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蘇轍(3)

당송팔대가문초 소철(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소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군술책君術五篇 亦是一篇이니 大略欲人군술책知所以御天下之군술책이니라
而行文甚紆徐百折하니 니라
재상宰相이면 不可盡行이요간관諫官이면 不可盡言이니이다
天下之人 誰能必至於간관諫官재신宰臣리잇가
惟其少而學之 長而欲行之어늘 終其身而不當其位 不可以侵官而求盡其意니이다
是故 士大夫之間 猶有不能自盡其才於天子者也니이다
今臣 幸而生於天下無事之時니이다
每一間歲 天子常詔하여 使擧天下之士하시니 上自 而下至於 咸得竭其所懷하여 以盡天下之利害니이다
非天子이나 而得以言萬民之情僞 非天子黜陟賞罰之臣이나 而得以論百官之長短이요 非天子武力將帥之士 而得以議兵革之强弱이요 非天子錢穀大農之吏 而得以搉財用之多少니이다
蓋天下之人 非必爲재상宰相간관諫官而後可盡行而盡言者로되 使之一旦得以詳數而悉說之시니 此有以見天子之意 所以待之者甚重而不輕也니이다
而臣何敢以無說而處於此리잇가
臣常以爲天下之事 雖其甚大而難辦者 天下必有能辦之人이니이다
蓋當今之所謂大患者 不過曰 四夷强盛이나 而兵革不振하고 百姓凋弊 而官吏不飭하고 重賦厚斂이나 而用度不足하고 嚴法峻令이나 而姦宄不止니이다
此四患者 所以使天子坐不安席하고 中夜太息而不寐者也니이다
이나 臣皆以爲不足憂니이다
何者잇가 天下必有能爲天子出力而爲之者니이다
而臣之所憂 在乎天下之所不能如之何者也니이다
臣聞善治天下者 必明於天下之情而後 得御天下之術이라하나이다
術者 所謂道也 得其道하고 而以智加焉이라
是故 謂之術이니이다
古之聖人 惟其知天下之情하고 而以術制之也
萬物 皆可得而役其生이요 皆可得而制其死
牛服於箱이요 馬服於轅이요 鷹隼服於韝니이다
牛不可以有所觸이요 馬不可以有所踶 鷹隼不可以有所擊이니 此三者 喜怒好惡之情 發於其外而見於人也
是以 因其所忌하여 而授之以其術이면 至於終身制於人而不去니이다
且治天下 何異於治馬也리잇가
馬之性 剛狠而難制 急之則弊而不勝하고 緩之則惰而不進이니이다
爲之先後而制其遲速하고 驅之有方而掣之有時 則終日躞躞而不知止 此術之至也니이다
古之聖人 驅天下之人而盡用之하여 仁者使效其仁하고 勇者使效其勇하고 智者使效其智하고 力者使效其力이니이다
天下之人 雖雜然皆列於前이나 安得仁人君子而後任之리잇가
且雖有天下之善人이라도 與之處而不知其情하고 御之而不中其病이면 則雖有好善之心이나 而不獲好善之利니이다
何者잇가 彼不徒爲吾用也 而況乎天下之英雄 欲收其功而不制其心哉리잇가
昔者之際 姦宄猛悍之人 所在而爲寇하니 니이다
皆撫而納諸其中하니 其所以制之者甚備也니이다
玉帛子女牛羊犬馬 以極其豪侈之心하고 輕財好施 敦厚長者 以服其趑趄之懷하며 倨肆傲岸으로 輕侮凌辱하여 以折其强狠之氣니이다
其視天下之英雄 不啻若匹夫孺子이나 皆得其歡心而用其死力이니이다
至於 天下久於太平이니 士大夫生於其間하여 無復英雄難制之風이니이다
天下之士 皆書生好儒 其才氣勇力無足畏者 俛首下氣하여 求爲之用而不暇니이다
원제성제애제평제 亦欲得天下之賢才而用之 然而不知其情하고 不獲其術하니 賢人君子 避讒畏譏하여 遠引而去하고 而小人宦豎 縱橫放肆하여 而制其事하니 此甚可憫也니이다
