	
			                       	
	                     		
	                     		
		                        
                        	
                        	
                        	
                        	
                        		
                        			
                        			
			                        
			                        	父子君臣之間과 兄弟夫婦之際에 此文之所由起也니라
			                         
                        		
                        		
                        		
	                     		
			                       	
			                       	
	                     		
	                     		
		                        
                        	
                        	
                        	
                        	
                        		
                        			
                        			
			                        
			                        	昔者生民之初엔 父子無義하고 君臣無禮하며 兄弟不相愛하고 夫婦不相保하니 天下紛然而淆亂하고 忿鬪而相苦하니라
			                         
                        		
                        		
                        		
	                     		
			                       	
			                       	
	                     		
	                     		
		                        
                        	
                        	
                        	
                        	
                        		
                        			
                        			
			                        
			                        	文理不著而人倫不明하여 生不相養而死不相葬하니 天下之人이 舉皆戚然하여 不寧於中이니라
			                         
                        		
                        		
                        		
	                     		
			                       	
			                       	
	                     		
	                     		
		                        
                        	
                        	
                        	
                        	
                        		
                        			
                        			
			                        
			                        	然後에 反而求其所安하여 屬其父子而列其君臣하고 聯其兄弟而正其夫婦하니라
			                         
                        		
                        		
                        		
	                     		
			                       	
			                       	
	                     		
	                     		
		                        
                        	
                        	
                        	
                        	
                        		
                        			
                        			
			                        
                        		
                        		
                        		
	                     		
			                       	
			                       	
	                     		
	                     		
		                        
                        	
                        	
                        	
                        	
                        		
                        			
                        			
			                        
                        		
                        		
                        		
	                     		
			                       	
			                       	
	                     		
	                     		
		                        
                        	
                        	
                        	
                        	
                        		
                        			
                        			
			                        
                        		
                        		
                        		
	                     		
			                       	
			                       	
	                     		
	                     		
		                        
                        	
                        	
                        	
                        	
                        		
                        			
                        			
			                        
                        		
                        		
                        		
	                     		
			                       	
			                       	
	                     		
	                     		
		                        
                        	
                        	
                        	
                        	
                        		
                        			
                        			
			                        
			                        	蓋其當時
엔 莫不自謂
나 而後之人
은 乃更以爲質也
니라 
                        		
                        		
                        		
	                     		
			                       	
			                       	
	                     		
	                     		
		                        
                        	
                        	
                        	
                        	
                        		
                        			
                        			
			                        
			                        	是故로 祭祀之禮엔 陳其籩豆하고 列其鼎俎하고 備其醪醴하여 俯伏以薦하고 思其飲食醉飽之樂而不可見也라
			                         
                        		
                        		
                        		
	                     		
			                       	
			                       	
	                     		
	                     		
		                        
                        	
                        	
                        	
                        	
                        		
                        			
                        			
			                        
                        		
                        		
                        		
	                     		
			                       	
			                       	
	                     		
	                     		
		                        
                        	
                        	
                        	
                        	
                        		
                        			
                        			
			                        
                        		
                        		
                        		
	                     		
			                       	
			                       	
	                     		
	                     		
		                        
                        	
                        	
                        	
                        	
                        		
                        			
                        			
			                        
			                        	體魄降於地
하고 魂氣升於天
하여 恍惚誕謾而不知其所由處
하니 니라 
                        		
                        		
                        		
	                     		
			                       	
			                       	
	                     		
	                     		
		                        
                        	
                        	
                        	
                        	
                        		
                        			
                        			
			                        
			                        	於是
에 於
하고 於
하여 以爲人子之心
이 無所不至也
니라 
                        		
                        		
                        		
	                     		
			                       	
			                       	
	                     		
	                     		
		                        
                        	
                        	
                        	
                        	
                        		
                        			
                        			
			                        
			                        	薦之以滋味
하고 重之以膾炙
하되 恐鬼神之不屑也
하고 薦之以
하고 重之以
하되 恐父祖之不吾安也
니라 
                        		
                        		
                        		
	                     		
			                       	
			                       	
	                     		
	                     		
		                        
                        	
                        	
                        	
                        	
                        		
                        			
                        			
			                        
