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蘇轍(3)

당송팔대가문초 소철(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소철(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分兩扇總敍하다
자유子由 欲感悟主上하여 察臣下之情하여 以收其御臣下之術이니라
이나 通篇論古處透하고 而影今處不切하니 此其所以不及구양자歐陽子니라
將求御天下之術이면 必先明於天下之情이니이다
不先明於天下之情이면 則與無術何異리잇가
夫天下之術 臣固已略言之矣 而又將竊言其情이리이다
今使天子皆得賢人而任之 雖可以無憂乎其爲姦이나이나 猶有情焉이니 而不可以不知니이다
蓋臣聞之컨대 人有好爲名高者하니
臨財推之하여 以讓其親하고 見位去之하여 以讓其下일새
進而天子禮焉이면 則以爲歡하고 進而不禮焉이면 則雖逼之 而不食其祿하고
力爲廉恥之節하여 以高天下라하니이다
若是而天子不知焉하고 而豢之以厚利 則其心赧然有所不平이니이다
人有好爲厚利者하니 見祿而就之하여 以優其身하고 見利而取之하여 以豐其家일새 良田大屋 惟其與之 則可以致其才라하나이다
如是而天子不知焉하고 而强之以名高 則其心缺然하여 有所不悅於其中이니이다
人惟無好自勝也 好自勝而不少柔之 則忿鬪而不和니이다
人惟無所相惡也 有所相惡而不爲少避之 則事其私怒而不求成功이니이다
素剛則無折之也하고 素畏則無强之也하니
强之則將不勝하고 而折之則將不振이니이다
凡此數者 皆所以求用其才而不傷其心也니이다
이나 猶非所以馭天下之姦雄이니이다
蓋臣聞之컨대 天下之姦雄 其爲心也甚深하고 而其爲迹也甚微하여 將營其東이면 而形之於西하고 將取其右 而擊之於左라하나이다
古之人 有欲得其君之權者하니 不求之其君也하고 優游翶翔而聽其君之所欲爲하여 使之得其所欲하고 而油然自放하여 以釋天下之權이니이다
天下之權 旣去其君하여 而無所歸然後 徐起而收之
能取其權이나 而其君不之知니이다
古之人有爲之者하니 是也니이다
夫人旣獲此權也하면 則思專而有之하고 專而有之 則常恐天下之人 從而傾之니이다
夫人惟能自固其身而後 可以謀人이니 自固之不暇而欲謀人也 實難이니이다
古之權臣 常合天下之爭이니이다
天下且相與爭而不解 則其勢無暇及我니이다
是故 可以久居而不可去니이다
古之人有爲之者하니이임보李林甫是也니이다
世之人君 苟無好善之心이니이다
幸而有好善之心이면 則天下之小人 皆將賣之以爲姦이니이다
何者잇가 有好善之名하고 而不察爲善之實이니이다
天下之善 固有可以謂之惡이요 而天下之惡 固有可以謂之善者 彼知吾之欲爲善也 則或先之以善하고 而終之以惡하며 或有指天下之惡하여 而飾之以善이니이다
古之人有爲之者하니 是也니이다
人之將欲爲此釁也하고 將欲建此事也 必先得於其君이니이다
欲成事 而君有所不悅이면 則事不可以成이니이다
古之姦雄 劫之以其所必不能이니 其所必不能者 不可爲也 則將反而從吾之所欲爲니이다
此數者 天下之至情이니이다
聖人見其初而求其終하고 聞其聲而推其形이니이다
蓋惟能察人於無故之中이라 天下莫能欺니이다
何者잇가 無故者 必有其故也니이다
古者明王在上하니 天下之小人 伏而不見이니이다
夫小人者 豈其能無意於天下也리잇가
擧而見其情하고 發而中其病이니이다
是以 愧恥退縮而不敢進이니이다
臣欲天子明知君子之情하여 以養當世之賢公名卿하고 而深察小人之病하여 以絶其自進之漸이니 此亦天下之至明也니이다


02. 임금의 통솔방법에 대한 책문策文 2
두 갈래로 나누어서 총체적으로 서술하였다.