夫人之平居 朋友之間 僕妾之際 莫不有術以制其變이니 蓋非有深遠難見之事也니이다
欲其用命인댄 而見其所害하고 欲其樂從인댄 而見其所利하고 欲其喜인댄 而致其所悅하고 欲其懼인댄 而致其所忌하고 欲其開心見誠인댄 而示之以無所恐하고 欲其守死不去인댄 而示之以無所往이니이다
此天下之人 皆能知之어늘 而至於治天下則不能用하니 且此過矣니이다
天下以爲天子之尊 無所事術也 而不知天下之事 惟其英雄而後 能有大功이언만 而世之英雄 常苦豪橫太過而難制니이다
由是觀之컨대 治天下愈不可以無術也니이다
자유子由고제高帝駕御英雄一節하여 作議論하니 行文雖善이나 而不切當世情事니라


01. 임금의 통솔방법에 대한 책문策文 1
군술책君術策〉 5편은 역시 1편의 문장을 이룬 것인데, 내용은 대략 임금이 천하를 통솔하는 방법을 알게 하려고 한 것이다.
문장이 매우 느긋하게 흐르며 많은 굽이를 치고 있으니, 파란波瀾이 이는 곳을 익히 관찰해야 할 것이다.
천하의 모든 일은 재상宰相이 아니면 다 행할 수 없고, 간관諫官이 아니면 다 말할 수 없습니다.
천하의 사람들이 누구나 반드시 간관諫官재신宰臣에 이를 수 있겠습니까?
젊어서 배우는 것은 장성해서 실행하려는 것인데, 종신토록 그 직위에 오르지 못하면 다른 관원의 직권을 침범하여 뜻을 펼 수 없습니다.
이 때문에 사대부士大夫들 중에는 오히려 스스로 그 재주를 천자天子께 다 사용하지 못하는 자가 있는 것입니다.
지금 은 다행히도 천하가 무사할 때에 태어났습니다.
매번 한 해 걸러서 천자天子께서는 항상 양제대신兩制大臣에게 명하여 천하의 선비들을 선발하게 하시니, 위로 조정의 관리로부터 아래로 산림山林의 평민에 이르기까지 모두 소회를 기울여 천하의 이해관계를 다 말할 수 있습니다.
〈조정의 관리와 산림의 평민은 비록〉 천자天子의 명령을 전달하는 관원은 아니지만 백성들의 병폐病弊를 말할 수 있고, 천자天子출척黜陟상벌賞罰을 담당하는 신하는 아니지만 관원들의 장단長短을 말할 수 있고, 천자天子의 국방을 담당하는 장수는 아니지만 무기武器강약强弱을 논할 수 있고, 천자天子의 재정과 농업생산을 주관하는 관리는 아니지만 재용財用다소多少를 거론할 수 있습니다.
대개 천하의 사람들은 꼭 재상宰相간관諫官이 된 뒤에야 모두 행하고 모두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들로 하여금 하루아침에 상세히 살피고 모두 열거할 수 있게 하셨으니, 여기에서 〈천하의 인사들에 대한〉 천자天子의 기대가 매우 큰 것을 엿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어떻게 감히 말 없이 여기에 처할 수 있겠습니까?
은 항상 ‘천하의 일은 비록 매우 커서 처리하기 어려운 것이나 천하에 반드시 잘 처리할 사람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대개 현재의 이른바 ‘큰 화환禍患’이란 사이四夷강성强盛한 것에 불과할 뿐인데 병혁兵革이 떨쳐지지 못하고, 백성이 피곤에 지치는데도 관리官吏는 구제하지 않고, 세금을 무겁게 거두지만 용도는 부족하고, 법령이 준엄하지만 안팎에서 난을 일으키는 일은 그치지 않습니다.
