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蘇轍(3)

당송팔대가문초 소철(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소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作士氣니라
通篇 如流風掣雲하니 擧子業中神解也니라
天下有無窮之才 不叩則不鳴이요 不觸則不發이니이다
是以 古之聖人 迎其好善之端하여 而作其勉强之氣하고 日夜不息하니 凡此將以求盡天下之無窮也니이다
夫天下譬如太器焉이니이다
有器不用하고 而置諸牖下하면 久則蟲生其中이니이다
善用器者 提携不去하고 時濯而漑之하여 使之日親於人하고 而獲盡其力하여 以無速敗니이다
有小丈夫 徒知愛其器하고 而不知所以爲愛也하며 知措諸地之安하고 而不知不釋吾手之爲不壞也니이다
是以 事不得成하고 而其器速朽니이다
且夫天下之物 人則皆用其形하고 而不求其神也니이다
神者何也잇가 物之精華果銳之氣也니이다
精華果銳之氣 其在物也 燁然而有光하고 確然而能堅이니이다
是氣也亡이면 則物皆枵然無所用之니이다
夫是氣也 時叩而存之 則日長而不衰하고 置而不知求 則脫去而不居니이다
是氣也 物莫不有也 而人爲甚이니이다
夫夜氣者 所謂精華果銳之氣也니이다
天下亂이면 則君子有以自養而全之하고 而天下治 則天子養之하여 以求其用이니이다
今夫朝廷之精明 戰陣之勇力 獄訟之所以能盡其情 而錢穀之所以能治其要 處天下之紛紜而物莫能亂者 皆是氣之所爲也니이다
蓋古者英雄之君 唯能叩天下之才而存之니이다
是以 所求而必從하고 所欲而必得이니이다
무제武帝 태종太宗 國富而兵强하여 所欲如意하고 而天下之才 用之不見其盡이니이다
當其季年 元臣宿將 死者太半이나 而新進之士 亦有足以辦天下니이다
由此觀之 則天下固有無窮之才 而獨患乎上之不叩不觸하여 而使其神弛放而不張也니이다
臣竊觀當今之人문장文章하고 習議論하고 明會計하고 聽獄訟하니 所以爲治者 其類莫不備具 而天下之所少者장수將帥武力之臣이니이다
往者 天下旣安 先世老將已死하니作難이니이다
當此之時 天子茫然反顧하고 思得寄才良將以屬之兵이나 而終莫可得이니이다
其後數年 邊鄙日蹙하고 兵勢日急하니 士大夫始漸習兵하고서하西夏臣服이니이다
以至于今 又將十有餘年이니 而曩之所謂西邊之良將者 亦已略盡矣니이다
而天下之人 未知誰可任以爲將이리잇가
此甚可慮也니이다
夫天下之事 莫難於이요 而今世之所畏 莫甚於爲將이니이다
責之以難事하고 强之以其所甚畏하되 而不作其氣니이다
是以 장수將帥之士 若此不可得也니이다
蓋嘗聞之컨대 善用兵者 雖匹夫之賤이라도 亦莫不養其氣而後 求其用이니 方其未戰也 使之投石超距하여 以致其勇이라
其後遇敵而不懼하고 見難而效死라하나이다
何者잇가 氣盛故也니이다
今天下有大弊二 以天下之治安으로 而薄天下之武臣하고 以天下之冗官으로 而廢天下之武擧니이다
彼其見天下之方然이면 則摧沮退縮하여 而無自喜之意리니이다
今之武臣 其子孫之家 往往轉而從진사進士니이다
臣欲復武擧하고 重武臣이니 而天子 時亦親試之以騎射하여정관其能否而爲之賞罰정관貞觀之故事하면
雖未足以盡天下之奇才 要以使之知上意之所悅하여 有以自重而爭盡其力이면 則夫장수將帥之士 可以漸見矣리니이다
空引이니라
此與동파공坡公축재용책蓄材用으로 皆言武擧之不可廢 而其文故爲紆徐百折하니 譬之走강한江漢之水 數千里而到海 則一壑耳니라


03. 신하의 할 일에 대한 책문策文 3
사기士氣를 진작시킬 것에 대한 논술이다.
전편의 문장이 마치 바람이 구름을 끌어당기는 것과 같으니, 거자업擧子業(과거 시험 공부) 중에 신묘한 문장이다.
천하에는 무궁무진한 인재가 있지만, 북을 두드리지 않으면 울리지 않듯이 〈발굴하지 않으면 나타나지 않고,〉 화살이 부딪치지 않으면 발사되지 않듯이 〈등용하지 않으면 발휘되지 않습니다.〉
이러므로 옛날 성인聖人은 그들이 을 좋아하기 시작한 시점을 포착하여 면강勉强하는 그들의 를 진작시켰고, 마려磨礪하고 단련鍛鍊하는 일을 주야로 쉬지 않았으니, 이것은 장차 천하의 무궁무진한 인재를 다 구하려는 것이었습니다.
천하는 비유하자면 큰 그릇과 같습니다.
