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蘇軾(3)

당송팔대가문초 소식(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소식(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此作 似未盡長公平生이라
昔者 하사 綱羅三代之舊聞하시니 이라
爾以吾爲多學而識之者與
非也
予一貫之니라하시니라
天下苦其難而莫之能用也하니 不知夫子之有以貫之也
是故 堯, 舜, 禹, 湯, 文, 武, 周公之法度禮樂刑政 與當世之賢人君子百家之書 百工之技藝 九州之內, 四海之外, 之事 荒忽誕謾而不可考者 雜然皆列乎胸中이로되 而有卓然不可亂者 此固有以一之也일새라
是以 博學而不亂하고 深思而不惑하시니 非天下之至精이면 其孰能與於此리오
蓋嘗求之於하야 至於詩與春秋之際而後 知聖人之道始終本末 各有條理로라
夫王化之本 始於天下之易行이라
天下固知有父子也하니 父子不相賊이면 而足以爲孝矣 天下固知有兄弟也하니 兄弟不相奪이면 而足以爲悌矣
孝悌足而王道備하니 此固非有深遠而難見하고 勤苦而難行者也
詩之爲敎也 使人歌舞佚樂하야 無所不至로되 要在於不失正焉而已矣
雖然이나 聖人 固有所甚畏也하니 一失容者 禮之所由廢也 一失言者 義之所由亡也
君臣之相攘하고 上下之相殘하야 天下大亂 未嘗不始於此道
是故 春秋 力爭於毫釐之間하고 而深明乎疑似之際하야 截然其有所必不可爲也하니 不觀於詩 無以見王道之易 不觀於春秋 無以知王政之難이니라
自孔子沒 諸子各以所聞著書 而皆不得其源流
其言 無有統要하니 若孟子 可謂深於詩而長於春秋者矣
其道始於至粗而極於至精하야 充乎天地하고 放乎四海하야 而毫釐有所必計하야 至寬而不可犯하고 至密而可樂者 此其中 必有所守어늘 而後世或未之見也니라
士未可以言而言이면 是以言餂之也 可以言而不言이면 是以不言餂之也 是皆穿窬之類也라하시니
唯其不爲穿窬也 而義至於不可勝用이니 唯其未可以言而言하고 可以言而不言也 而其罪遂至於穿窬
曰 其道始於至粗而極於至精하야 充乎天地하고 放乎四海하야 而毫釐有所必計라하노니
嗚呼
此其所以爲孟子歟인저
後之觀孟子者 無觀之他 亦觀諸此而已矣니라
蘇氏父子於聖學及老氏之學 竝未能達이라
故其議論多渺茫이나
然而行文處 特圓矣
唐荊川曰 此篇縱恣不羈니라


03. 맹가孟軻에 대한
이 글은 장공長公의 평소 실력을 다하지 못한 듯하다.
옛날에 중니仲尼(공자孔子)께서 나라에서 나라로 돌아오시자, 예전에 들으셨던 삼대三代의 제도를 망라하여 기록하셨으니, 경례經禮 3백 가지와 곡례曲禮 3천 가지는 너무 많아서 종신토록 그 설을 다 연구할 수 없는 것이다.
부자夫子께서 자공子貢에게 이르시기를 “(자공子貢)야.
너는 나를 많이 배워서 기억하는 자라고 여기느냐?
아니다.
나는 한 가지 이치가 만사를 꿰뚫었다.”라고 하셨다.
천하 사람들이 그 어려움을 괴로워하여 능히 활용하지 못하니, 부자夫子께서 한 가지 이치로써 모든 것을 꿰뚫을 수 있음을 알지 못하였다.
이 때문에 , 문왕文王무왕武王주공周公법도法度예악禮樂형정刑政과 당세의 현인賢人군자君子백가百家의 책과 백공百工들의 기예技藝구주九州의 안, 사해四海의 밖, 구이九夷팔만八蠻의 일로써 막연하고 허탄하여 상고할 수 없는 여러 가지가 이것저것 뒤섞여서 모두 공자孔子의 가슴속에 나열되어 있었으나 우뚝하여 어지럽힐 수 없는 것이 있었으니, 이는 진실로 하나의 이치가 꿰뚫음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리하여 박학하여도 어지럽지 않고 깊이 생각하여도 의혹하지 않으셨으니, 천하에 지극히 정밀한 자가 아니라면 그 누가 여기에 참여하겠는가?
내 일찍이 육경六經에서 이것을 찾아 《시경詩經》과 《춘추春秋》에 이른 뒤에야 성인聖人, 이 각각 조리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왕화王化의 근본은 천하 사람들이 행하기 쉬운 데서 시작되었다.
천하 사람들은 진실로 부자간이 있는 줄을 아나니 부자간이 서로 해치지 않으면 충분히 효도가 될 수 있고, 천하 사람들은 진실로 형제간이 있음을 아나니 형제간이 서로 빼앗지 않으면 충분히 공경이 될 수 있는 것이다.