			                        	於是
에 先黍稷而
稻粱
하고 先
而
하여 以爲不敢忘禮
하고 亦不敢忘愛也
니라 
                        		
                        		
                        		
	                     		
			                       	
			                       	
	                     		
	                     		
		                        
                        	
                        	
                        	
                        	
                        		
                        			
                        			
			                        
			                        	丁寧反復하고 優游而不忍去하여 以爲可以盡人子之心하고 而人子之心도 亦可以少安矣니라
			                         
                        		
                        		
                        		
	                     		
			                       	
			                       	
	                     		
	                     		
		                        
                        	
                        	
                        	
                        	
                        		
                        			
                        			
			                        
                        		
                        		
                        		
	                     		
			                       	
			                       	
	                     		
	                     		
		                        
                        	
                        	
                        	
                        	
                        		
                        			
                        			
			                        
			                        	仲尼區區於衰周之末
하여 收先王之遺文
하고 而與曾子推論禮之所難處
하여 至於毫釐纎悉
하되 니라 
                        		
                        		
                        		
	                     		
			                       	
			                       	
	                     		
	                     		
		                        
                        	
                        	
                        	
                        	
                        		
                        			
                        			
			                        
			                        	及周之亡하여는 天下大壞하여 强凌弱하고 衆暴寡하니 而後世乃以爲用文之弊니라
			                         
                        		
                        		
                        		
	                     		
			                       	
			                       	
	                     		
	                     		
		                        
                        	
                        	
                        	
                        	
                        		
                        			
                        			
			                        
			                        	夫自唐虞以至於商은 漸而入於文하고 至周而文極於天下니라
			                         
                        		
                        		
                        		
	                     		
			                       	
			                       	
	                     		
	                     		
		                        
                        	
                        	
                        	
                        	
                        		
                        			
                        			
			                        
			                        	當唐虞夏商之世
엔 蓋將求周之文
이나 而其
하니 非有所謂質與忠也
니라 
                        		
                        		
                        		
	                     		
			                       	
			                       	
	                     		
	                     		
		                        
                        	
                        	
                        	
                        	
                        		
                        			
                        			
			                        
			                        	自周而下는 天下習於文이라 非文則無以安天下之所不足이니 此其勢然也니라 
			                         
                        		
                        		
                        		
	                     		
			                       	
			                       	
	                     		
	                     		
		                        
                        	
                        	
                        	
                        	
                        		
                        			
                        			
			                        
			                        	今夫冠婚喪祭而不爲之禮하고 墓祭而不廟하고 室祭而無所하니
			                         
                        		
                        		
                        		
	                     		
			                       	
			                       	
	                     		
	                     		
		                        
                        	
                        	
                        	
                        	
                        		
                        			
                        			
			                        
			                        	仁人君子有所不安於其中而曰 不文하여 以從唐虞夏商之質이니라하나
			                         
                        		
                        		
                        		
	                     		
			                       	
			                       	
	                     		
	                     		
		                        
                        	
                        	
                        	
                        	
                        		
                        			
                        			
			                        
			                        	夫唐虞夏商之質
은 蓋將以求周之文而未至者
니 非所以爲法也
 
                        		
                        		
                        		
	                     		
			                       	
			                       	
	                     		
	                     		
		                        
                        	
                        	
                        	
                        	
                        		
                        			
                        			
			                        
			                        	愚竊謂忠質文三字는 以之名三代之治則可어니와 以之論三代之相救하고 而又謂若循環然則不可니라
			                         
                        		
                        		
                        		
	                     		
			                       	
			                       	
	                     		
	                     		
		                        
                        	
                        	
                        	
                        	
                        		
                        			
                        			
			                        
			                        	當其風氣之日開하여 而聖人以漸爲之經緯其間하고 至周而文始大備니라
			                         
                        		
                        		
                        		
	                     		
			                       	
			                       	
	                     		
	                     		
		                        
                        	
                        	
                        	
                        	
                        		
                        			
                        			
			                        
			                        	及周之衰而茍有王者起라도 亦不過循文武成康之遺爾니 豈得又推文而之忠與質乎哉리오
			                         
                        		
                        		
                        		
	                     		
			                       	
			                       	
	                     		
	                     		
