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蘇軾(4)

당송팔대가문초 소식(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소식(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諸侯之義 守先君之封土하야 而不敢有失也 守天子之疆界하야 而不敢有過也
夫以力而相奪하고 以兵而相侵者 春秋之所謂暴君也 侵之 雖不以兵하고 奪之 雖不以力이라도 而得之不義者 春秋之所謂汙君也
하고 此諸侯之以不義而取魯田者也 하고 하고 此魯之以不義而取諸侯之田者也
諸侯以不義而取魯田하고 魯以不義而取諸侯之田 皆不容於春秋者也니라
夫子之於庶其, 牟夷, 黑肱也 責之薄하시고 而於魯也 罪之深하시니 彼其竊邑叛君하야之事 市人屠沽 且羞言之하나니 而安足以重辱君子之譏哉리오
夫魯 周公之後 守天子之東藩이어늘 招聚小國叛亡之臣하야 與之爲盜竊之事하니 孔子悲傷而痛悼之
於三叛之人 具文直書하사 而無隱諱之詞하시니 蓋其罪魯之深也시니라
區區於叛人之過惡하니 其論 固已狹矣
且夫春秋 豈爲穿窬盜竊之人而作哉리오
使天下之諸侯 皆莫肯容夫如此之人이면 而穿窬盜竊之事 將不禁而自絶하리니 春秋之所以用意於其本也니라
而公羊之說 最爲疎謬하야
不繫黑肱於邾라하니 嗚呼
誰謂孔子而賢叔術耶리오
蓋嘗論之컨대
黑肱之不繫邾也 意其若인저
欒盈 旣奔齊라가 而還入曲沃以叛이라
書曰 欒盈入於晉이라하니 黑肱 或者旣絶于邾라가 而歸竊其邑以叛歟
當時之簡牘旣亡하야 其詳 不可得而聞矣이나 以類而求之하면 或亦然歟인저


04. 흑굉黑肱 땅을 가지고 도망온 것에 대한
제후諸侯들의 의리는 선군先君의 영토를 지켜서 감히 잃지 않고, 천자天子가 봉해준 국경을 잘 지켜서 감히 더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무력으로써 서로 빼앗고 군대로써 서로 침략하는 자는 《춘추春秋》에 이른바 폭군이란 것이고, 비록 군대를 사용하여 침략하지 않고 비록 무력을 사용하여 영토를 빼앗지 않았다 하더라도 롭지 못하게 얻은 자는 《춘추春秋》에 이른바 탐욕스런 군주란 것이다.
정백鄭伯벽옥璧玉을 가지고 땅의 전지田地를 빌리고, 진후晉侯한천韓穿으로 하여금 나라에 와서 문양汶陽의 전지를 나라에 돌려주라고 말하였으니, 이것은 제후諸侯들이 롭지 못한 방법으로 나라의 토지를 취한 것이요, 나라의 서기庶其 땅과 여구閭丘를 가지고 도망오고 나라의 모이牟夷 땅과 땅을 가지고 도망오고 흑굉黑肱 땅을 가지고 도망왔으니, 이것은 나라가 의롭지 못한 방법으로 제후諸侯들의 땅을 취한 것이다.
제후諸侯가 의롭지 못한 방법으로 나라의 토지를 취하고 나라가 의롭지 못한 방법으로 제후諸侯들의 전지田地를 취한 것은 모두 《춘추春秋》에 용납되지 못하는 것들이다.
부자夫子(공자孔子)께서 서기庶其모이牟夷흑굉黑肱에 대해서는 가볍게 책망하시고 나라에 대해서는 깊이 죄책罪責하셨으니, 저 고을을 훔치고 임금을 배반하여 천유穿窬의 일을 하는 것은 시장의 장사꾼과 백정과 술 파는 자도 말하기를 부끄러워하는 일이니, 어찌 욕되게 군자君子의 비판을 거듭할 필요가 있겠는가?
나라는 주공周公의 후손으로 천자天子의 동쪽 번병藩屛을 지키고 있었는데, 나라를 배반하고 도망온 약소국의 신하들을 불러 모아서 그들과 함께 도적질을 하였으니, 공자孔子께서 이것을 서글퍼하고 가슴 아파하셨다.
