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蘇轍(3)

당송팔대가문초 소철(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소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소씨蘇氏父子 往往勸主上先刑罰이니라
한비人臣告君之正이요 特對인종仁宗 似屬對病之藥이니라
天下之道 可以理得이요 而不可以名推니이다
其於天下 不取其形이요 而獨取其意니이다
其道 可以爲善이요 而亦可以爲不善이니이다
何者잇가 其道無常이니 其道無常者 不善之所從生也니이다
夫天下之人 惟知不忍殺人之爲仁也 是故 不忍殺人以自取不仁之名하고 惟知果於殺人之爲義也 是故 不敢不殺以自取不義之名이니이다
是二名者 其所以爲者有形하고 而其所以爲義者有狀이니이다
其進也 有所執其規하고 而其退也 有所蹈其矩니이다
其爲人也 不失爲天下之善人이나 而終不至於君子니이다
有所甚而不堪하고 有所蔽而不見이니 此其爲人 是鄕黨自全之人也니이다
今夫君子 有所殺人以爲이요 而有所不殺以爲義 義不在殺人이요不在於不殺이니이다
其進也 無所據依 而其退也 無所니이다
其成也 天下將皆安之하고 而其不成也 將使天下至於大亂이니이다
是以 天下惡其難明하고 而畏其難就하나니
人臣以是戒其君하고 而人君者 亦以自戒曰 姑爲無殺人以爲仁이요 而姑爲果於殺人以爲義라하나이다
是其仁 可以全身이요 而其義 可以無謗於天下 斯足以爲無過也已矣니이다
맹자孟子有言曰 이요 謂之賊이라하나이다
且夫爲人臣而詔其君 不曰必爲大人之仁義하고 而曰姑爲其易者 以苟避天下之謗이니 此非恐其君之不能之故歟잇가
蓋臣聞之컨대 聖人之道 惟其不可以名稱而迹求者라하나이다
其爲道也 甚深而難成이요 而其成也 亦不若之淺而無功이니이다
공자孔子니라하시나이다
夫一者 何也잇가
知天下萬物之理하여 而制其所當處 是爲一矣니이다
而能得吾一者甚難이니이다
夫天下之畏之者 亦不足怪也니이다
古之聖人 已能知之 則行之而無疑하고 已不能知之 則不敢以己之私意而破天下之公義니이다
使己而好殺人이라도 則天下安可盡殺以成義之名이며 使己而不好殺人이라도 則天下安可盡無殺以成之形이리잇가
蓋必有大臣 救其已甚而補其不足하여 使義不在於殺人하고不在於不殺이리이다
方今天下之治 所不足者니이다
吏聞有以入人之罪 抵重罰이요 而未聞有以失人之罪 抵深法者 民聞有以赦 除其罪 而未聞有以不義 得罪於法之外者 此亦足以見天子之用心矣니이다
古者 君臣之間 하여 上有寬厚之君이면 則下有守法之臣이요 上有急切之君이면 則下有推恩之臣이니 凡以交濟其所不足하여 而彌縫其闕이니이다
今也 君臣之風 上下如一하여 而無以相濟니이다
是以 天下苦於寬緩怠惰하여 而不能自振이니 此豈左右之大臣 務以順從上意爲悅이며 而豈亦天子自信以爲好仁之美하고 而不喜臣下之有所矯拂哉잇가
方今之制 易於行賞而重於用罰이니이다
天下之以獄上者 凡與死比 則皆蹙頞而不悅하니 此其爲意 夫豈不善이니잇가
이나 天下之姦人 無以深懲而切戒之者하니 此無乃爲仁而至於不仁歟잇가
臣愚以爲輔君之善而補其不足 此誠大臣之事니이다
苟天子自信以爲善하고 欲以一人之私好 而破天下之公義 則夫大臣者 猶不可爲也니이다
惟知天子之仁義하여 而無務其迹以成匹夫之節이니 使大臣得參於其間하여 而救其所短이면 此不亦近於天子之道歟잇가
당형천唐荊川인종仁宗인종之過
當時有識之論 每如此니라
소노천老泉상부승상서上富부공상부승상서 亦如此니라


03. 임금의 통솔방법에 대한 책문策文 3
소씨蘇氏 부자는 이따금 주상에게 형벌을 먼저 쓰라고 권하였다.
