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蘇軾(2)

당송팔대가문초 소식(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소식(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正統之說 予嘗略言之로라
子瞻所挈名實輕重爲議 亦非是 然而文特辨矣니라
正統者 何耶
名耶
實耶
正統之說曰 正者 所以正天下之不正也 統者 所以合天下之不一也
不幸有天子之實而無其位하고 有天子之名而無其德이면 是二人者 立於天下 天下何正何一이리오하야 而正統之論 決矣
正統之爲言 猶曰有天下云爾 人之得此名而又得此實也 夫何議리오
天下 固有無其實而得其名者하니
聖人於此 不得已焉하야 而不以實傷名하시니 而名卒不能傷實이라
名輕而實重하니
不以實傷名故 天下不爭하고 名輕而實重故 天下趨於實이니라
天下 有不肖而曰吾賢者矣어니와 未有賤而曰吾貴者也
天下之爭 自賢不肖始하니 聖人憂焉하사 不敢以亂貴賤이라
天下知賢之不能奪貴하나니라
天下之貴者 聖人莫不從而貴之 恃有賢不肖存焉일새라
輕以與人貴하고 而重以與人賢하니 天下然後 知貴之不如賢이라
知賢之不能奪貴故 不爭하고 知貴之不如賢故 趨於實하니 使天下不爭而趨於實이면 是亦足矣니라
正統者 名之所在焉而已 名之所在 而不能有益乎其人而後 名輕하니 名輕而後 實重이라
吾欲重天下之實하니 於是乎名輕이니라
正統 聽其自得者十이니 曰堯, 舜, 夏, 商, 周, 秦, 漢, 晉, 隋, 唐이요 序其可得者六하야 以存敎하니
使夫堯舜三代之所以爲賢於後世之君者 皆不在乎正統이라
後世之君 不以其道而得之者 亦無以爲堯舜三代之比하니 於是乎實重이니라


01. 정통正統에 대한 논 상論 上
정통正統에 대한 설은 나도 일찍이 간략히 말하였다.
자첨子瞻의 경중을 끌어다가 의논한 것은 또한 옳지 않으나, 문장은 특별히 조리가 있어 분명하다.
정통正統이란 것은 무엇인가?
인가?
인가?
정통正統에 이르기를 “이라는 것은 천하의 바르지 않은 것을 바로잡는 것이요, 이라는 것은 천하가 통일되지 않은 것을 통일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불행히 천자天子의 실제는 있어도 그 지위가 없고, 천자天子의 이름은 있어도 그 덕이 없으면, 이 두 사람이 천하에 서 있을 적에 천하를 어떻게 바로잡으며 어떻게 하나로 통일할까 하여 정통正統이란 말이 결정된 것이다.
그렇다면 정통正統이란 말은 천하를 소유했다고 말하는 것과 같으니, 사람이 이 을 얻고 또 이 을 얻었다면 무슨 말을 할 것이 있겠는가?
천하에 진실로 은 없으면서 을 얻은 자가 있다.
성인聖人이 이에 부득이해서 로써 을 상하지 않게 하셨으니, 은 끝내 을 상하게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은 가볍고 은 중한 것이다.
로써 을 상하게 하지 않기 때문에 천하가 다투지 않고, 이 가볍고 이 중하기 때문에 천하 사람들이 에 달려오는 것이다.
천하에 불초不肖하면서 내가 어질다고 스스로 말하는 자는 있지만, 신분이 하면서 내가 귀하다고 스스로 말하는 자는 있지 않다.
천하의 다툼은 어짊과 불초不肖함으로부터 시작되니, 성인聖人이 이것을 우려해서 감히 불초不肖를 가지고 을 어지럽히지 않았다.
그러므로 천하 사람들이 어짊이 귀함을 빼앗지 못함을 아는 것이다.
천하의 귀한 자를 성인聖人이 따라서 귀하게 여기지 않음이 없는 것은 불초不肖가 존재함을 믿기 때문이다.
남에게 귀함을 허여하는 것은 가볍게 하고 남에게 어짊을 허여하는 것은 중하게 하였으니, 천하가 이렇게 된 뒤에야 귀함이 어짊만 못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어짊이 귀함을 빼앗지 못함을 알기 때문에 다투지 않고, 귀함이 어짊만 못함을 알기 때문에 로 달려가는 것이니, 천하로 하여금 다투지 않고 로 나아가게 한다면 이것만으로도 충분한 것이다.
정통正統이란 이 있는 곳일 뿐이니, 이 있는 곳에 그 사람(을 소유한 사람)에게 이익됨이 있지 못한 뒤에야 이 가벼워지니, 이 가벼워진 뒤에야 이 중해지는 것이다.
내가 천하의 을 소중히 하고자 하니, 이에 이 가벼워지는 것이다.
정통正統 중에 스스로 얻었음을 인정하는 것이 열이니, 이요, 그 얻을 만하다고 서열序列된 것이 여섯이어서 가르침을 보존하였으니, 바로 후량後梁후당後唐후진後晉후한後漢후주後周이다.
삼대三代가 후세의 군주보다 어질다고 여겨지는 까닭은 모두 정통正統에 있지 않다.
그러므로 후세의 군주 중에 천하를 로써 얻지 않은 자들을 또한 삼대三代에 비할 수가 없는 것이니, 이에 이 중해지는 것이다.