이 네 가지 화환은 천자天子로 하여금 마음이 불안하여 한 자리에 오래 앉아 있지 못하고 밤중에 한숨을 쉬며 잠을 이루지 못하시게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은 모두 족히 걱정할 것이 못 된다고 여깁니다.
왜냐하면 천하에는 반드시 능히 천자天子를 위하여 힘을 내어 처리할 자가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 걱정하는 것은 바로 천하의 어떻게 할 수 없는 바에 있는 것입니다.
이 듣건대 ‘천하를 잘 다스리는 이는 반드시 천하의 모든 사정[情]을 밝게 알고 나서 천하를 통솔하는 방법[術]을 터득한다.’고 합니다.
’이란 이른바 ‘’인데, 그 를 터득하고 게다가 지혜를 첨가하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이라 이르는 것입니다.
옛날 성인聖人은 천하의 모든 정상을 밝게 알고 나서 방법을 가지고 제어하였습니다.
그러므로 만물을 모두 통괄하여 살아 있을 때에는 그들의 힘을 활용하고 죽을 때까지 그들의 반항을 제어할 수 있었습니다.
소는 짐을 실어 나르는 일에 복종하고, 말은 수레를 끄는 일에 복종하고, 매[鷹隼]는 팔찌에 얹혀 있는 일에 복종합니다.
그러므로 소는 떠받아서는 안 되고, 말은 발길질해서는 안 되고, 매는 공격해서는 안 되니, 이 세 가지는 기뻐하고 화내고 좋아하고 싫어하는 정상이 밖에 발현되어 사람에게 보인 것입니다.
이 때문에 그들이 꺼리는 바에 따라 그에 적합한 방법을 부여해주면 종신토록 사람에게 제어되어 떠나지 않습니다.
또한 천하를 다스리는 것이 어찌 말을 다스리는 것과 다르겠습니까?
말의 성질은 강한剛狠하여 제어하기 어려우니, 급하게 다루면 피곤해져서 견디지 못하고, 느슨하게 다루면 나태해져서 달리지 않습니다.
왕량王良조보造父가 말의 선후질서를 위하여 그 주행속도의 더디고 빠름을 조절하고, 말을 몰기를 방법에 따라 몰고 말을 끌어당기기를 때에 따라 끌어당기면 말은 종일 그칠 줄 모르고 주행하였으니, 이것이 방법 중의 지극한 방법입니다.
옛날 성인聖人은 천하 사람들을 몰아다가 모두 이용하여, 인자한 사람은 그 인자함을 바치게 하고, 용맹스런 사람은 그 용맹을 바치게 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그 지혜를 바치게 하고, 힘센 사람은 그 힘을 바치게 하였습니다.
천하의 사람들이 비록 각양각색으로 앞에 널려 있다 하더라도 어떻게 꼭 인인仁人 군자君子를 얻어서만 임용하겠습니까?
또한 비록 천하의 선인善人이 있다 하더라도 그와 함께 있되 그의 정상을 알지 못하고, 그를 통솔하되 그의 결점을 맞히지 못한다면, 비록 을 좋아하는 마음을 가졌더라도 을 좋아하는 이익을 얻지 못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저 사람은 공연히 나의 이용자가 되지 않거늘, 하물며 천하의 영웅에 대하여 그 공을 거두려고 하면서 그들 마음을 제어하지 아니하리까?
옛날 나라와 나라가 교차할 때에 간귀姦宄하고 맹한猛悍한 사람들이 곳곳에서 도적으로 변신하니, 고조高祖풍패豐沛 사이에서 일어나 다니면서 그들을 거두어 모았습니다.
경포黥布팽월彭越 등을 모두 어루만져 그 속에 끌어넣었으니, 그들을 제어하는 수단이 매우 잘 완비되었습니다.