자유子由주상主上감오感悟시켜 신하의 정상을 살펴서 신하를 통솔하는 방법을 거두게 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전편을 통하여 옛 일을 논한 부분은 투철透徹하고, 지금 일을 논한 부분은 절실하지 못하니, 이래서 구양자歐陽子(歐陽修)만 못하게 된 것이다.
장차 천하를 통솔할 방법을 구하려고 하면 반드시 먼저 천하의 모든 정상에 밝아야 합니다.
먼저 천하의 모든 정상에 밝지 못하면 방법이 없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천하를 통솔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 이미 대충 말씀드렸으니, 또한 그 정상에 대하여 넌지시 말씀드리겠습니다.
지금 가사 천자天子께서 모두 현인賢人을 얻어 직책을 맡겼다면 비록 그 간사한 짓을 하는 것을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겠지만, 오히려 ‘정상’이란 것이 있으니, 그것을 몰라서는 아니 됩니다.
은 듣건대 ‘사람 중에는 명예를 높이기를 좋아하는 자가 있으니,
재물을 대하면 밀쳐서 친한 사람에게 양보하고, 관직을 보면 버려서 아랫사람에게 양보하는 마음을 가지므로,
출사出仕하여 천자天子가 예우하면 기뻐하고, 출사하여 천자가 예우하지 않으면 아무리 강요해도 그 녹봉祿俸을 먹지 않고,
염치廉恥의 절의만을 힘써 행하여 천하에 들날린다.’고 합니다.
〈그 정상이〉 이와 같거늘, 천자天子께서 그것을 모르고 두둑한 녹봉으로 대우하면 그의 마음이 부끄러워 불평하는 바가 있게 마련입니다.
사람 중에는 두둑한 녹봉을 좋아하는 자가 있으니, 녹봉을 보면 출사하여 몸을 윤택하게 하고, 이익을 보면 취하여 가정을 풍족하게 할 마음을 가지므로, 좋은 전토와 큼직한 집만 주면 그 재주를 이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정상이〉 이와 같거늘 천자天子께서 그것을 모르고 명예를 높이기를 강요하면 그의 마음이 불만스러워 심중에 기뻐하지 못하는 바가 있게 마련입니다.
사람은 스스로 이기기를 좋아하지 말아야 하니, 스스로 이기기를 좋아하고 조금도 부드럽지 않으면 싸움을 벌여 화목하지 못하기 마련입니다.
사람은 서로 미워하지 말아야 하니, 서로 미워하는 마음을 가지고 조금도 회피하지 않으면 개인간의 원한이나 일삼고 국가사업의 성공에 대한 것은 무관심하기 마련입니다.
본래 강한 사람은 꺾을 수 없고, 본래 겁이 많은 사람은 강하게 만들 수 없습니다.
강하게 만들면 장차 이길 수 없고, 꺾으면 장차 떨치지 못합니다.
이와 같은 몇 가지는 모두 그 재주를 구해 쓰면서 그 마음을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러나 오히려 천하의 간웅姦雄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아닙니다.
은 듣건대 ‘천하의 간웅姦雄들은 흉측한 마음이 헤아릴 수 없이 깊고 음모하는 형적이 몹시 은미하여, 장차 동쪽을 경영하려고 하면 서쪽에서 형적을 드러내고, 장차 오른쪽을 취하려고 하면 왼쪽을 공격한다.’고 합니다.
옛날 사람 중에 그 임금의 정권을 빼앗으려고 하는 자가 있었으니, 그는 그 임금에게 〈정권을 직접〉 빼앗지 않고 우회적으로 느긋한 마음을 가지고서 임금이 하고 싶어 하는 것을 그대로 들어주어, 임금으로 하여금 하고 싶어 하는 것을 실컷 얻고 나서 스스로 방일放逸하여 천하를 관리하는 권병權柄을 포기하게 합니다.
천하를 관리하는 권병이 이미 그 임금에게서 떠나서 돌아갈 바가 없게 된 연후에 서서히 일어나서 거두었습니다.
그러므로 능히 그 권병을 취하였으나 그 임금은 그것을 몰랐습니다.
옛날 사람 중에 이런 일을 한 자가 있었으니, 이임보李林甫가 바로 그 사람이었습니다.