그 근본이 신불해申不害한비韓非여운餘韻에서 나온 것이니, 신하가 임금에게 고하는 정당한 도리는 아닌 것 같고, 특히 인종仁宗에 대해서만은 병에 대한 약에 속한 것 같다.
천하를 다스리는 방법은 이치로써 구득求得해야 되고 명칭으로써 구득求得해서는 안 됩니다.
그 천하에 있어서 사물의 표면 현상을 취하지 말고, 사물의 실제 의의만을 취해야 합니다.
그 방법은 하게 할 수도 있고, 불선不善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 방법은 고정되어 있지 않으니, 그 방법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은 불선不善이 그것을 따라서 생긴다는 것입니다.
천하 사람들은 오직 차마 못하는 마음으로 사람을 죽이지 않는 것이 이 된다는 것만 알 뿐이므로 잔인하게 사람을 죽임으로써 불인不仁이란 명칭을 스스로 취하지 않고, 오직 과감하게 사람을 죽이는 것이 가 된다는 것만 알 뿐이므로 감히 사람을 죽이지 않음으로써 불의不義란 명칭을 스스로 취하지 않습니다.
이 두 가지 명칭은 그 을 하는 자에게는 의 형상이 있고, 그 를 하는 자에게는 의 형상이 있습니다.
나아갈 때에는 의 원칙에 따라 나아가고, 물러갈 때에는 의 원칙에 따라 물러갑니다.
그러므로 그 사람됨은 천하의 선인善人이 되는 자격을 잃지 않지만, 끝내 군자君子가 되는 데는 이르지 못합니다.
〈정도에〉 지나친 것은 감당하지 못하고 〈사물에〉 가려진 것은 보지 못하니, 이래서 그 사람됨은 바로 향당鄕黨에서 자기만을 보전하는 정도의 사람일 뿐입니다.
지금 군자君子는 사람을 죽이는 것을 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고, 사람을 죽이지 않는 것을 로 여기는 경향이 있으니, 는 사람을 죽이는 데에 있지 않고, 은 사람을 죽이지 않는 데에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나아갈 때에는 의거하는 바가 없이 자유자재로 나아가고, 물러갈 때에도 의거하는 바가 없이 자유자재로 물러갑니다.
그러므로 그 재량이 잘 성취되었을 때에는 온 천하가 장차 모두 편안함을 누리게 될 것이고, 잘 성취되지 못했을 때에는 장차 천하가 대란에 이르게 할 것입니다.
이러므로 천하 사람들은 그것이 명백하게 드러나기 어려운 점을 미워하고, 그것이 완성되기 어려운 점을 두려워하게 되니,
신하는 이것을 가지고 그 임금을 경계하고 임금 또한 스스로 경계하기를 “우선 사람을 죽이지 않는 것을 으로 여기고, 우선 과감하게 사람을 죽이는 것을 로 여길 것이다.”라고 합니다.
여기의 그 은 몸을 보전할 수 있고, 그 는 천하에 비방을 없앨 수 있으니, 이는 족히 허물을 없게 할 따름입니다.
맹자孟子가 말씀하기를 “어려운 일을 임금에게 책임 지우는 것을 이라 이르고, 선도善道를 개진하여 임금의 사심邪心을 막는 것을 이라 이르고, ‘우리 임금님은 가능하지 못하다.’고 하는 것을 이라 이른다.”고 하셨습니다.
남의 신하 된 자가 그 임금께 고계告誡할 때에 “반드시 대인大人인의仁義를 해야 합니다.”라고 말하지 않고, “우선 그 쉬운 것을 해야 합니다.”라고 말하는 것은 천하의 비방을 피하기 위한 것이니, 이는 그 임금이 가능하지 못한 것을 염려한 까닭이 아니겠습니까?
은 듣건대 ‘성인聖人이 천하를 다스리는 방법은 이름으로 일컫거나 자취로 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합니다.
그 방법 자체가 매우 깊어서 성취하기 어렵고, 그 성취하는 것 또한 작은 방법이 얕아서 이 없는 것과 같지 않습니다.
통솔하는 범위는 무진장 넓으나 처치하는 방법은 매우 간략하고, 쥐고 있으면 매우 미세하지만 전파하면 무궁무진합니다.