옥백玉帛, 자녀子女(美女), 우양牛羊, 견마犬馬를 가지고 호화롭고 사치스런 마음을 충족시켰고, 재물을 가볍게 여겨 베풀기를 좋아하는 돈후敦厚장자長者풍도風度가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주저하며 관망하는 자들의 마음을 신복信服시켰으며, 오만하고 방사한 태도로 경멸하고 모욕하여 그들의 강한强狠를 꺾었습니다.
천하의 영웅들을 필부匹夫유자孺子보다 더 얕잡아 보았지만, 모두 그들의 환심을 사고 그들의 목숨을 아끼지 않는 힘을 이용하였습니다.
나라의 원제元帝성제成帝 세대에 이르러서는 천하가 태평을 누린 지 오래였으므로 사대부士大夫가 그 사이에 출생하여 제어하기 어려운 영웅의 기풍이 다시는 없었습니다.
천하의 선비는 모두 서생書生 호유好儒로서 그 재기才氣용력勇力이 족히 두려워할 것이 없는 자들이었으니, 머리를 숙이고 기를 죽여 써주기만을 구하기에 바빴습니다.
나라의 원제元帝, 성제成帝, 애제哀帝, 평제平帝 또한 천하의 현재賢才를 얻어 쓰려고 하였으나 그 정상을 알지 못하고 그 방법을 터득하지 못하였으므로, 현인賢人군자君子는 참소를 피하고 비방을 두려워하여 멀리 떠나버리고, 소인小人환수宦豎종횡縱橫하고 방사放肆하게 굴어 정사를 간섭하였으니, 이는 매우 민망스러운 일이었습니다.
무릇 사람이 평상시 친구나 노복奴僕비첩婢妾과 서로 접촉하는 시간에 발생하는 변에 대해 제어하는 방법이 없을 수 없으니, 그것은 심원하여 보기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그들이 명령을 받들게 하려고 하면 그들에게 징벌을 받을 것을 보이고, 그들이 즐겨 따르게 하려고 하면 그들에게 이익이 될 것을 보이고, 그들이 기뻐하게 하려고 하면 그들에게 즐거워할 것을 안겨주고, 그들이 두려워하게 하려고 하면 그들에게 꺼리는 것을 안겨주고, 그들이 마음을 열어 성의를 보이게 하려고 하면 그들이 두려워할 바가 없는 것을 보이고, 그들이 목숨을 걸고 지키며 떠나지 않게 하려고 하면 그들에게 갈 곳이 없는 것을 보이는 것입니다.
이것은 천하 사람들이 모두 잘 아는데, 천하를 다스리는 것에만 능히 이용하지 않으니, 이것이 잘못입니다.
천하 사람들은 ‘천자天子지존至尊으로서는 굳이 방법을 일삼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나, 천하의 모든 일은 오직 영웅이어야 큰 공을 이룰 수 있지만, 세상의 영웅들은 호기와 전횡이 너무 지나쳐서 제어하기 어려운 것이 항상 괴로운 문제라는 것을 알지 못합니다.
이것으로 본다면 천하를 다스리는 데는 더욱 방법이 없어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자유子由 고제高帝영웅英雄들을 마음대로 부린 1을 빌어서 의론을 전개하였으니, 문장은 비록 좋으나 당세의 사정은 적중하지 못하였다.


역주
역주1 君術策 一 : 《欒城應詔集》 권6에 〈進策五道〉가 있는데, 이 글은 바로 〈君術〉 제1편이며, 篇首에 ‘臣聞’ 2字가 있다. 본편의 논술 목적은 임금이 신하를 통솔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策은 文體 이름이다. 策에는 對策과 射策 두 가지가 있으니, 《文心雕龍》 〈議對〉에 “對策은 詔命에 응하여 政事에 관한 일을 진술하는 것이고, 射策은 일을 탐구하여 말씀을 드리는 것이니, 말이 이치에 맞는 것이 비유하자면 화살이 과녁에 적중하는 것과 같다.[對策者 應詔而陳政也 射策者 探事而獻說也 言中理准 譬射帿中的]”는 말이 보인다.