		                        
                        	
                        	
                        	
                        	
                        		
                        			
                        			
			                        
                        		
                        		
                        		
	                     		
			                       	
			                       	
	                     		
	                     		
		                        
                        	
                        	
                        	
                        	
                        		
                        			
                        			
			                        
			                        	亦特曰 政由舊故라하나 愚獨謂夏未嘗尚忠이요 商未嘗尚質이요 周亦未嘗尚文이니라
			                         
                        		
                        		
                        		
	                     		
			                       	
			                       	
	                     		
	                     		
		                        
                        	
                        	
                        	
                        	
                        		
                        			
                        			
			                        
			                        	此皆後世之所以仰觀三王之典禮와 與其風俗之可見者而强名之爾니라
			                         
                        		
                        		
                        		
	                     		
			                       	
			                       	
	                     		
	                     		
		                        
                        	
                        	
                        	
                        	
                        		
                        			
                        			
			                        
			                        	孔子曰 周監於二代하니 郁郁乎文哉라하니 頌美之也시니라
			                         
                        		
                        		
                        		
	                     		
			                       	
			                       	
	                     		
	                     		
		                        
                        	
                        	
                        	
                        	
                        		
                        			
                        			
			                        
			                        	假令如後世儒相救之說이면 孔子於此에 必深言之矣시리라
			                         
                        		
                        		
                        		
	                     		
			                       	
			                       	
	                     		
	                     		
		                        
                        	
                        	
                        	
                        	
                        		
                        			
                        			
			                        
                        		
                        		
                        		
	                     		
			                       	
			                       	
	                     		
	                     		
		                        
                        	
                        	
                        	
                        	
                   			
                        	
                        	
                        	
                        	
	                       	
	                       	
	                       	
	                       	
							                       	
	                        
	                        
	                        	
	                        
	                        	
	                        
	                        	
	                        
	                        	
	                        
	                        	
	                        
	                        	
	                        
	                        	
	                        
	                        	
	                        
	                        	
	                        
	                        	
	                        
	                        	
	                        
	                        	
	                        
	                        	
	                        
	                        	
	                        
	                        	
	                        
	                        	
	                        
	                        	
	                        
	                        	
	                        
	                        	
	                        
	                        	
	                        
	                        	
	                        
	                        	
	                        
	                        	
	                        
	                        	
	                        
	                        	
	                        
	                        	
	                        
	                        	
	                        
	                        	
	                        
	                        	
	                        
	                        	
	                        
	                        	
	                        
	                        	
	                        
	                        	
	                        
	                        	
	                        
	                        	
	                        
	                        	
	                        
	                        	
	                        
	                        	
	                        
	                        	
	                        
	                        	
	                        
	                        	
	                        
	                        	
	                        
	                        	
	                        
	                        	
	                        
	                        	
	                        
	                        	
	                        
	                        	
	                        
	                        	
	                        
	                        	
	                        
	                        	
	                        
	                        	
	                        
	                        	
	                        
	                        	
	                        
	                        	
	                        
	                        	
	                        
	                        	
	                        
	                        	
	                        
	                        	
	                        
	                        	
	                        
	                        	
	                        
	                        	
	                        
	                        	
	                        
	                        	
	                        
	                        	
	                        
	                        	
	                        
	                        	
	                        
	                        	
	                        
	                        	
	                        
	                        	
	                        
	                        	
	                        
	                        	
	                        
	                        	
	                        
	                        	
	                        
	                        	
	                        
	                        	
	                        
	                        	
	                        
	                        	
	                        
	                        	
	                        
	                        	
	                        
	                        	
	                        
	                        	
	                        
	                        	
	                        
	                        	
	                        
	                        	
	                        
	                        
	                        
                        	
		                        
		                        
		                        
		                        
                        		
                        	
		                        
		                        
		                        
		                        	
		                        	
		                        
		                        
                        		
                        		
                        			
			                             
                        			
                        		
                        		
	                     		
			                       	
			                       	
	                     		
		                        
                        	
		                        
		                        
		                        
		                        
                        		
                        	
		                        
		                        
		                        
		                        	
		                        	
		                        
		                        
                        		
                        		
                        			
			                             
                        			
                        		
                        		
	                     		
			                       	
			                       	
	                     		
		                        
                        	
		                        
		                        
		                        
		                        
                        		
                        	
		                        
		                        
		                        
		                        	
		                        	
		                        
		                        
                        		
                        		
                        			
			                        
			                        	전傳에 이르기를 “하夏나라의 정치풍조는 충忠(忠厚)을 숭상하고, 상商나라의 정치풍조는 질質(質實)을 숭상하고, 주周나라의 정치풍조는 문文(禮樂制度)을 숭상했다.”고 하였다.
			                              