그릇이 있는데도 사용하지 않고 창문 아래에 놓아둘 경우, 오래되면 벌레가 그 속에서 생깁니다.
그러므로 그릇을 잘 사용하는 사람은 항상 휴대하여 신변에서 떠나가지 않게 하고, 수시로 깨끗이 씻어서 날마다 사람 곁에 가까이 두고 그 힘을 다 이용하여 빨리 패멸되지 않게 합니다.
소장부小丈夫는 한갓 그 그릇을 사랑할 줄만 알고 사랑하는 까닭은 알지 못하며, 땅에다 두는 것이 안정되는 줄만 알고 내 손에서 놓지 않는 것이 파괴되지 않는다는 것은 모릅니다.
이러므로 일은 이루어지지 않고 그 그릇은 빨리 썩습니다.
또한 천하의 사물에 대하여 사람들은 모두 그 형체만 사용하고 그 정신은 구하지 않습니다.
정신이란 것은 무엇인가 하면, 사물의 가장 우수한 과단성 있고 예민한 기질입니다.
가장 우수한 과단성 있고 예민한 기질이 사물에 있을 때에는 환하게 빛이 나고 단단하고도 견고합니다.
그 기질이 없으면 사물이 모두 텅 비어서 쓸 데가 없습니다.
이 기질은 수시로 발굴하여 간직하면 날로 자라 쇠하지 않고, 버려두고서 구할 줄을 알지 못하면 이탈해 가고 머물러 있지 않습니다.
이 기질은 사물이 모두 가지지만, 사람의 신상에 심하게 나타납니다.
맹자孟子가 말씀하기를 “사람의 낮과 밤에 자라나는 바와 이른 아침의 맑은 기운에, 낮에 하는 소행이 이것을 망가뜨리니, 망가뜨리기를 반복하면 야기夜氣가 보존될 수 없다.”고 하였으니,
야기夜氣’라는 것이 이른바 ‘가장 우수한 과단성 있고 예민한 기질’입니다.
천하가 어지러우면 군자君子가 간직하여 스스로 길러서 온전하게 하고, 천하가 다스려지면 천자天子가 길러서 그 이용을 구합니다.
지금 조정朝廷정명精明전진戰陣용력勇力옥송獄訟의 그 실정을 다할 수 있는 것과 전곡錢穀의 그 요긴함을 다스릴 수 있는 것과 천하의 분분한 속에 처하여 사물이 어지럽지 못하는 것은 모두 이 기질이 하는 바입니다.
옛날 영웅다운 임금은 천하의 인재를 발굴하여 간직하였습니다.
이러므로 구하는 바는 반드시 따랐고, 하려고 하는 바는 반드시 얻었습니다.
무제武帝 태종太宗은 나라가 부유하고 군대가 강하므로 하고 싶은 것이 뜻과 같이 되었고, 천하의 인재는 계속 써도 고갈되지 않았습니다.
그 말년에는 원로대신元老大臣노장老將이 죽은 자가 태반이었으나 신진新進의 인사도 족히 천하를 다스렸습니다.
이것으로 본다면 천하에는 본래부터 무궁한 인재가 있는데, 다만 위에서 발굴하지 않고 등용하지 아니함으로써 그들의 정신이 풀려서 신장되지 못하게 하는 것이 걱정일 뿐입니다.
이 가만히 살펴보건대, 현재의 사람들은 문장文章을 다스리고, 의론議論을 익히고, 회계會計를 밝히고, 옥송獄訟을 심판하니, 치국治國하기 위한 것은 그 종류가 구비되지 않은 것이 없으나, 천하에 모자란 것은 유독 장수將帥무력武力의 신하일 뿐입니다.
왕년에 천하가 이미 안정됨에 선세先世노장老將이 이미 죽으니, 서구西寇가 난을 일으켰습니다.
이때에 천자天子께서 사태를 심각하게 생각하고 (奇)才와 양장良將을 얻어 군사를 맡기려고 하였으나 끝내 얻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로부터 수년 후에 변경의 형세는 날로 악화되고 군사의 형편은 날로 위급해지니, 사대부士大夫들은 점점 병법兵法을 익히기 시작했고 따라서 서하西夏신복臣服하였습니다.
오늘에 이르는 기간이 또 10여 년이 되어가니, 왕년에 이른바 ‘서변西邊양장良將’이란 자들 또한 이미 다 죽어갔습니다.
천하의 사람 중에 누가 맡아 장수가 될지 모르겠습니다.
이것이 매우 염려할 일입니다.
천하의 일은 용병用兵보다 어려운 것이 없고, 지금 세상의 두려움은 장수가 되는 일보다 심각한 것이 없습니다.
그런데 어려운 일을 책임 지우고 두려운 일을 강요하면서 사기는 진작시키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장수將帥로 삼을 인사를 이와 같이 얻을 수 없는 것입니다.