《欒城應詔集》의 篇首에 있는 ‘臣聞’ 2字는 策問에 있어 冒頭에 형식적으로 붙인 것이다. 아무리 형식적인 것이라 하더라도 ‘臣聞’ 2字가 있을 경우는 번역에 있어서는 “臣은 듣건대” 또는 “臣은 들으니”라고 번역하여, 들은 말을 인용부호나 종지부 등을 적절하게 써서 문장의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형식적으로 붙은 것을 번역문장에 맞추어 처리하다 보면 어색한 점이 더러 있기 마련이다. 그러나 여기서는 茅坤이 ‘臣聞’ 2字를 가볍게 보고 빼버렸는데, 없는 ‘臣聞’ 2字의 뜻을 굳이 살려 번역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그러므로 〈君術策〉, 〈臣事策〉, 〈民政策〉을 번역함에 있어서는 ‘臣聞’ 2字의 뜻을 살리지 않을 것이다.
역주2 當熟看波 : 四庫全書의 《唐宋八大家文鈔》에는 ‘當熟看波瀾處’로 되어 있다.
역주3 天下之事 : 《欒城應詔集》에는 ‘臣聞天下之事’로 되어 있다.
역주4 兩制大臣 : 兩制는 宋나라 때에 황제의 詔令을 짓는 관원을 知制誥라고 했으며, 지제고에는 內制(내지제고)와 外制(외지제고)가 있었으니, 내제는 翰林學士를 가리키고 외제는 中書舍人을 가리킨다. 한림학사는 황제의 면전에서 기밀 사건의 조서를 짓고, 기타 사건은 중서사인이 재상의 지시를 받아 기초하였다.
역주5 登朝之吏 : 조정에서 벼슬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역주6 山林之匹夫 : 일반 백성을 가리킨다.
역주7 出納耳目之官 : 황제의 명령을 전달하여 아래의 民情을 반영하는 관원을 가리킨다.
역주8 王良造父 : 王良과 造父는 모두 고대에 수레를 잘 어거하고 말을 잘 몰던 사람이다.
역주9 高祖發於豐沛之間 行而收之 : 漢 高祖 劉邦은 처음에 泗水亭長이 되었다가, 秦나라 二世 원년(B.C. 209)에 陳勝과 吳廣이 의병을 일으키니, 蕭何‧曹參 등의 지지하에 군사를 일으켜 향응하고 沛公이라 일컬었으며, 군사를 일으키는 과정에서 鯨布‧彭越 등을 끌어들여 끊임없이 자기의 세력을 확대한 다음, 秦나라를 멸한 뒤에 楚나라 項羽와 싸워 승리하고 漢나라의 개국황제가 되었다.
역주10 黥布彭越之倫 : 黥布는 본명이 英布였는데, 죄를 지어 黥刑을 받고 驪山에서 服役을 했기 때문에 黥布라고 칭하였다. 그는 秦나라 말엽 農民이 起義할 때에 驪山의 刑徒를 이끌고 項羽에게 붙어서 작전할 때에는 항상 先鋒이 되었고 뒤에 九江王에 봉해졌다. 楚나라와 漢나라가 전쟁할 때에는 楚나라를 배반하고 漢나라로 돌아와 淮南王에 봉해지고 劉邦을 따라 項羽를 垓下에서 격멸하였다. B.C. 196년에 韓信과 彭越이 선후로 피살된 뒤에 그는 군사를 일으켜 반란을 하였다가 다음해에 패전하여 피살되었다.
彭越은 劉邦과 項羽가 전쟁할 때에 군사 3만여 명을 거느리고 劉邦에게 가서 梁 지방을 공격하여 점령하고 여러 번 項羽의 糧道를 끊었으며, B.C. 202년에 군사를 거느리고 劉邦과 회합하여 項羽를 垓下에서 격멸하였다. B.C. 196년에 반란을 음모한 죄로 呂后에게 피살되었다.
