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蘇轍(2)

당송팔대가문초 소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소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등우相持久而不決이라
遺之풍이馮異하여 代將而功成이니라
是時 赤眉方入장안長安하니 諸將豪傑 皆勸등우徑乘其亂이니라
등우曰 吾衆雖多 能戰者少 前無可仰之積이요 後無轉饋之資니라
赤眉新拔장안長安하니 財富兵銳 未易當也니라
群居하여 無終日之計 財穀雖多 變故萬端이니 非能堅守者也니라
상군上郡북지北地安定三상군 土廣人稀하니 饒穀多畜이니라
吾且休兵北道하고 就糧養士하여 以觀其變이면 乃可圖也라하고 於是 引兵北屯순읍栒邑하니라
광무제光武聞之하고등우以時進討하니 등우固執前意하고 盤桓不進하니라
明年 赤眉西走부풍扶風한대 등우乃入장안長安하여 謁祠고조하고 收十一帝神主이나 하니라
蓋赤眉之亂 광무제光武欲急攻之하고 등우欲緩取之니라
議者見등우之敗하고 因以등우爲失計 吾以爲不然이니라
赤眉方彊하니 急之實難이요 緩之爲得이니라
逮其自敗하여 西走부풍扶風등우乘之언만 猶能還兵敗등우 而況其未走也哉
광무제光武之計 蓋不知赤眉方彊하고등우兵力不足이니라
若審知如此하여등우堅守北道하되 時出撓之하고 而使別將挾持其東하여 東西蹙之하되 磨以歲月이면 而赤眉成擒矣리니라
등우之敗而西歸也풍이馮異相遇하여풍이共攻赤眉한대
풍이풍이與賊相遇하며 且數十日 雖屢獲雄將이나 餘衆尙多하니 可稍以恩信傾誘 難卒用兵破也니라
上今使諸將屯민지澠池하여 要其東하고 而異擊其西하니 一擧取之니라
由此觀之컨대 등우本計不失이언만광무제不能用하고 등우亦迫於君命하여 不能自固耳니라


02. 등우鄧禹에 대한
혹자가 말하기를 “전쟁은 빨리 결말지어야 한다는 것은 들었어도 교묘한 술책으로 오래 끈다는 것은 보지 못했다.”라고 하였다.
등우鄧禹적미赤眉와 오랫동안 서로 버티며 결말을 보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그 문제를 풍이馮異에게 넘겨주어 대신 장수를 시키니 공이 이루어졌다.
등우鄧禹가 처음에 군사를 이끌고 관중關中에 들어가 승전의 기세를 타고 홀로 승리해가니 관중關中삼보三輔에 명성이 크게 떨쳤다.
이때에 적미군赤眉軍이 막 장안長安에 쳐들어오니, 여러 장수와 호걸豪傑들은 모두 등우鄧禹에게 장안長安을 제압하도록 권하였다.
그러자 등우鄧禹가 말하기를 “우리 군사가 비록 많으나 싸움 잘하는 군사는 적으며, 앞에는 믿을 만한 축적蓄積이 없고 뒤에는 운송할 수 있는 군량이 없다.
적미군赤眉軍은 갓 장안長安을 탈취하였으므로 재물의 풍부함과 군사의 예리함을 쉽게 당하지 못한다.
그러나 도적盜賊은 떼를 지어 살 뿐 장구한 계책이 없고, 재곡財穀은 비록 많지만 변고變故가 각양각색이니, 굳게 지킬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상군上郡북지北地안정安定은 땅은 넓고 사람은 적으니 곡식이 많이 저축되어 있다.
나는 장차 북도北道에서 군사를 휴식시키고 식량이 있는 곳으로 가서 군사를 양성하며 그 변고를 관망할 것이니, 그러면 그들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고는 이에 군사를 이끌고 북쪽으로 가서 순읍栒邑에 진을 쳤다.
광무제光武帝가 이 소식을 듣고 등우鄧禹에게 명하여 즉시 진군進軍하여 적미赤眉를 치게 하니, 등우鄧禹는 앞에서 주장한 뜻을 고집하고 머뭇거리며 진군하지 않았다.
이듬해에 적미赤眉가 서쪽을 향하여 부풍扶風으로 달아나니, 등우鄧禹는 곧 장안長安에 들어가서 고조高祖의 사당에 배알하고 11신주神主를 거두었으나 끝내 관중關中을 평정하지 못하고 공이 없이 돌아왔다.
대개 적미군赤眉軍광무제光武帝는 급하게 공격하려 하였고, 등우鄧禹는 느슨하게 취하려고 하였다.
의논하는 자는 등우鄧禹의 패배를 보고 이내 등우鄧禹모획謀劃이 잘못된 것으로 여겼지만, 나는 그렇지 않다고 여긴다.
적미군赤眉軍이 바야흐로 강성하니, 급하게 공격하는 것은 실로 어려운 일이고, 느슨하게 대처하는 것이 득이 되는 일이었다.
그들이 스스로 패하여 서쪽을 향해 부풍扶風으로 달아날 때에 등우鄧禹가 그 기회를 타서 공격하였는데도 그들은 오히려 군사를 돌이켜 등우鄧禹를 패퇴시킬 수 있었거늘, 하물며 그들이 달아나지 않고 있을 때야 오죽하였겠는가?
광무제光武帝의 계략으로 말하면 아마 적미군赤眉軍이 바야흐로 강성하고 등우鄧禹병력兵力이 부족하다는 것을 몰랐던 모양이다.
만약 이와 같은 상황을 확실히 알아서, 등우鄧禹북도北道를 굳게 지키면서 수시로 나아가 적미군赤眉軍을 교란케 하고, 별장別將은 그 동쪽을 공략하게 해서 동쪽과 서쪽에서 압박해가며 일정 시간을 기다렸더라면 적미군赤眉軍은 사로잡혔을 것이다.
등우鄧禹가 패하여 서쪽으로 돌아올 때에 풍이馮異를 만나서 풍이馮異더러 함께 적미군赤眉軍을 치자고 요구하니,
풍이馮異가 말하기를 “나는 을 만나 수십 일 동안 비록 여러 번 웅장雄將(勇將)을 노획하였지만 남은 적이 아직도 많으니 점차 은혜와 신의로 순복順服시켜야 되지, 갑자기 군사를 써서 깨뜨리는 것은 어렵습니다.
상감께서 지금 여러 장수들은 민지澠池에 주둔하여 그 동쪽을 요격하게 하고, 나는 그 서쪽을 치게 하셨으니, 일거一擧에 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만전萬全의 계책입니다.”라고 하였지만, 등우鄧禹는 또 그 말을 따르지 않고 〈적미군赤眉軍과 싸우다가〉 패하였다.
이것으로 본다면 등우鄧禹의 본래 계획은 잘못된 것이 아니었지만 광무제光武帝가 써주지 않았고, 등우鄧禹 또한 광무제光武帝의 명령에 핍박되어 자기의 지위를 확고하게 다질 수 없었다.