                        			
                        		
                        		
	                     		
			                       	
			                       	
	                     		
		                        
                        	
		                        
		                        
		                        
		                        
                        		
                        	
		                        
		                        
		                        
		                        	
		                        	
		                        
		                        
                        		
                        		
                        			
			                        
			                        	중니仲尼(孔子) 또한 “주周나라는 두 왕조王朝(하夏‧은殷)의 제도를 참작하였으니, 그 문물제도가 찬란하구나!
			                              
                        			
                        		
                        		
	                     		
			                       	
			                       	
	                     		
		                        
                        	
		                        
		                        
		                        
		                        
                        		
                        	
		                        
		                        
		                        
		                        	
		                        	
		                        
		                        
                        		
                        		
                        			
			                             
                        			
                        		
                        		
	                     		
			                       	
			                       	
	                     		
		                        
                        	
		                        
		                        
		                        
		                        
                        		
                        	
		                        
		                        
		                        
		                        	
		                        	
		                        
		                        
                        		
                        		
                        			
			                        
			                        	나는 《시경詩經》과 《서경書經》을 읽을 때에 당우唐虞시대를 대대로 살펴보고 하상夏商시대에 이르러서 ‘인류가 탄생한 이후로 온 천하가 하루도 문文으로 향하지 않음이 없었다.’고 생각하였다.
			                              
                        			
                        		
                        		
	                     		
			                       	
			                       	
	                     		
		                        
                        	
		                        
		                        
		                        
		                        
                        		
                        	
		                        
		                        
		                        
		                        	
		                        	
		                        
		                        
                        		
                        		
                        			
			                        
			                        	‘문文’이란 것은 “만물萬物이 각각 그 이치를 얻은 것이다.”라고 말한 것과 같다.
			                              
                        			
                        		
                        		
	                     		
			                       	
			                       	
	                     		
		                        
                        	
		                        
		                        
		                        
		                        
                        		
                        	
		                        
		                        
		                        
		                        	
		                        	
		                        
		                        
                        		
                        		
                        			
			                        
			                        	부자父子‧군신君臣의 사이와 형제兄弟‧부부夫婦의 사이에서 이 문文이 말미암아 일어난다.
			                              
                        			
                        		
                        		
	                     		
			                       	
			                       	
	                     		
		                        
                        	
		                        
		                        
		                        
		                        
                        		
                        	
		                        
		                        
		                        
		                        	
		                        	
		                        
		                        
                        		
                        		
                        			
			                        
			                        	이전에 인류가 탄생하던 초기에는 부자父子간에 정분情分이 없고, 군신君臣간에 예법禮法을 지키지 않으며, 형제兄弟간에 서로 우애하지 않고, 부부夫婦간에 서로 보호하지 아니하니, 천하天下가 혼란하여 무질서하고 분투忿鬪하여 서로 고통을 안겨주었다.
			                              
                        			
                        		
                        		
	                     		
			                       	
			                       	
	                     		
		                        
                        	
		                        
		                        
		                        
		                        
                        		
                        	
		                        
		                        
		                        
		                        	
		                        	
		                        
		                        
                        		
                        		
                        			
			                        
			                        	문리文理(禮儀)가 현양顯揚되지 않고 인륜人倫이 밝지 아니하여 살아 있는 어른을 봉양하지 않고 죽은 사람을 매장하지 아니하니, 온 천하 사람들이 모두 걱정하여 마음이 편치 못하였다.
			                              