역주11 元成之世 : 漢나라의 元帝와 成帝의 시대를 가리킨다. 元帝 劉奭은 宣帝 劉詢의 아들로 인자하고 儒生을 좋아하였으며, 宣帝朝에서 형벌을 가혹하게 사용한다고 생각했고, 儒生을 임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즉위한 뒤에는 선후로 貢禹, 薛廣德, 韋玄成, 匡衡 등 유생을 丞相으로 삼았다. 통치기간에는 중앙집권이 쇠약해지고 사회 위기가 심화되고 土豪가 겸병하는 풍조가 성행하여 西漢 王朝가 날로 쇠락해갔다.
成帝 劉鷔는 재위기간에 賢人을 선발하고 太學博士를 확충하도록 하는 등 善政을 도모하였다. 그러나 통솔하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內政이 날로 무너져갔다. 특히 趙飛燕을 총애하고 許皇后를 폐위하였기 때문에 趙氏가 안을 어지럽히고 外家가 정권을 마음대로 휘두르는 경지에 이르렀다.
역주12 <주석명/> : 孫琮은 《山曉閣選宋大家蘇潁濱全集》에서 “전편은 다만 ‘사람을 통솔함에 방법이 있다.[御人有術]’란 한 글귀가 주축을 이루고 있을 뿐이다.
蘇轍은 서문 형태의 글을 적고 나서 먼저 1종의 일을 처리하는 사람을 등장시켜 제1층을 만들었고, 곧 ‘人’자를 따라 사람을 통솔하는 방법을 끌어내어 제2층을 만들었으며, 하나는 비유적으로, 다른 하나는 직접적으로 말하는 형태를 취하면서 가상적으로 단지 방법이 있다는 것만을 말할 뿐, 아직도 실제로는 ‘術’자를 배열하지 않는 상태로 제3층을 만들었고, 漢나라의 방법이 있었을 때와 방법이 없었을 때를 이끌어 하나의 증거를 내세워서 제4층을 만들었으며, 제5층에 이르러서는 바야흐로 사람이 평상시에 남들과 어울리는 일을 빌어 6종의 방법을 나열하였으니, 여기에서 실제로 ‘術’자를 배열하였고, 끝에서 또 ‘천하를 다스림에 방법이 없어서는 안 된다.’고 힘주어 말하여 제6층을 만들었다.
살펴보면 단지 한 개의 ‘術’자만을 발견할 수 있을 뿐이니, 먼저 앞에다 적어서 4층을 만들고, 또 뒤에다 적어서 1층을 만들었는데, 직접적으로 말한 것은 단지 1층일 뿐이고, 1층은 또 단지 6句일 뿐이며, 6句는 또 보통 사람을 빌어서 말했을 뿐, 천하를 다스리는 사람의 신상을 향하여 실제로 적지 않았으니, 문장의 솜씨가 뛰어남을 엿볼 수 있다.
이 편에서는 단지 방법만을 논하고, 아래편에서는 바야흐로 정상을 논하였다.[通篇只是一句御人有術 看他于自敍后 先說出一種辨事之人 爲第一層 隨卽從人字 轉出到御人之術 爲第二層 下一喩一正 虛虛只說有術 尙未實排術字 爲第三層 引漢之有術無術作一証 爲第四層 至第五層 方借人之平居與人 列出六種術來 此方是實排術字 末又歸重治天下不可無術 爲第六層 看來只得一介術字 却先寫作四層于前 又寫作一層于後 而其正講止得一層 一層又止得六句 六句又止借常人而言 幷不向治天下人身上實寫筆 可悟行文松處 此篇只是論術 下篇方是論情]”라고 비평하였다.

당송팔대가문초 소철(3)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