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蘇軾(3)

당송팔대가문초 소식(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소식(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總只是一箇凝重이라
幹了大事하니라
古之人 惟漢武帝號知人이라
蓋其平生所用文武將帥, 郡國邊鄙之臣 左右侍從, 陰陽, 律曆, 博學之士 以至錢穀小吏, 治刑獄, 使絶域者 莫不獲盡其才하야 而各當其處
이나 猶有所試하야 其功效著見하야 天下之所共知而信者
至於霍光하야는 先無尺寸之功하고 而才氣數術 又非有以大過於群臣이어늘 而武帝擢之於稠人之中하야 付以天下後世之事러니
夫欲有所立於天下하야 擊搏進取하야 以求非常之功者 則必有卓然可見之才而後 可以有望於其成이요 至於捍社稷, 託幼子하야는 此其難者 不在乎才而在乎節이요 不在乎節而在乎氣
天下 固有能辦其事者矣
이나 才高而位重이면 則有僥倖之心하야 以一時之功으로 而易萬世之患이라
曰 不在乎才而在乎節이라하니
古之人 有失之者하니 是也
天下亦有忠義之士 可託以死生之間하야 而不忍負者矣
이나 狷介廉潔하야 不爲不義하면 則輕死而無(諱)[謀]하야 能殺其身而不能全其國이라
曰 不在乎節而在乎氣라하니
古之人 有失之者하니 是也
夫霍光者 才不足而氣節有餘하니 此武帝之所爲取也니라
此霍光之謂歟인저
使霍光而有他技 則其心 安能休休焉容天下之才하고 而樂天下之彦聖하야 不忌不克하야 若自己出哉리오
才者 爭之端也
夫惟聖人在上이라야 驅天下之人하야 各走其職하야 而爭用其所長하나니
苟以人臣之勢 而居於廊廟之上하야 以捍衛幼冲之君이어늘 而以其區區之才 與天下爭能이면 則姦臣小人 有以乘其隙하야 而奪其權矣리라
霍光 以匹夫之微 而操生殺之柄하야 威蓋人主而貴震於天下로되 其所以하야 而終其身토록 天下莫與爭者 以其無他技 而武帝亦以此取之歟인저


08. 곽광霍光에 대한
곽광霍光은 요컨대 다만 하나의 진중鎭重한 사람이었다.
그러므로 큰일을 주관한 것이다.
옛날 사람 중에 오직 한 무제漢 武帝가 사람을 잘 알아보았다고 알려졌다.
그가 평생에 등용한 의 관원과 장수, 군국郡國과 변방의 신하와 좌우의 시종하는 신하 및 음양陰陽율력律曆 등 널리 학문을 익힌 선비로부터 전곡錢穀을 다스리는 낮은 관리와 형옥刑獄을 다스리고 먼 지역에 사신 간 자에 이르기까지, 재주를 다하여 각각 맡은 벼슬자리에 합당함을 얻지 못한 자가 없었다.
그러나 이들은 그래도 시험해본 바가 있어 공효功效가 드러나서 천하 사람들이 함께 알아주고 믿어주는 자들이었다.
그러나 곽광霍光의 경우는 애당초 한 자나 한 치의 작은 공로도 없었고, 재기才氣술수術數가 여러 신하들보다 크게 뛰어난 것이 아니었는데도, 무제武帝는 여러 사람 중에서 그를 발탁하여 천하와 후세의 일을 맡겼다.
그러자 곽광霍光이 또 자기 몸을 잊고 한결같은 마음으로 어린 임금을 보필하였으며, 창읍왕昌邑王을 폐위하고 선제宣帝를 옹립하는 즈음에 이르러서는 그 거조擧措가 매우 여유 있고 혼란하지 않았으니, 그 까닭은 어째서인가?
천하에 큰일을 성취하고자 해서 공격하고 진취하여 비상한 공을 바라는 자들은 반드시 크게 뛰어나서 볼 만한 재주가 있은 뒤에야 그 성공을 바랄 수 있고, 사직社稷을 보호하고 어린 군주를 맡김에 있어서는 그 어려움이 재주에 있는 것이 아니요 절개에 있고, 절개에 있는 것이 아니요 기절氣節에 있는 것이다.
천하에는 진실로 그 일을 잘 다스리는 자가 있다.
그러나 재주가 높고 지위가 막중해지면 요행을 바라는 마음이 생기게 마련이어서, 한때의 공명功名 때문에 만세萬世를 하찮게 여기기도 한다.