일찍이 듣건대 “용병用兵을 잘하는 사람은 비록 천한 필부匹夫라 하더라도 그의 를 기른 뒤에 그의 이용을 구하였으니, 아직 전쟁이 있기 전에 군사들로 하여금 돌도 던지고 뛰어오르기도 해서 그 용기를 기르게 하였다.
그러므로 그 뒤에 을 만나도 두려워하지 않고 을 만나면 목숨을 바쳤다.”고 하였습니다.
왜냐하면 가 왕성했기 때문입니다.
지금 천하에는 큰 폐단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천하가 치안治安되었다고 해서 천하의 무신武臣을 박대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천하의 용관冗官(불필요한 관리)이란 이유를 들어서 천하의 무거武擧(武科)를 폐지하는 것입니다.
무신武臣들은 천하가 이런 양상이 되어 있음을 보면 기가 꺾여 움츠려져서 스스로 기뻐하는 뜻이 없을 것입니다.
지금의 무신武臣은 그 자손들의 집안이 이따금 전환하여 진사進士를 따릅니다.
그러므로 무거武擧를 회복하고 무신武臣을 중시하려고 하는 것이니, 천자天子께서도 수시로 또한 말타기와 활쏘기를 직접 시험 보여서 그 유능하고 못한 것을 관찰하여 상을 주고 벌을 주는 것을 나라 정관貞觀고사故事처럼 하소서.
그러면 비록 족히 천하의 기재奇才를 다 선발하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요컨대 그들로 하여금 윗분 의중의 기뻐하는 바를 알아서 스스로 긍지를 가지고 앞다투어 그 힘을 다하게 한다면, 장수將帥다운 인사가 점점 나타날 것입니다.
공연히 문제를 떠올렸다.
이는 동파공東坡公(蘇軾)의 〈축재용책蓄材用策〉과 더불어 모두 ‘무거武擧를 폐지할 수 없음’을 말하였으나, 그 문장은 휘휘 감아 여러 굽이를 이루었으니, 비유하자면 흐르는 강한江漢의 물이 수천 리를 가서 바다에 이르면 하나의 큰 물웅덩이를 이루는 것과 같다.


역주
역주1 臣事策 三 : 〈臣事策 三〉의 요지는 士氣를 진작시켜서 人材를 培養하는 것을 논술함에 있다.
《欒城應詔集》에는 篇首에 ‘臣聞’ 2字가 있다.
역주2 洗濯磨淬 : 人材에 대한 磨礪와 鍛鍊을 비유한 말이다.
역주3 人之日夜之所息……則其夜氣不足以存 : 《孟子》 〈告子 上〉에 “비록 사람에게 간직된 것인들 어찌 仁義의 마음이 없으랴마는 그 良心을 잃어버림이 또한 도끼와 자귀가 나무에 대해서 아침마다 베어가는 것과 같으니, 이렇게 하고서도 아름답게 될 수 있겠는가. 낮과 밤에 자라나는 바와 이른 아침의 맑은 기운에 그 좋아하고 미워함이 남들과 서로 가까운 거리가 얼마 멀지 않는데, 낮에 하는 소행이 이것을 망가뜨리니, 망가뜨리기를 반복하면 夜氣가 보존될 수 없고, 夜氣가 보존될 수 없으면 禽獸와의 거리가 멀지 않게 된다. 사람들은 그 禽獸 같은 행실만 보고는 일찍이 훌륭한 材質이 없다고 여기니, 이것이 어찌 사람의 본정이겠는가.[雖存乎人者 豈無仁義之心哉 其所以放其良心者 亦猶斧斤之於木也 旦旦而伐之 可以爲美乎 其日夜之所息 平旦之氣 其好惡與人相近也者幾希 則其旦晝之所爲 有梏亡之矣 梏之反覆 則其夜氣不足以存 夜氣不足以存 則其違禽獸不遠矣 人見其禽獸也 而以爲未嘗有才焉者 是豈人之情也哉]”라고 한 말을 적절하게 요약한 것이다.
역주4 西寇 : 西夏를 가리킨다.
역주5 用兵 :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작전하는 일을 가리킨다.
역주6 <주석명/> : 孫琮은 《山曉閣選宋大家蘇潁濱全集》에서 “대의는 바로 武擧를 회복하고 武臣을 중시하고자 함이니, 이른바 ‘그 인재를 다 구한다.’는 것이다.
묘미는 前幅의 ‘用器說’로부터 흘러와서 ‘善用’과 ‘不善用’ 두 段으로 나누어 적은 데에 있다. 그 前幅을 읽을 때에는 반드시 그 後幅을 연상할 수 있으므로 다시 기이한 관경이 펼쳐져 있고, 그 後幅을 읽을 때에는 도리어 그 前幅의 浩渺한 광경에 경악해야 할 것 같으니, 참으로 기이한 筆致이다.[大意是欲復武擧 以重武臣 正所謂求盡其才也 妙在前幅從用器說來 分寫善用不善用兩段 讀其前幅 必意其後幅 更有奇觀 讀其後幅 若反駭其前幅之浩渺 眞是奇筆]”라고 비평하였다.

당송팔대가문초 소철(3)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