                        			
                        		
                        		
	                     		
			                       	
			                       	
	                     		
		                        
                        	
		                        
		                        
		                        
		                        
                        		
                        	
		                        
		                        
		                        
		                        	
		                        	
		                        
		                        
                        		
                        		
                        			
			                        
			                        	그런 뒤에 반성해서 마음을 편하게 할 수 있는 예의禮儀를 추구하여 부자父子는 정분을 가지게 하고, 군신君臣은 각각 지위를 지키게 하고, 형제兄弟는 서로 우애하게 하고, 부부夫婦는 내외관계를 바르게 하였다.
			                              
                        			
                        		
                        		
	                     		
			                       	
			                       	
	                     		
		                        
                        	
		                        
		                        
		                        
		                        
                        		
                        	
		                        
		                        
		                        
		                        	
		                        	
		                        
		                        
                        		
                        		
                        			
			                        
			                        	우虞나라와 하夏나라 시대에 와서 그 비야鄙野한 제도를 더욱 제거하였다.
			                              
                        			
                        		
                        		
	                     		
			                       	
			                       	
	                     		
		                        
                        	
		                        
		                        
		                        
		                        
                        		
                        	
		                        
		                        
		                        
		                        	
		                        	
		                        
		                        
                        		
                        		
                        			
			                        
			                        	그러나 오히려 천자天子의 지존至尊으로서 와기瓦器에 밥을 담아 먹고 토기土器에 국을 담아 먹었으며, 거실居室은 토계土階가 석 자 높이이고 지붕을 띠풀로 이고서 그 끝을 가지런히 자르지 않는 등 간소하고 누추한 생활을 하였다.
			                              
                        			
                        		
                        		
	                     		
			                       	
			                       	
	                     		
		                        
                        	
		                        
		                        
		                        
		                        
                        		
                        	
		                        
		                        
		                        
		                        	
		                        	
		                        
		                        
                        		
                        		
                        			
			                        
			                        	그러다가 주周나라에 와서 예악禮樂이 크게 갖추어졌다.
			                              
                        			
                        		
                        		
	                     		
			                       	
			                       	
	                     		
		                        
                        	
		                        
		                        
		                        
		                        
                        		
                        	
		                        
		                        
		                        
		                        	
		                        	
		                        
		                        
                        		
                        		
                        			
			                        
			                        	예악禮樂의 대략적인 것은 부자父子의 사이에서 시작되고, 예악禮樂의 정화精華는 만물萬物의 전반에 걸쳐 베풀어졌으니 그 작용의 범위가 너무도 넓어 무궁무진하였다.
			                              
                        			
                        		
                        		
	                     		
			                       	
			                       	
	                     		
		                        
                        	
		                        
		                        
		                        
		                        
                        		
                        	
		                        
		                        
		                        
		                        	
		                        	
		                        
		                        
                        		
                        		
                        			
			                        
			                        	그래서 대개 그 당시에는 전대前代보다 문명文明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자가 없었으나, 후세 사람은 도리어 그 문명文明이 질박質朴하다고 생각하였다.
			                              
                        			
                        		
                        		
	                     		
			                       	
			                       	
	                     		
		                        
                        	
		                        
		                        
		                        
		                        
                        		
                        	
		                        
		                        
		                        
		                        	
		                        	
		                        
		                        
                        		
                        		
                        			
			                        
			                        	이 때문에 제사祭祀 지내는 예식禮式에 있어서 대그릇과 나무그릇을 진열하고, 솥과 도마를 진열하고, 막걸리와 단술을 준비한 다음, 고개를 숙이고 엎드려서 숭경崇敬하는 마음으로 제수祭需를 올리고서 조상의 영혼靈魂이 그 음식을 흐뭇한 마음으로 배불리 잡수실 것이라 생각하였으나 그 영혼靈魂을 뵐 수가 없었다.
			                              
                        			
                        		
                        		
	                     		
			                       	
			                       	
	                     		
		                        
                        	
		                        
		                        
		                        
		                        
                        		
                        	
		                        
		                        
		                        
		                        	
		                        	
		                        
		                        
                        		
                        		
                        			
			                        
			                        	그래서 울창주鬱鬯酒를 잔에 따라 모사茅沙 위에 부어 신神의 강림降臨을 구하고, 깨끗한 흰 띠를 땅에 깔아서 제품祭品을 진열하였다.
			                              