그러므로 “재주에 있지 않고 절개에 있다.”라고 말한 것이다.
옛날 사람 중에 이것을 잘못한 자가 있으니, 사마중달司馬仲達(사마의司馬懿)이 바로 이러한 경우이다.
천하에는 또한 사생死生의 위급한 상황을 맡길 만하여 차마 저버리지 않는 충의忠義로운 선비가 있다.
그러나 꼿꼿하고 청렴하고 결백해서 불의不義의 행실을 하지 않으면, 이러한 사람들은 대부분 죽음을 가볍게 여기고 계책이 없어서 충분히 자기 한 몸은 바칠 수 있으나 나라를 온전히 하지는 못한다.
그러므로 나는 “절개에 있지 않고 기절氣節에 있다.”라고 말한 것이다.
옛날 사람 중에 이것을 잘못한 자가 있으니, 나라 순식荀息이 바로 이러한 경우이다.
곽광霍光이란 자는 재주는 부족하나 기절氣節이 유여하였으니, 이것이 무제武帝가 그를 취한 까닭이다.
서경書經》에 이르기를 “만일 한 명의 신하가 정성스럽고 한결같고 딴 기예가 없으나 그 마음이 곱고 고와 포용함이 있어서, 남이 가지고 있는 기예를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처럼 여기며, 남의 훌륭하고 스러움을 마음속에 좋아하되 자기 입에서 나온 것보다도 좋아한다면 이는 남을 포용하는 것이니, 나의 자손子孫여민黎民을 보호할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아!
이것은 바로 곽광霍光을 두고 말함일 것이다.
만일 곽광霍光이 딴 기예가 있었다면, 그 마음이 어찌 곱고 고와 천하의 인재를 포용하고 천하 사람들의 훌륭함과 스러움을 좋아하여 시기하지 않고 이기려 하지 않아서, 마치 자기 입에서 나온 것과 같이 할 수 있었겠는가?
재주라는 것은 분쟁의 단서이다.
오직 성인聖人이 윗자리에 있어야 천하 사람들을 몰아서 각각 그 직책에 분주히 달려가게 하여 다투어 그 소장所長을 쓸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만약 인신人臣의 형세로서 낭묘廊廟(조정朝廷)의 위에 처하여 어린 군주를 보호하고 있는데 자신의 하찮은 재주를 가지고 천하 사람들과 다툰다면 간신姦臣소인小人이 그 틈을 타서 권세를 빼앗으려 할 것이다.
곽광霍光은 미천한 필부로 생사여탈生死與奪의 권세를 쥐고 있어서 위엄이 군주를 뒤덮고 귀함이 천하를 진동하였으나, 그가 세 군주를 차례로 섬기고 죽을 때까지 천하에 그와 더불어 다툴 자가 없었던 것은 그가 딴 기예가 없었기 때문이요, 무제武帝 또한 이 때문에 그를 취했을 것이다.


역주
역주1 霍光論 : 이 글은 東坡가 젊은 시절에 지은 것이다. 霍光은 漢 武帝와 宣帝 때의 大臣으로 字는 子孟이고 河東 平陽 사람이다. 驃騎將軍 霍去病의 아우인데, 성품이 신중하고 고지식하여 武帝의 신임을 받았다. 武帝의 임종에 즈음하여 顧命大臣으로 遺詔를 받아 大司馬․大將軍이 되어 8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한 昭帝 劉弗陵을 보필하였다. 昭帝가 後嗣 없이 죽자, 昌邑王 劉賀를 맞아들여 帝位에 오르게 했으나 그가 無道한 짓을 자행하자 폐위시키고, 다시 武帝의 太子였다가 반역죄로 죽은 戾太子의 손자 劉病已(宣帝)를 즉위시키는 등 전후 20년 동안 國政을 전담하였다.
역주2 霍光又能忘身 一心以輔幼主 : 幼主는 昭帝를 가리킨다. 武帝가 죽자 昭帝가 즉위하였는데, 당시 나이 8세였으므로 武帝의 遺詔를 받아 顧命大臣이 된 霍光이 한마음으로 어린 군주를 보필하고 모든 정사를 결정하였다.