그러므로 배반한 세 사람에 대해서 문장을 자세히 갖추어서 곧바로 쓰시고 숨기는 말씀이 없으셨으니, 이는 나라를 깊이 죄책하신 것이다.
그런데 선유先儒들의 말은 배반한 사람의 과악過惡에 대해 구구하게 말하고 있으니, 그 의논이 진실로 너무 좁다.
그리고 《춘추春秋》가 어찌 남의 집 담장을 뚫고 담장을 넘어가서 도적질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지어졌겠는가?
만약 천하天下제후諸侯들이 모두 이와 같은 사람을 용납하려고 하지 않는다면 담장을 뚫고 담장을 넘어가서 도적질하는 일이 장차 금지하지 않아도 저절로 없어질 것이니, 이 때문에 《춘추春秋》에서 그 근본에 뜻을 둔 것이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이르기를 “혹은 이름이 드러나기를 구하여도 얻지 못하고 혹은 자기 과오를 덮고자 해도 이름이 드러났으니, 이 때문에 제표齊豹라고 쓰고 배반한 세 사람의 이름을 쓴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런데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의 말은 가장 엉성하고 잘못되어서, 이르기를 “흑굉黑肱숙술叔術후손後孫으로 땅을 온 천하에 통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흑굉黑肱나라에 달지 않았다.”라고 하였으니, 아!
누가 공자孔子께서 숙술叔術을 어질게 여겼다고 말하는가?
내 한번 이것을 논해보겠다.
흑굉黑肱나라에 달지 않은 것은 짐작하건대 난영欒盈나라에 달지 않은 것과 같을 것이다.
난영欒盈나라로 도망하였다가 다시 돌아와 곡옥曲沃에 들어가서 배반하였다.
그러므로 “난영欒盈나라로 들어갔다.”라고 썼으니, 흑굉黑肱도 어쩌면 나라와 이미 관계를 끊었다가 돌아와 자기 고을을 도둑질하여 배반했는가 보다.
당시의 간독簡牘이 이미 없어져서 자세한 내용을 얻어 들을 수 없으나 비슷한 종류를 가지고 찾아보면 혹 이것이 옳을 듯하다.
그런데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에는 이르기를 “나라를 말하지 않은 것은 땅을 나라와 구별한 것이요, 남자濫子라고 말하지 않은 것은 천자天子가 봉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으니, 이것은 더더욱 우활하여 따를 수가 없는 것이다.


역주
역주1 黑肱以濫來奔 : 이 글 역시 東坡가 젊은 시절에 지은 것으로 보이는데, 本集에는 제목이 〈論黑肱以濫來奔〉으로 되어 있다. 《春秋》 昭公 31년에 “겨울에 黑肱이 濫 땅을 가지고 도망해 왔다.[冬黑肱以濫來奔]”라고 보인다. 黑肱은 邾나라의 대부인데, 《春秋》에는 邾나라 사람이라고 기록하지 않았다.
역주2 鄭伯以璧假許田 : 鄭伯은 鄭 莊公으로 이름이 寤生이다. 許田은 楊伯峻의 注에 “《太平寰宇記》에 의하면 許田은 지금의 河南省 許昌市 남쪽에 있던 魯나라 城이다.”라고 하였다. 魯 桓公 원년(B.C. 711)에 桓公이 鄭 莊公과 垂 땅에서 회합하고 鄭나라의 祊田과 魯나라의 許田을 교환하면서 璧玉을 더 얹어 주었는데, 이는 隱公 8년(B.C. 715)에 鄭나라가 魯나라의 始祖인 周公을 제사 지낸다는 명분으로 두 나라가 이미 약속했던 일이었다.