역주
역주1 鄧禹論 : 鄧禹(2~58)는 東漢 新野 사람으로 字는 仲華이다. 그는 長安에 遊學할 때부터 光武帝 劉秀와 친하였다. 그런데 光武帝는 천하를 안정시키고 공을 논할 때에 鄧禹를 首勳에서 배제하여 高密侯에 봉하였다.
《欒城集》에는 이 글의 標題를 〈鄧禹〉라고 하였다.
역주2 兵聞拙速未睹巧之久也 : 《孫子兵法》 〈作戰〉에 보인다.
역주3 赤眉 : 西漢 말기에 王莽이 漢 王朝를 簒奪하자, 樊崇‧逢安 등이 군사를 일으켜 王莽의 군사와 구별하기 위하여 눈썹을 붉게 칠했기 때문에 이름을 ‘赤眉’라고 하였다. 赤眉軍은 劉玄을 격파한 다음 劉盆子를 帝로 세우고 江‧淮 사이를 횡행하며 세력을 떨치다가 뒤에 光武帝에게 격파당하였다.
역주4 鄧禹……關輔響震 : 《後漢書》 〈鄧禹列傳〉에 의하면 “光武帝 更始 연간에 赤眉軍이 서쪽으로 關中에 들어가니, 光武帝는 赤眉軍이 반드시 長安을 격파하리라 생각하고 鄧禹를 前將軍으로 삼아 군사를 이끌고 서쪽으로 가게 하였다. 鄧禹는 선후로 河東‧安邑 등을 쳐서 승리하고 여러 명의 대장을 참수하고, 그 공으로 大司徒에 임명되었다. 鄧禹는 일찍이 乘勝長驅하였고 行軍에도 紀律이 있었으므로 군중이 모두 그 풍문을 듣고 군사를 맞이하였으니, 항복하는 자가 날마다 수천 명이 되었으며, 이때에 명성이 關西를 울렸다.”고 한다.
역주5 關輔 : 關中과 三輔 지구를 가리킨다. 渭城 이서를 右扶風에 소속시키고, 長安 이동을 京兆尹에 소속시키고, 長陵 이북을 左馮翊에 소속시켜 京師를 보조하게 하였으니, 이를 ‘三輔’라고 한다.
역주6 盜賊 : 여기서는 起義兵을 卑稱한 것이다.
역주7 卒不能定關中 無功而歸 : 鄧禹가 長安에 들어간 뒤에 赤眉軍과 두 차례 싸웠지만 모두 패전하고 宜陽으로 돌아온 뒤에 大司徒의 관직을 내놓았다.
역주8 異曰……此萬全計也 : 이 말은 《後漢書》 〈馮異傳〉에 보이는데, 〈馮異傳〉에는 ‘相遇’가 ‘相拒’로, ‘萬全’이 ‘萬成’으로 되어 있다.
역주9 禹又不從而敗 : 鄧禹가 赤眉軍과 제2차 교전에서 실패한 일을 가리킨다.

당송팔대가문초 소철(2)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