                        			
                        		
                        		
	                     		
			                       	
			                       	
	                     		
		                        
                        	
		                        
		                        
		                        
		                        
                        		
                        	
		                        
		                        
		                        
		                        	
		                        	
		                        
		                        
                        		
                        		
                        			
			                        
			                        	이미 울창주鬱鬯酒를 모사茅沙 위에 부어서 술이 그 속으로 스며들어 보이지 않으면 영혼靈魂이 흠향한 것으로 생각하였다.
			                              
                        			
                        		
                        		
	                     		
			                       	
			                       	
	                     		
		                        
                        	
		                        
		                        
		                        
		                        
                        		
                        	
		                        
		                        
		                        
		                        	
		                        	
		                        
		                        
                        		
                        		
                        			
			                        
			                        	사자死者의 체백體魄은 땅속으로 들어가고 영혼靈魂은 하늘로 올라가므로 황홀恍惚하고 산만散漫하여 영혼靈魂이 경유하는 곳을 알지 못하니, 자손의 성음聲音과 기미氣味 같은 것이 행여 조상의 영혼靈魂이 오르내릴 때에 도움을 주지 못할까 염려하였다.
			                              
                        			
                        		
                        		
	                     		
			                       	
			                       	
	                     		
		                        
                        	
		                        
		                        
		                        
		                        
                        		
                        	
		                        
		                        
		                        
		                        	
		                        	
		                        
		                        
                        		
                        		
                        			
			                        
			                        	그래서 옥루屋漏에서 종제終祭를 지내고 팽祊에서 역제繹祭를 지내어 인자人子의 마음이 도달되지 않는 곳이 없음을 표시하였다.
			                              
                        			
                        		
                        		
	                     		
			                       	
			                       	
	                     		
		                        
                        	
		                        
		                        
		                        
		                        
                        		
                        	
		                        
		                        
		                        
		                        	
		                        	
		                        
		                        
                        		
                        		
                        			
			                        
			                        	맛있는 음식을 올리고 다시 회자膾炙를 올리되 행여 귀신鬼神이 달갑게 여기지 않을까 염려하였고, 희생犧牲의 피와 털을 올리고 다시 반쯤 해체解體한 희생犧牲을 올리되 행여 부조父祖께서 우리를 돕지 않을까 염려하였다.
			                              
                        			
                        		
                        		
	                     		
			                       	
			                       	
	                     		
		                        
                        	
		                        
		                        
		                        
		                        
                        		
                        	
		                        
		                        
		                        
		                        	
		                        	
		                        
		                        
                        		
                        		
                        			
			                        
			                        	그래서 먼저 서직黍稷을 올리고 뒤에 도량稻粱을 올리며, 먼저 대갱大羮을 올리고 뒤에 서수庶羞를 올림으로써 감히 예의禮儀를 잊지 않음을 표시하고 또한 감히 조상의 유애遺愛를 잊지 않음을 표시하였다.
			                              
                        			
                        		
                        		
	                     		
			                       	
			                       	
	                     		
		                        
                        	
		                        
		                        
		                        
		                        
                        		
                        	
		                        
		                        
		                        
		                        	
		                        	
		                        
		                        
                        		
                        		
                        			
			                        
			                        	여러 차례 반복해서 조상의 신령神靈에게 고하고 배회하며 차마 물러가지 못함으로써 인자人子의 마음을 다하고, 인자人子의 마음이 또한 조금 편할 수 있음을 표시하였다.
			                              
                        			
                        		
                        		
	                     		
			                       	
			                       	
	                     		
		                        
                        	
		                        
		                        
		                        
		                        
                        		
                        	
		                        
		                        
		                        
		                        	
		                        	
		                        
		                        
                        		
                        		
                        			
			                        
			                        	그러므로 세상 사람이 이른바 ‘문文’이란 것은 모두 사람의 불안한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고, 사람의 마음이 편안할 수 있는 것은 사물의 필연적인 이치에 순응하기 때문이다.
			                              