그러나 《春秋》에 ‘鄭伯以璧假許田’이라고 기록하여 許田을 祊田과 바꾼 것이 아니고, 魯나라에서 鄭나라에게 璧玉을 주고 許田을 임차한 것처럼 표기하였는데, 이는 許田이 祊田보다 커서 魯나라가 손해를 보는 부당함과 魯나라가 鄭나라로 하여금 周公을 제사 지내도록 허락한 부당함을 諱하기 위해서였다 한다. 《春秋左氏傳 桓公 원년》
역주3 晉侯使韓穿來言汶陽之田歸之于齊 : 이 일은 《春秋》 成公 8년(B.C. 583)에 보인다.
晉侯는 景公으로 이름은 獳 혹은 據라고도 하는바, 文公의 손자이고 成公의 아들로 文公의 패업을 승계하였는데, 魯나라는 이때 晉나라를 霸者로 섬기고 있었다. 韓穿은 晉나라의 대부이다. 汶陽之田은 汶水 북쪽에 있는 田地로 본래 魯나라 땅이었는데 齊나라에게 빼앗겼다.
成公 2년(B.C. 589) 6월에 齊나라 頃公이 魯나라를 침공하자, 晉나라가 魯나라를 구원하여 齊나라와 鞍 땅에서 싸워 齊軍을 대파하였으며, 7월에 齊나라 國佐와 袁婁에서 맹약하고 汶陽의 田地를 魯나라에 돌려주었다.
역주4 邾庶其以漆閭丘來奔 : 이 내용은 《春秋》 襄公 21년(B.C. 552)에 보인다. 邾는 지금의 山東省 鄒縣 경내에 있던 작은 제후국이다. 庶其는 邾나라 대부로 采邑인 漆과 閭丘를 가지고 魯나라에 망명왔는데, 漆 땅과 閭丘는 지금 山東省 鄒縣 동북쪽에 있었다.
이 일에 대해 《春秋左氏傳》에 “邾나라 庶其가 漆과 閭丘를 가지고 魯나라에 도망오자, 季武子가 襄公의 姑母를 그의 아내로 주고 그의 종자들에게도 모두 재물을 주었다.”라고 기록하였다.
역주5 莒牟夷以防玆來奔 : 이 내용은 《春秋》 昭公 5년(B.C. 537)에 “여름에 莒나라 牟夷가 牟婁와 防 땅과 玆 땅을 가지고 도망왔다.[夏莒牟夷以牟婁及防玆來奔]”라고 보인다. 莒나라는 지금의 山東省 莒縣 경내에 있던 작은 제후국이다. 牟夷는 莒나라의 대부이며, 牟婁는 지금 山東省 諸城縣에, 防은 山東省 立縣에, 玆는 山東省 丘縣에 있었다.
역주6 黑肱以濫來奔 : 이 내용은 《春秋》 昭公 31년(B.C. 511)에 보인다. 黑肱은 邾나라의 대부이며, 濫은 지금의 山東省 滕縣에 있었다. 庶其와 牟夷와 黑肱 세 사람은 자신의 나라를 배반하고 采邑을 들고 魯나라에 도망온 不忠不義한 인물인데, 魯나라에서는 땅을 중시하여 이들을 환영하고 禮遇하였므로, 蘇軾이 “義롭지 못한 방법으로 제후들의 땅을 취한 것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역주7 穿窬 : 남의 집 담장을 뚫거나 넘어가서 도둑질을 하는 것으로 小人 중에서도 못난 자들을 가리킨다.
역주8 先儒之說 : 《春秋左氏傳》을 말한 듯하다. 《春秋左氏傳》에는 庶其와 牟夷와 黑肱의 일을 자세히 기록하고 있으므로 이렇게 말한 듯하다.
역주9 左氏曰 或求名而不得……書齊豹盜三叛人名 : 이 내용은 《春秋左氏傳》 昭公 31년(B.C. 512)에 자세히 보이는데, ‘書齊豹盜’는 ‘書齊豹曰盜’로 되어 있다. 齊豹는 衛 靈公 때의 대부로 司寇의 직책을 맡고 있었다. 齊豹가 평소 자신을 핍박하던 衛侯의 형 公孟 縶을 죽였는데, 《春秋》 昭公 20년에 “가을에 도적(자객)이 衛侯의 형 縶을 죽였다.[秋盜殺衛侯之兄縶]”라고 기록하였다. 배반한 세 사람은 위에 말한 庶其와 牟夷와 黑肱을 이른다.