그러므로 공자孔子께서 말씀하기를 “나는 많이 배워서 기억한 것이 아니라, 나는 하나의 이치로 만사를 꿰뚫어 알 뿐이다.”라고 하셨습니다.
‘하나’란 것은 무엇이겠습니까?
천하 만물의 이치를 알아서 해당하는 곳을 제어하면 이것이 바로 하나가 되는 것입니다.
능히 ‘나의 하나의 이치’란 것을 얻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천하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것은 또한 족히 괴이하게 여길 것이 못 됩니다.
옛날 성인聖人은 이미 능히 알았으면 그것을 행함에 의심함이 없고, 이미 능히 알지 못했으면 감히 자기의 사의私意를 가지고 천하의 공의公義를 파괴하지 않았습니다.
설사 자기가 사람을 죽이기를 좋아한다 해도 천하 사람을 어떻게 다 죽여서 의 이름을 이룰 수 있겠으며, 설사 자기가 사람을 죽이기를 좋아하지 않는다 해도 천하 사람을 어떻게 다 죽이지 않아서 의 형상을 이룰 수 있겠습니까?
반드시 대신大臣이 있어서 이미 심한 것은 구제하고 부족한 것은 보충하여 가 사람을 죽이는 데에 있지 않게 하고, 이 사람을 죽이지 않는 데에 있지 않게 할 것입니다.
현재 천하를 다스림에 있어서 부족한 것은 이 아닙니다.
관리는 사람을 들이는 죄로 중벌을 받은 자가 있다는 말은 들었어도 사람을 잃은 죄로 엄법에 처해진 자가 있다는 말은 듣지 못하였으며, 백성은 사면령으로 그 죄가 면제된 자가 있다는 말은 들었어도 불의不義로 법률 조문 밖에서 죄를 얻은 자가 있다는 말은 듣지 못하였으니, 여기에서 족히 천자天子의 마음 씀을 보겠습니다.
옛날에는 군신君臣의 사이가 화합단결하고 부화뇌동하지 아니하여, 위에 관대하고 후중한 임금이 있으면 아래에 법을 지키는 신하가 있었고, 위에 사리판단하는 일에 급박한 임금이 있으면 아래에 은혜를 미루어가는 신하가 있었으니, 서로 그 부족한 것을 구제하여 그 궐루된 것을 미봉하였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군신君臣의 풍조가 위아래가 한결같아서 서로 구제하는 일이 없습니다.
이 때문에 온 천하가 관완寬緩하고 태타怠惰하여 능히 떨치지 못함에 괴로워하고 있으니, 이것은 좌우의 대신大臣들이 군상君上의 뜻을 순종하는 것으로 즐거움을 삼기를 힘쓰고, 또한 천자天子께서 자신自信하여 을 좋아하는 미덕이라 여기고서 신하들이 바로잡아 주는 것을 기뻐하지 않기 때문이 아니겠습니까?
현재의 제도에서는 을 베푸는 일은 남용하고, 을 주는 일은 인색하게 하고 있습니다.
천하에서 올라온 범인의 죄안을 사죄死罪 안건案件과 비교하여 〈사죄死罪로 정한다면〉 모두들 이마를 찌푸리고 좋아하지 않으니, 그 의미는 어찌 좋은 것이 아닙니까?
그러나 천하의 간인姦人을 깊이 징계하는 이가 없으니, 이것은 을 하여 불인不仁에 이른 것이 아니겠습니까?
의 어리석은 생각으로는 임금의 을 돕고 그 부족한 점을 보충하는 것은 진실로 대신大臣이 할 일입니다.
만일 천자天子께서 자신自信하여 으로 여기고 한 사람이 사적으로 좋아하는 것을 가지고 천하의 공의公義를 파괴시킨다면 대신大臣도 오히려 어떻게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오직 천자天子인의仁義를 알아서 그 표면적인 자취에 힘써 필부匹夫의 절의를 이루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니, 대신大臣으로 하여금 그 사이에 참여하여 그 단점을 구제하게 하신다면 이 또한 천자가 천하를 다스리는 방법에 가깝지 않겠습니까?
당형천唐荊川은 말하기를 “인종仁宗은 너그럽고 인자함이 과도했다.