무릇 사람은 일단 권병을 얻고 나면 전유할 것을 생각하고, 전유하면 항상 천하 사람들이 따라서 패망시킬까 두려워하기 마련입니다.
무릇 사람은 자신을 안전하게 가진 뒤에야 남을 돌봐줄 수 있으니, 자신을 안전하게 가질 겨를도 없으면서 남을 돌봐주려고 하는 것은 실로 어려운 일입니다.
그러므로 옛날의 권신權臣은 항상 천하에서 시끄럽게 일어나는 분쟁을 환영하였습니다.
천하에서 서로 다투는 일이 풀리지 않으면 그 형세상 관심이 자기에게 미칠 겨를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런 까닭으로 오래 거처하고 떠나지 않았습니다.
옛날 사람 중에 이런 일을 한 자가 있었으니, 또한 이임보李林甫가 바로 그 사람이었습니다.
역대 임금들 중에는 진정으로 을 좋아하는 마음을 가진 이가 없었습니다.
요행히 을 좋아하는 마음을 가진다면, 천하 소인小人들이 모두 그를 팔아서 간사한 짓을 하려고 하였습니다.
왜냐하면 을 좋아하는 이름만 있고 을 하는 실상은 살피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천하의 도 본디 이라 이를 만한 것이 있고, 천하의 도 본디 이라 이를 만한 것이 있으니, 저들 소인이 내가 을 하고 싶다는 것을 알면 혹은 먼저는 을 하고 나중에는 을 할 것이며, 혹은 천하의 을 온통 으로 위장하는 일도 있을 것입니다.
옛날 사람 중에 이런 일을 한 자가 있었으니, 석현石顯이 바로 그 사람이었습니다.
사람이 장차 쟁단爭端을 일으키려고 하거나 사업을 하려고 하면 반드시 먼저 그 임금의 도움을 받아야만 합니다.
일을 이루려고 하나 임금이 좋아하지 않으면 일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옛날의 간웅姦雄은 반드시 가능치 못한 일을 가지고 겁을 주었으니, 그 가능치 못한 일을 할 수 없으면 장차 돌아와 내가 하고 싶은 것을 따르기 마련입니다.
옛날 사람 중에 이런 일을 한 자가 있었으니, 여희驪姬 헌공獻公을 설득하여 늙어서 를 피할 수 있게 한 것이 바로 그것입니다.
이 몇 가지는 천하의 지극한 정상입니다.
그러므로 성인聖人은 그 시초를 보고서 그 종말을 짐작하고, 그 소리를 듣고서 그 형체를 상상합니다.
능히 사람을 변고가 없는 속에서 살폈기 때문에 천하 사람들이 속일 수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변고가 없는 것엔 반드시 변고가 발생할 원인이 있는 것입니다.
옛날에는 명철한 임금이 위에 있으니, 천하의 소인들이 엎드려 있고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소인이라고 어찌 천하에 뜻이 없을 수 있겠습니까?
들춰서 그의 정상을 보고, 발로하여 그의 병폐를 적중하였습니다.
이 때문에 부끄러워 움츠리고 감히 진출하지 못하였습니다.
천자天子께서 군자君子의 정상을 밝게 알아서 당세의 현공賢公명경名卿을 양성하시고, 소인小人의 병폐를 깊이 살펴서 그들이 스스로 진출할 조짐을 끊게 하려고 하는 것이니, 이는 또한 천하의 지극한 명철입니다.


역주
역주1 君術策 二 : 〈君術策 二〉의 논술 요지는 임금이 신하를 통솔하는 방법은 바로 신하의 정상을 통찰함이란 것을 강조하는 데에 있다.
《欒城應詔集》에는 篇首에 ‘臣聞’ 2字가 있다.
역주2 李林甫 : 唐代의 宗室이다. 玄宗의 寵妃인 惠妃와 武三思의 딸 및 宦官 高力士 등과 교제하여 禮部尙書, 同中書門下三品 등을 역임하였고, 또한 교활한 성격으로 宦官, 妃嬪 등과 결탁하여 황제의 동정을 정탐하고, 황제의 의도에 영합하였으며, 玄宗을 충동하여 사치를 마냥 누리게 함으로써 그 이목을 틀어막았고, 자기와 의견이 다른 사람을 배척하였다. 겉으로는 좋은 척하였으나 속으로는 음해하였으므로 ‘口密腹劒’이란 문자가 생기게 하였고, 재직 19년 동안 정치가 날로 무너지게 하였다.