효제孝悌가 충분하면 왕도王道가 구비되니, 이것은 진실로 심원하여 보기 어렵고 몹시 괴로워 행하기 어려운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의 가르침은 사람으로 하여금 가무歌舞를 하며 편안하고 즐거워하여 이르지 못하는 곳이 없게 하면서도 요점은 바름을 잃지 않게 하는 데에 있을 뿐이다.
그러나 성인聖人은 진실로 매우 두려워하신 바가 있었으니, 이는 용모를 한 번 잃음으로 말미암아 가 폐해지고, 말을 한 번 잘못함으로 말미암아 가 없어지는 것이다.
군주와 신하가 서로 빼앗고 위아래가 서로 해쳐서 천하의 큰 혼란이 일찍이 여기에서 시작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이 때문에 《춘추春秋》는 털끝만 한 사이를 강력히 다투고 유사한 사이를 깊이 밝혀서 엄격하여 반드시 할 수 없는 바가 있었으니, 《시경詩經》을 보지 않으면 왕도王道의 쉬움을 알 수 없고, 《춘추春秋》를 보지 않으면 왕정王政의 어려움을 알 수 없는 것이다.
공자孔子가 별세하신 뒤에 여러 제자들은 자신들이 각기 들은 것을 가지고 책을 지었으나 모두 그 원류源流를 얻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그 말이 통기統紀와 요점이 없는데, 맹자孟子로 말하면 《시경詩經》에 조예가 깊고 《춘추春秋》에 뛰어난 분이라고 이를 만하다.
가 지극히 거친 데서 시작하여 지극히 정밀한 데까지 이르러서 천지天地에 충만하고 사해四海에 도달하여, 털끝만 한 것도 반드시 따지는 바가 있어서 지극히 너그러우면서도 범할 수 없고 지극히 치밀하면서도 즐거울 수 있으니, 이는 그 마음속에 반드시 지키는 바가 있어 그러한 것인데, 후세에서는 이것을 알지 못하였다.
맹자孟子는 일찍이 말씀하시기를 “사람이 남을 해치려고 하지 않는 마음을 채운다면 을 이루 다 쓰지 못할 것이며, 사람이 남의 집 담을 뚫거나 넘어가서 도둑질하지 않으려는 마음을 채운다면 를 이루 다 쓰지 못할 것이다.
선비가 말해서는 안 될 적에 말한다면 이는 말로써 물건을 핥아(훔쳐)먹는 것이요, 말을 해야 할 적에 말하지 않는다면 이는 말하지 않음으로써 물건을 핥아먹는 것이니, 이는 모두 남의 집 담을 뚫거나 넘어가서 도둑질하는 종류이다.”라고 하셨다.
오직 남의 집 담을 뚫거나 담을 넘어가 도둑질하지 않으면 를 이루 다 쓰지 못하는 경지에 이르니, 오직 말을 해서는 안 될 적에 말하고 말을 해야 할 적에 말하지 않으면, 그 죄가 마침내 남의 집 담을 뚫고 담을 넘어가 도둑질하는 데에 이르는 것이다.
그러므로 나는 “그 가 지극히 거친 데서 시작하여 지극히 정밀한 데까지 이르러 천지에 충만하고 사해에 도달하여, 털끝만 한 것도 반드시 따지는 바가 있다.”고 말한 것이다.
아!
이것이 맹자孟子맹자孟子가 되신 이유일 것이다.
후세에 맹자孟子를 보려는 자들은 다른 것을 보지 말고 또한 이것을 볼 뿐이다.
소씨 부자蘇氏 父子성학聖學노씨老氏의 학문에 대하여 모두 제대로 통달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그 의논이 모호함이 많다.
그러나 문장을 써 내려간 곳은 특별히 원만하다.

당형천唐荊川은 평하기를 “이 편은 제멋대로 방종하여 얽매이지 않았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孟軻論 : 王文誥의 《蘇文忠公詩編注集成總案》에는 이 글이 蘇軾이 젊은 시절에 지은 작품이라고 하였다. 제목이 本集에는 〈孟子論〉으로 되어 있다. 孟軻(B.C. 372~B.C. 289)는 字가 子輿로 뒤에 鄒國公에 봉해졌다. 子思의 문인에게 수학하여 思孟學派라고도 불리며, 孔門의 적통을 이어받아 亞聖으로 불린다.
역주2 仲尼自衛反魯 : 孔子께서는 56세 되시는 定公 14년(B.C. 496)에 魯나라를 떠나 여러 나라를 周流하셨는데, 마지막에 衛나라에 계시다가 季康子가 公華․公賓․公林 등 세 사람에게 예물을 보내 초빙하자, 천하를 떠돌아다니신 지 13년 만에 魯나라로 돌아오셨다. 《史記 孔子世家》
역주3 蓋經禮三百……終年不能究其說 : 經禮는 큰 禮를 가리키고 曲禮는 의식이나 행사에 있어서의 자잘한 예절을 이른다. 《禮記》 〈禮器〉에 “經禮 3백 가지와 曲禮 3천 가지가 그 이치가 똑같다.[經禮三百 曲禮三千 其致一也]”라고 보인다.