                        			
                        		
                        		
	                     		
			                       	
			                       	
	                     		
		                        
                        	
		                        
		                        
		                        
		                        
                        		
                        	
		                        
		                        
		                        
		                        	
		                        	
		                        
		                        
                        		
                        		
                        			
			                        
			                        	중니仲尼께서는 왕실王室이 쇠미衰微한 주周나라의 말기에 바삐 다니시면서 먼저 선왕先王(주周나라 군주君主)의 유문遺文을 수집하시고 증자曾子와 함께 예禮의 어려운 곳을 추론推論하여 아주 세밀하고 자상하게 하되, 대개 왕도王道의 융성隆盛은 그 문물제도文物制度가 예禮에 있어서 가장 완미完美한 경지에 도달하였기 때문이라고 여겼다.
			                              
                        			
                        		
                        		
	                     		
			                       	
			                       	
	                     		
		                        
                        	
		                        
		                        
		                        
		                        
                        		
                        	
		                        
		                        
		                        
		                        	
		                        	
		                        
		                        
                        		
                        		
                        			
			                        
			                        	주周나라가 망함에 이르러서는 천하天下가 크게 무너져서 강자强者는 약자弱者를 능멸하고 다수多數는 소수少數를 억압하였으니, 후세後世에는 바로 문물제도文物制度를 시용施用한 폐단이라 여겼다.
			                              
                        			
                        		
                        		
	                     		
			                       	
			                       	
	                     		
		                        
                        	
		                        
		                        
		                        
		                        
                        		
                        	
		                        
		                        
		                        
		                        	
		                        	
		                        
		                        
                        		
                        		
                        			
			                        
			                        	당우唐虞로부터 상商나라에 이르기까지는 점차로 문명文明의 단계에 들어갔고, 주周나라에 이르러서는 문명文明이 천하天下에서 최고의 경지에 도달하였다.
			                              
                        			
                        		
                        		
	                     		
			                       	
			                       	
	                     		
		                        
                        	
		                        
		                        
		                        
		                        
                        		
                        	
		                        
		                        
		                        
		                        	
		                        	
		                        
		                        
                        		
                        		
                        			
			                        
			                        	당唐‧우虞‧하夏‧상商의 세대에는 아마 주周나라의 예악제도禮樂制度를 구하려고 해도 형세가 예악제도禮樂制度를 구비할 단계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니, 이른바 ‘질質과 충忠’을 소유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주周나라 이후는 천하天下가 예악제도禮樂制度를 익혔으므로 예악제도禮樂制度가 아니면 천하의 부족한 점을 편안하게 할 수가 없었으니, 이것은 그 형세가 그렇게 하도록 한 것이다.
			                              
                        			
                        		
                        		
	                     		
			                       	
			                       	
	                     		
		                        
                        	
		                        
		                        
		                        
		                        
                        		
                        	
		                        
		                        
		                        
		                        	
		                        	
		                        
		                        
                        		
                        		
                        			
			                        
			                        	지금 사람들은 가관加冠‧혼인婚姻‧상장喪葬‧제사祭祀 때에 의식儀式을 거행하지 않는가 하면, 묘소에서는 제사 지내되 사당에서는 제사 지내지 않고, 실내에서 제사 지내되 제사 지낼 처소가 제대로 없으니,
			                              
                        			
                        		
                        		
	                     		
			                       	
			                       	
	                     		
		                        
                        	
		                        
		                        
		                        
		                        
                        		
                        	
		                        
		                        
		                        
		                        	
		                        	
		                        
		                        
                        		
                        		
                        			
			                        
			                        	인인仁人 군자君子가 마음속에 불안한 바가 있어서 말하기를 “문명文明하지 아니함으로써 당唐‧우虞‧하夏‧상商의 질박質朴을 따를 것이다.”라고 하나
			                              
                        			
                        		
                        		
	                     		
			                       	
			                       	
	                     		
		                        
                        	
		                        
		                        
		                        
		                        
                        		
                        	
		                        
		                        
		                        
		                        	
		                        	
		                        
		                        
                        		
                        		
                        			
			                        
			                        	무릇 당唐‧우虞‧하夏‧상商의 질박質朴은 아마 주周나라의 예악제도禮樂制度를 구하려고 해도 형세가 예악제도禮樂制度를 구비할 단계에 도달하지 못해서이니, 본받을 바가 아니다.
			                              