역주10 以爲叔術之後……故不繫黑肱於邾 : 이 내용은 《春秋公羊傳》 昭公 31년에 “黑弓이 濫 땅을 가지고 도망왔는데, 經文에 어찌하여 邾婁(邾나라)를 쓰지 않았는가? 濫 땅을 통하게 했기 때문이다. 어떻게 濫 땅이 통하게 되었는가? 賢者의 자손이 마땅히 땅을 차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賢者는 누구를 이르는가? 叔術을 이른다. 어찌하여 叔術을 어질다 하는가? 나라를 양보하였기 때문이다.[黑弓以濫來奔 文何以無邾婁 通濫也 曷爲通濫 賢者子孫 宜有地也 賢者孰謂 謂叔術也 何賢乎叔術 讓國也]”라고 보인다.
叔術은 《春秋公羊傳》의 注에 “叔術은 邾나라 顔公의 아우인데 邾나라의 현자로 나라를 양보한 일이 있었다.”라고 보인다. 黑弓은 바로 黑肱이다.
역주11 欒盈之不繫於晉歟 : 欒盈은 晉나라 悼公, 平公 때의 대부로 시호가 懷子이다.
欒盈의 어머니 范祁는 당시 晉나라 국정을 맡고 있던 范宣子(范匄)의 딸이었는데, 남편인 欒桓子(欒黶)가 죽자 家老인 州賓과 사통하여 가산을 탕진하고 아들 欒盈이 자신의 정부를 죽일까 염려하여, 친정아버지 范匄에게 아들이 반란을 획책하고 있다고 모함하였다.
欒氏의 세력이 커지는 것을 두려워하던 范匄가 이를 빌미삼아 欒盈을 축출하니, 襄公 21년(B.C. 552)에 欒盈이 무리를 거느리고 楚나라로 도망하였다. 欒盈은 1년 뒤에 齊나라로 옮겼다가 2년 후인 襄公 23년에 齊나라에서 曲沃으로 들어와 고을의 백성들을 이끌고 반란을 일으켜 도읍인 絳城으로 쳐들어갔다. 그러나 范宣子와 范鞅(范獻子)의 군대에게 패하고 曲沃으로 달아났으나 끝내 曲沃이 함락되어 欒氏 일족이 모두 멸족되었다.
蘇軾은 “《春秋》에 ‘欒盈入於晉’이라고 기록하여 晉나라에 달지 않았다.”고 하였으나 이는 蘇軾의 착각인 듯하다. 《春秋》 襄公 21년에 “가을에 晉나라 欒盈이 楚나라로 도망하였다.[秋晉欒盈出奔楚]”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春秋》 襄公 23년에도 “晉나라 欒盈이 晉나라로 다시 들어가서 曲沃으로 들어갔다.[晉欒盈復入于晉 入于曲沃]”라고 기록하여, 晉나라에 달지 않은 적이 없다. 다만 《春秋左氏傳》 襄公 22년에 “가을에 欒盈이 楚나라에서 齊나라로 갔다.[秋欒盈自楚適齊]”라고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
역주12 穀梁曰 不言邾……此尤迂闊而不可用矣 : 이 내용은 《春秋穀梁傳》에 “겨울에 黑肱이 濫 땅을 가지고 도망왔는데, 邾나라 黑肱이라고 말하지 않은 것은 어째서인가? 이는 濫 땅을 邾나라와 구별한 것이다. 濫子라고 작위를 말하지 않은 것은 어째서인가? 이는 天子가 봉해준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冬黑肱以濫來奔 其不言邾黑肱 何也 別乎邾也 其不言濫子 何也 非天子所封也]”라고 보이는데, 注에 “邾나라에서 濫邑을 黑肱에게 봉해주었다. 그러므로 구별한 것이다[邾以濫邑封黑肱 故別之]”라고 하였다. 이러한 주장에 대해 蘇軾은 실제와 부합하지 않는다고 여겼으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당송팔대가문초 소식(4)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