그러므로 당시에 유식자의 논의가 매번 이와 같았다.
소노천蘇老泉(蘇洵)이 부공富公(富弼)에게 올린 편지(〈상부승상서上富丞相書〉) 역시 이와 같았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君術策 三 : 〈君術策 三〉의 논술 요지는 임금은 이름을 좋아하여 표면적인 仁義를 추구해서는 안 된다는 데 있다.
《欒城應詔集》에는 篇首에 ‘臣聞’ 2字가 있다.
역주2 本出申韓之餘 : 申不害와 韓非가 刑名法術을 하였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역주3 底麗 : 依附와 같은 뜻이다.
역주4 責難於君……謂之賊 : 이 말은 《孟子》 〈離婁 上〉에 보인다.
역주5 : 저본에는 ‘有禮’로 되어 있는데, 《孟子》에 의하여 ‘敬’으로 바꾸었다.
역주6 吾君不能 : 저본에는 ‘而謂吾君不能者’로 되어 있는데, 《孟子》에 의하여 ‘吾君不能’으로 바꾸었다.
역주7 小道 : 禮樂, 刑政 이외의 학설을 가리킨다.
역주8 所御甚廣而所處甚約 : 聖人이 천하를 다스리는 방법이 통솔하는 범위는 무진장 넓어서 포괄하지 않은 것이 없으나 처치하는 방법은 매우 간략하다는 뜻이다.
역주9 握之甚微而播之無極 : 쥐고 있으면 매우 미세한 것이지만 전파하면 무궁무진한 것이란 뜻이다.
역주10 吾非多學而識之 吾一以貫之 : 《論語》 〈衛靈公〉의 “孔子께서 ‘賜(子貢)야, 너는 내가 많이 배워서 기억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느냐?’고 말씀하시니, 자공이 ‘그렇습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하고 대답하였다. ‘아니다. 나는 하나의 이치로 만물을 꿰뚫어 알 뿐이다.’라고 했다.[子曰 賜也 女以予爲多學而識之者與 對曰 然非與 曰 非也 予一以貫之]”는 내용에서 인용한 것이다.
역주11 和而不同 : 《論語》 〈子路〉에 “군자는 화합단결하고 부화뇌동하지 않으며, 소인은 부화뇌동하고 화합단결하지 않는다.[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란 말이 보인다.
역주12 <주석명/> : 孫琮은 《山曉閣選宋大家蘇潁濱全集》에서 “전편을 통틀어 단지 ‘義不在殺人’, ‘仁不在不殺’이란 2句만을 가지고 立論하여 宋代 정치의 우유부단한 실책을 구원하였는데, 한 번 문단을 일으켜 곧 冒頭로 해서 이과 같은 뜻을 정하였다.
아래에서는 善人과 鄕人의 仁義 2段을 가지고 君子의 仁義를 끌어냈는데, 善人과 鄕人은 바로 빈객 역할을 하고 있고, 君子는 바로 주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君子의 仁義를 설명한 데 가서는 그 行仁이 또 빈객 역할을 하고 있고, 行義가 또 주인 역할을 하고 있다.
中幅에서는 大臣이 부족한 점을 보충하고 지나친 점을 구제하는 것을 중요시하였으니, 보충하고 구제하는 것이 적의하면 굳이 自信하여 仁을 좋아하는 미덕이라 여길 필요가 없을 것이다.
末幅에서는 行義를 중요시하였으니, 義로 仁을 보필하면 仁을 하여 不仁의 병폐에 이르는 일이 저절로 없을 것이다.
착상이 기발하고 어법이 자유스러워 모두 문제의 핵심을 통쾌하게 적중한 말들이다.[通篇只將義不在殺人 仁不在不殺二句立論 以救宋治優柔之失 一起卽冒定此意 下以善人鄕人之仁義兩段 倍出君子之仁義 善人鄕人是客 君子是主 至說君子之仁義 其行仁又是客 行義又是主 中幅歸重大臣補救 補救得宜 正不必自信以爲好仁之美 末幅側重行義 義以輔仁 自無爲仁而至不仁之病 警拔頓宕 皆洞中機要之言]”라고 비평하였다.

당송팔대가문초 소철(3)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