이에 대하여 朱子는 “禮儀 3백 가지는 바로 《儀禮》 중에 士의 冠禮와 諸侯의 冠禮와 天子의 冠禮와 같은 따위이니, 이것은 큰 禮節로 3백 가지 조항이 있다. 그리고 〈冠義〉의 始加․再加․三加와 또 〈曲禮〉의 앉을 때에는 尸童과 같이 하고, 설 때에는 齋戒하는 것과 같이 하라는 따위는 모두 그 가운데의 작은 조목이다.”라고 하였다.
또한 趙氏는 “經禮는 冠禮․婚禮․喪禮․祭禮․朝覲․會同하는 것과 같은 따위이고, 曲禮는 나아가고 물러가고 오르고 내리고 굽어보고 우러르고 揖하고 遜讓하는 것과 같은 따위이다.”라고 하였다.
역주4 子謂子貢曰……予一貫之 : 이 내용은 《論語》 〈衛靈公〉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였다. 이에 대하여 謝良佐는 “聖人의 道가 커서 사람들이 두루 보고 다 알지 못하니, 당연히 많이 배우고서 그것을 기억하는 분이시라고 여길 것이다. 그러나 聖人이 어찌 博學하기를 힘쓰시겠는가? 마치 하늘이 여러 형상에 대해서 물건마다 조각하여 만든 것이 아님과 같다. 그러므로 ‘나는 하나의 이치가 모든 사물을 꿰뚫는다.’고 말씀하신 것이다.[聖人之道 大矣 人不能遍觀而盡識 宜其以爲多學而識之也 然聖人豈務博者哉 如天之於衆形 匪物物刻而雕之也 故曰予一以貫之]”라고 하였다. 《論語集註》
역주5 九夷八蠻 : 九夷는 고대 중국의 동쪽에 있던 아홉 종족의 이민족을 가리킨다. 《論語》 〈子罕〉에 “孔子께서 九夷에 살려고 하셨다.[子欲居九夷]”라고 하였는데, 集註에 “東方의 夷族은 아홉 종족이 있다.”라고 하였으며, 《後漢書》 〈東夷傳〉에는 “夷族은 아홉 종족이 있으니, 畎夷․干夷․方夷․黃夷․白夷․赤夷․玄夷․風夷․陽夷이다.”라고 하였다.
八蠻은 고대 중국의 남쪽에 있던 여덟 종족의 이민족을 가리키는데, 《爾雅》의 李巡의 注에 “八蠻은 天竺․咳首․僬僥․跛踵․穿胸․儋耳․狗軹․旁脊이다.”라고 하였다. 여기서의 九夷, 八蠻은 중국 주변의 이민족 모두를 가리킨 것으로 보인다.
역주6 六經 : 儒家의 기본 경전인 《詩經》․《書經》․《周易》․《春秋》․《禮記》․《樂經》을 이르는데, 《樂經》은 전해지지 않는다.
역주7 孟子嘗有言矣……是皆穿窬之類也 : 穿窬는 남의 집 담에 구멍을 뚫고 남의 집 담을 넘어가 도둑질하는 것이다. 餂은 더듬어 취한다는 뜻으로 혓바닥으로 핥아 물건을 취한다는 뜻이다.
《孟子》 〈盡心 下〉에 “사람들은 모두 차마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으니, 차마 할 수 있는 것에까지 도달한다면 仁이요, 사람들은 모두 하지 않는 것(지조)이 있으니, 할 수 있는 바에까지 도달한다면 義이다. 사람이 남을 해치려고 하지 않는 마음을 채운다면 仁을 이루 다 쓰지 못할 것이며, 사람이 남의 집 담을 뚫거나 넘어가 도둑질하지 않으려는 마음을 채운다면 義를 이루 다 쓰지 못할 것이다.
사람이 爾汝라고 천대하는 말을 받지 않으려는 실제를 채운다면 가는 곳마다 義가 아님이 없을 것이다. 선비가 말해서는 안 될 적에 말한다면, 이는 말로써 물건을 핥아먹는 것이요, 말을 해야 할 적에 말하지 않는다면, 이는 말하지 않음으로써 물건을 핥아먹는 것이니, 이는 모두 남의 집 담을 뚫거나 담을 넘어가 도둑질하는 종류이다.[人皆有所不忍 達之於其所忍 仁也 人皆有所不爲 達之於其所爲 義也 人能充無欲害人之心 而仁不可勝用也 人能充無穿踰之心 而義不可勝用也 人能充無受爾汝之實 無所往而不爲義也 士未可以言而言 是以言餂之也 可以言而不言 是以不言餂之也 是皆穿踰之類也]”라고 하였다.
‘차마 할 수 없는 것’이란 사람을 해치는 것을 이르고, ‘하지 않는 것’이란 죽어도 하지 않는 의지와 지조를 이른다. 爾汝는 사람이 나쁜 짓을 하여 남들로부터 천시받는 칭호이다.

당송팔대가문초 소식(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