역주3 石顯 : 石顯은 漢 元帝 때에 中書令까지 지냈고, 사람 됨됨이가 巧慧하고 奸詐하여 君主의 마음을 잘 탐색하고 君主의 힘을 빌려 간사한 짓을 많이 하였다고 한다. 《漢書 佞幸傳》
역주4 驪姬之說獻公 使之老而避禍是也 : 驪姬는 晉 獻公의 寵妃이다. 《國語》 〈晉語〉에 “驪姬가 밤중에 흐느껴 울면서 獻公에게 말하기를 ‘제가 듣건대, 太子 申生은 매우 仁厚하면서도 강직하고, 매우 관대하고 은혜로운 마음으로 백성에게 자애를 베푼다고 하니, 모두 목적이 있어서 그렇게 할 것입니다. 그리고 지금 군왕께서 제게 홀려 반드시 나라를 어지럽힐 것이라 말하고 있으니, 국사를 핑계하여 군왕께 강압을 행하려 들지 않겠습니까?……어찌 저를 죽여서 한 명의 妾으로 인하여 백성이 어지러워지는 일을 없애려 하지 않으십니까?……군왕께서 왜 나이 늙었다 하고서 그에게 정권을 넘겨주려 하지 않으십니까? 그가 정권을 얻고 자신이 하고자 했던 일을 시행하여 그가 찾던 바를 얻게 되면 그때에는 군왕을 놓아드릴 것입니다. 군왕께서는 이런 것들을 생각해보십시오.’라고 했다.”는 내용이 보인다.
驪姬는 太子 申生을 없애고 자기 소생의 奚齊를 太子로 세우기 위하여 베갯머리에서 고단수의 음모를 부렸으니, 모두 가능치 못한 일이므로 獻公은 당연히 동의하지 않았고, 결국은 驪姬의 소원대로 太子 申生을 죽이게 되었다.
역주5 <주석명/> : 孫琮은 《山曉閣選宋大家蘇潁濱全集》에서 “이 편의 문장은 아주 잘 정돈되어 있다. 문장을 일으키는 곳에서는 上篇의 ‘術’자를 빌어 ‘情’자를 끌어내서 총체적인 冒頭語로 만들고, 문장을 맺는 곳에서는 君子와 小人을 쌍으로 얽어서 총체적으로 거두는 말을 만들었으니, 이는 머리 부분과 꼬리 부분이 잘 정돈된 것이다.
上半篇에서는 君子의 정상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下半篇에서는 小人의 정상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니, 이는 ‘兩對’ 문체가 잘 정돈된 것이다.
君子의 정상을 설명하는 데에서는 6段으로 나누어 만들고, 小人의 정상을 그리는 데에서는 4段으로 나누어 만들었으니, 이는 ‘排段’ 문체가 잘 정돈된 것이다.
君子의 정상을 설명하는 데에서는 ‘情’자를 가져다 앞에 놓고, 小人의 정상을 설명하는 데에서는 ‘情’자를 가져다 뒤에 놓았으니, 이는 ‘倒轉’ 문체가 잘 정돈된 것이다.
君子를 설명한 6段은 문법이 段마다 變換하고, 小人을 설명한 4段은 結法이 段마다 變換하지 않았으니, 이는 ‘變換’ 문체가 잘 정돈된 것이다.
이처럼 전후가 일맥상통하였으니, 바로 1편이 잘 정돈된 문장이다.[此篇文字 極爲整齊 起處 借上篇術字 提出情字 作一怱冒 結處 雙綰君子小人 作一怱收 是首尾整齊 上半篇 詳說君子之情 下半篇 詳說小人之情 是兩對整齊 說君子之情 分作六段 寫小人之情 分作四段 是排段整齊 說君子之情 將情字放在前 說小人之情 將情字放在後 是倒轉得整齊 說君子六段 文法段段變換 說小人四段 結法段段不變換 是變換得整齊 通前通後 直是一篇整齊文字]”라고 비평하였다.

당송팔대가문초 소철(3)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