                        			
                        		
                        		
	                     		
			                       	
			                       	
	                     		
		                        
                        	
		                        
		                        
		                        
		                        
                        		
                        	
		                        
		                        
		                        
		                        	
		                        	
		                        
		                        
                        		
                        		
                        			
			                        
			                        	나는 가만히 생각하건대, 충忠‧질質‧문文 세 글자는 삼대三代의 다스림에 대하여 이름을 매기는 것은 가하거니와, 삼대三代가 서로 구제함을 논하고 또 마치 순환한 것처럼 말하는 것은 불가하다.
			                              
                        			
                        		
                        		
	                     		
			                       	
			                       	
	                     		
		                        
                        	
		                        
		                        
		                        
		                        
                        		
                        	
		                        
		                        
		                        
		                        	
		                        	
		                        
		                        
                        		
                        		
                        			
			                        
			                        	그 풍기風氣가 날로 열릴 때를 당하여 성인聖人이 점차로 그 사이에서 발전시켰고, 주周나라에 이르러서 문물제도文物制度가 비로소 크게 구비되었다.
			                              
                        			
                        		
                        		
	                     		
			                       	
			                       	
	                     		
		                        
                        	
		                        
		                        
		                        
		                        
                        		
                        	
		                        
		                        
		                        
		                        	
		                        	
		                        
		                        
                        		
                        		
                        			
			                        
			                        	주周나라가 쇠할 때에 와서 참으로 왕자王者가 일어났다 하더라도 또한 문왕文王‧무왕武王‧성왕成王‧강왕康王의 유풍遺風을 따르는 것에 불과했을 뿐인데, 어찌 또 문文을 미루어 충忠과 질質로 갈 수 있겠는가?
			                              
                        			
                        		
                        		
	                     		
			                       	
			                       	
	                     		
		                        
                        	
		                        
		                        
		                        
		                        
                        		
                        	
		                        
		                        
		                        
		                        	
		                        	
		                        
		                        
                        		
                        		
                        			
			                        
			                        	그렇지 않으면 탕湯은 어찌하여 우禹의 옛일을 계승하고 무왕武王은 상商을 쳤겠는가?
			                              
                        			
                        		
                        		
	                     		
			                       	
			                       	
	                     		
		                        
                        	
		                        
		                        
		                        
		                        
                        		
                        	
		                        
		                        
		                        
		                        	
		                        	
		                        
		                        
                        		
                        		
                        			
			                        
			                        	또한 다만 “정치는 옛것을 따를 뿐이다.”라고 하지만, 나만은 ‘하夏나라는 일찍이 충忠을 숭상하지 않았고, 상商나라는 일찍이 질質을 숭상하지 않았고, 주周나라 또한 일찍이 문文을 숭상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모두 후세後世 사람들이 삼왕三王의 전례典禮와 그 풍속風俗 중에 볼 수 있는 것을 우러러보고 억지로 이름을 붙였을 뿐이다.
			                              
                        			
                        		
                        		
	                     		
			                       	
			                       	
	                     		
		                        
                        	
		                        
		                        
		                        
		                        
                        		
                        	
		                        
		                        
		                        
		                        	
		                        	
		                        
		                        
                        		
                        		
                        			
			                        
			                        	공자孔子가 말씀하기를 “주周나라는 두 왕조王朝(하夏‧은殷)의 제도를 참작하였으니, 그 문물제도가 찬란하구나!”라고 하셨으니, 아름다움을 칭송하신 것이다.
			                              
                        			
                        		
                        		
	                     		
			                       	
			                       	
	                     		
		                        
                        	
		                        
		                        
		                        
		                        
                        		
                        	
		                        
		                        
		                        
		                        	
		                        	
		                        
		                        
                        		
                        		
                        			
			                        
			                        	가령 후세의 유자儒者가 서로 구제한 말처럼 하였다면 공자孔子께서는 이에 대해 반드시 심도 있게 말씀하셨을 것이다.
			                              
                        			
                        		
                        		
	                     		
			                       	
			                       	
	                     		
		                        
                        	
		                        
		                        
		                        
		                        
                        		
                        	
		                        
		                        
		                        
		                        	
		                        	
		                        
		                        
                        		
                        		
                        			
			                        
			                        	무엇 때문에 유독 이 같은 한 문단의 대의大議만 남기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