역주
역주1 正統論 上 : 本集에는 제목이 〈後正統論〉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앞서 歐陽脩의 〈正統論〉이 있기 때문에 이것과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本集의 自註에 “至和 2年(1055)에 지었다.”라고 하였다. 正統이란 올바른 전통이란 뜻으로, 統은 역대 제왕이 서로 계승한 전통을 이르며, 正은 《春秋公羊傳》의 “크게 바름에 거한다.[大居正]”는 말에서 취해 온 것이다. 그동안 學者들은 정상적으로 천하를 얻은 제왕을 ‘正統’, 정상적으로 천하를 얻지 못했거나 일부만을 얻은 군주를 ‘閏統’이라 하였다. 閏은 윤달로, 달은 달이지만 정상적인 12개월에는 끼지 못하기 때문에 閏統이라 한 것이다. 이것을 근거로 歐陽脩가 〈正統論〉을 지었는데, 章望之가 〈明統論〉을 지어 반박하자, 다시 蘇軾이 이 글을 지어 章望之의 論을 비판한 것이다. 이후 司馬光과 朱熹 등도 모두 論說을 지었으나 통일된 의견이 나오지 못하였다. 우리나라의 農巖 金昌協은 蘇軾의 說을 지지하여 “東坡의 〈正統論〉은 그 說이 가장 뛰어나 바꿀 수 없다. 朱先生(朱熹)의 《資治通鑑綱目》에 보이는 〈正統論〉도 뜻이 본래 이와 같다. 이것은 내용이 본래 간결하고 쉬운데 후세에 〈正統論〉을 지은 자들은 모두 부연하여 너무 지나치게 말하였으니, 이는 모두 억지로 일을 만들어낸 것이다.[東坡正統論 其說最不可易 朱先生綱目正統意正好 此意本自簡易 後之爲正統說者 皆推之太過 要是强生事耳]”라고 하였다.
역주2 魏梁後唐晉漢周 : 魏는 三國時代 曹操의 아들 曹丕가 漢나라 獻帝에게 선양받아 세운 나라이고, 梁은 後梁으로 朱全忠이 唐나라의 昭宗을 시해하고 昭宣帝를 폐위하고 세운 나라이다. 朱全忠은 처음의 이름은 溫이고 뒤에 晃으로 개명하였다. 後唐은 沙陀族인 李克用의 아들 李存勖이 세운 나라이고, 晉은 後晉으로 石敬瑭이, 漢은 後漢으로 劉知遠이, 周는 後周로 郭威가 세운 나라이다. 後梁, 後唐, 後晉, 後漢, 後周를 五代時代라 하는데, 전란이 계속 이어져 건국한 지 오래지 않아 모두 멸망하였다. 그러나 여기에서 魏와 梁을 동등하게 놓은 것은 두 나라 군주가 모두 황제를 시해하고 나라를 찬탈한 역적이기 때문이며, 뒤의 晉․漢․周는 앞의 後唐의 後字를 이어받은 것이다.

당송팔대가문초 소식(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