역주3 處於廢立之際 其擧措甚閑而不亂 : 廢立은 霍光이 昭帝 사후에 昌邑王 劉賀를 맞이하여 帝位에 오르게 했다가, 그가 無道한 짓을 자행하자 폐위시키고 다시 戾太子의 손자인 病已를 즉위시킨 일을 이른다. 신하가 군주를 폐위하는 일은 반역과 같아 큰 혼란이 야기될 수 있는 일이었는데, 霍光이 잘 대처하여 국가가 무사하였으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역주4 司馬仲達 : 仲達은 司馬懿(179~251)의 字로 河內 溫縣 사람인데, 삼국시대 魏나라의 권신으로 晉나라를 개국한 武帝 司馬炎의 조부이다. 曹操의 천거로 출사하여 모사가 되었으며, 태자 曹丕(魏 文帝)를 도와 漢 獻帝의 선양을 받아내어 魏나라를 개국하는 데 큰 공을 세워 丞相府의 長史가 되고, 이어 撫軍大將軍이 되어 정권의 실세로 떠올랐다. 文帝 사후에 顧命大臣으로 遺詔를 받들어 明帝(曹叡)를 보좌하였으며, 중원을 공격한 蜀漢의 諸葛亮에 맞서 나라를 방위하고 이 공으로 太尉가 되어 군권을 장악하였다.
병이 위독해진 明帝로부터 曹爽과 함께 顧命大臣으로 위촉되어 당시 8세의 齊王 曹芳을 도우라는 遺詔를 받았으나, 曹爽이 자신을 누르고 세력을 키우자, 嘉平 원년(249)에 정변을 일으켜 曹爽의 세력을 제거하고 丞相에 올라 조정의 대권을 장악하였다. 이후 아들인 司馬師와 司馬昭가 晉王이 되어 국정을 전단하다가 司馬昭의 아들 司馬炎이 선양을 받고 황제로 즉위하여 晉나라를 개국하자, 宣帝로 추존되었다. 《晉書 宣帝紀》
역주5 荀息 : 춘추시대 晉 獻公 때의 대부로 이름이 黯이고 息은 그의 字이다. 본래 晉나라의 公族이었는데 荀邑을 식읍으로 삼았기 때문에 姓이 荀이 되었다.
獻公은 寵姬 驪姬의 참소에 따라 太子 申生을 자살하게 하고, 또 重耳와 夷吾 두 公子를 핍박하여 다른 나라로 도망하게 한 다음, 驪姬의 아들 奚齊를 후사로 세웠다. 임종에 즈음하여 獻公이 荀息을 불러 어린 아들을 부탁하였는데, 荀息은 죽음으로써 보필할 것을 약속하였다.
獻公이 죽고 난 뒤에 大夫 里克이 驪姬의 소행을 미워하여 10월에 奚齊를 시해하자, 荀息이 驪姬의 동생의 아들인 卓子를 세워 보필하였으나 里克이 11월에 또다시 卓子를 시해하니, 이때 荀息도 따라 죽었다. 《春秋左氏傳 僖公 9년》
역주6 書曰……以保我子孫黎民 : 書는 《書經》 〈周書 秦誓〉로, 〈秦誓〉의 序에 이르기를 “秦 穆公이 鄭나라를 정벌하자, 晉 襄公이 군대를 거느리고 와서 秦軍을 崤山에서 패퇴시키니, 穆公이 돌아와 〈秦誓〉를 지었다.[秦穆公伐鄭 晉襄公帥師敗諸崤 還歸 作秦誓]”라고 하였다.
《春秋左氏傳》 僖公 33년을 보면 당시 鄭나라는 晉․秦 등 열강들의 거점 쟁탈지역이 되었다. B.C. 627년 鄭나라에 가 있던 秦나라의 大夫 杞子가 穆公에게 은밀히 사람을 보내어 아뢰기를 “鄭나라에서 저에게 北門을 맡겼으니, 만일 秦나라에서 은밀히 軍을 출동시켜 쳐들어오면 제가 北門을 열어드리겠습니다. 이렇게 되면 鄭나라를 점령하고 패권을 차지할 수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穆公이 이 문제를 가지고 노재상인 蹇叔에게 물으니, 蹇叔은 “이 방법은 위험천만하다.”며 반대하였다.
그러나 穆公은 패권에 욕심을 내고 젊은 장수인 孟明과 西乞, 白乙 등의 주장을 따라 이들에게 명하여 군을 출동시켰다가 이것을 눈치챈 晉나라의 공격으로 崤山에서 대패하였다. 이에 穆公은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秦誓〉를 지었다고 한다. 이로써 이 내용은 전쟁에서 패하고 돌아온 穆公이 자신의 과오를 뉘우치고, 마음이 순후하고 너그러운 신하인 蹇叔의 정성을 읊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역주7 歷事三主 : 세 군주는 武帝와 昭帝․宣帝를 이른다.

당송팔대가문초 소식(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