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世之治亂인댄 必觀其人이요 問人之賢不肖인댄 必以世考之라
			                         
                        		
                        		
                        		
	                     		
			                       	
			                       	
	                     		
	                     		
		                        
                        	
                        	
                        	
                        	
                        		
                        			
                        			
			                        
                        		
                        		
                        		
	                     		
			                       	
			                       	
	                     		
	                     		
		                        
                        	
                        	
                        	
                        	
                        		
                        			
                        			
			                        
                        		
                        		
                        		
	                     		
			                       	
			                       	
	                     		
	                     		
		                        
                        	
                        	
                        	
                        	
                        		
                        			
                        			
			                        
			                        	合抱之木은 不生於步仞之丘하고 千金之子는 不出於三家之市하나니라
			                         
                        		
                        		
                        		
	                     		
			                       	
			                       	
	                     		
	                     		
		                        
                        	
                        	
                        	
                        	
                        		
                        			
                        			
			                        
			                        	臣嘗逮事인종황제仁宗皇帝하니 其愚하야 不足以測知聖德之所至나 獨私竊覽觀호니 四十餘年之間에 左右前後之人이 其大者는 固已光明儁(俊)偉하고 深厚雄傑하야 不可窺較요 而其小者도 猶能敦朴愷悌하고 靖恭持重하야 號稱長者라
			                         
                        		
                        		
                        		
	                     		
			                       	
			                       	
	                     		
	                     		
		                        
                        	
                        	
                        	
                        	
                        		
                        			
                        			
			                        
			                        	當是之時하야 天人和同하고 上下懽心하야 才智不用而道德有餘하고 功業難(明)[名]而福祿無窮하니라
			                         
                        		
                        		
                        		
	                     		
			                       	
			                       	
	                     		
	                     		
		                        
                        	
                        	
                        	
                        	
                        		
                        			
                        			
			                        
			                        	에 若臣若子 罔有內外
하고 下至深山窮谷
의 老婦稚子
하고 外薄四海
의 裔夷君長
하야 見當時之人
하고 聞當時之事
하면 未有不流涕稽首者也
하니 此豈獨上之澤歟
아 
			                         
                        		
                        		
                        		
	                     		
			                       	
			                       	
	                     		
	                     		
		                        
                        	
                        	
                        	
                        	
                        		
                        			
                        			
			                        
                        		
                        		
                        		
	                     		
			                       	
			                       	
	                     		
	                     		
		                        
                        	
                        	
                        	
                        	
                        		
                        			
                        			
			                        
                        		
                        		
                        		
	                     		
			                       	
			                       	
	                     		
	                     		
		                        
                        	
                        	
                        	
                        	
                        		
                        			
                        			
			                        
			                        	臣不及見其人矣나 而識其爲人호니 其流風遺俗을 可得而稱者는 以世考之也일새라
			                         
                        		
                        		
                        		
	                     		
			                       	
			                       	
	                     		
	                     		
		                        
                        	
                        	
                        	
                        	
                        		
                        			
                        			
			                        
			                        	희령熙寧六年冬
에 以事至
고소姑蘇러니 其子
회誨 出
中所賜公端敏字二
와 飛白筆一
하야 以示臣
하고 且謂臣記之
하라 將刻石而傳諸世
라하니라 
			                         
                        		
                        		
                        		
	                     		
			                       	
			                       	
	                     		
	                     		
		                        
                        	
                        	
                        	
                        	
                        		
                        			
                        			
			                        
                        		
                        		
                        		
	                     		
			                       	
			                       	
	                     		
	                     		
		                        
                        	
                        	
                        	
                        	
                        		
                        			
                        			
			                        
			                        	且以爲抱
이 不若藏此筆
이요 保
가 不若傳此書
며 考
이 不若推點畫以究觀其所用之意
요 存
가 不若因褒貶以想見其所與之人
이라 
                        		
                        		
                        		
	                     		
			                       	
			                       	
	                     		
	                     		
		                        
                        	
                        	
                        	
                        	
                        		
                        			
                        			
			                        
			                        	或藏於名山
하고 或流於四方
에 凡所見者 皆當聳然而作
하야 如望
하야 相與勉爲忠厚而恥爲浮薄
이 或由此也夫
인저 
                        		
                        		
                        		
	                     		
			                       	
			                       	
	                     		
	                     		
		                        
                        	
                        	
                        	
                        	
                        		
                        			
                        			
			                        
                        		
                        		
                        		
	                     		
			                       	
			                       	
	                     		
	                     		
		                        
                        	
                        	
                        	
                        	
                        		
                        			
                        			
			                        
                        		
                        		
                        		
	                     		
			                       	
			                       	
	                     		
	                     		
		                        
                        	
                        	
                        	
                        	
                   			
                        	
                        	
                        	
                        	
	                       	
	                       	
	                       	
	                       	
							                       	
	                        
	                        
	                        	
	                        
	                        	
	                        
	                        	
	                        
	                        	
	                        
	                        	
	                        
	                        	
	                        
	                        	
	                        
	                        	
	                        
	                        	
	                        
	                        	
	                        
	                        	
	                        
	                        	
	                        
	                        	
	                        
	                        	
	                        
	                        	
	                        
	                        	
	                        
	                        	
	                        
	                        	
	                        
	                        	
	                        
	                        	
	                        
	                        	
	                        
	                        	
	                        
	                        	
	                        
	                        	
	                        
	                        	
	                        
	                        	
	                        
	                        	
	                        
	                        	
	                        
	                        	
	                        
	                        	
	                        
	                        	
	                        
	                        	
	                        
	                        	
	                        
	                        	
	                        
	                        	
	                        
	                        	
	                        
	                        
	                        
                        	
		                        
		                        
		                        
		                        
                        		
                        	
		                        
		                        
		                        
		                        	
		                        	
		                        
		                        
                        		
                        		
                        			
			                        
			                        	01. 인종황제仁宗皇帝께서 직접 비백체飛白體로 쓰신 어서御書에 대한 기문記文
			                              
                        			
                        		
                        		
	                     		
			                       	
			                       	
	                     		
		                        
                        	
		                        
		                        
		                        
		                        
                        		
                        	
		                        
		                        
		                        
		                        	
		                        	
		                        
		                        
                        		
                        		
                        			
			                             
                        			
                        		
                        		
	                     		
			                       	
			                       	
	                     		
		                        
                        	
		                        
		                        
		                        
		                        
                        		
                        	
		                        
		                        
		                        
		                        	
		                        	
		                        
		                        
                        		
                        		
                        			
			                        
			                        	세상이 다스려지는가 혼란한가를 물으려면(알려면) 반드시 그 사람을 관찰해야 하고, 사람이 어진가 불초한가를 물으려면 반드시 그 세대를 고찰해야 한다. 
			                              
                        			
                        		
                        		
	                     		
			                       	
			                       	
	                     		
		                        
                        	
		                        
		                        
		                        
		                        
                        		
                        	
		                        
		                        
		                        
		                        	
		                        	
		                        
		                        
                        		
                        		
                        			
			                        
			                        	맹자孟子가 말씀하시기를 “그 사람의 시詩를 외우고 그 사람의 글을 읽으면서도 그 사람의 인품을 알지 못하는 것이 되겠는가? 
			                              
                        			
                        		
                        		
	                     		
			                       	
			                       	
	                     		
		                        
                        	
		                        
		                        
		                        
		                        
                        		
                        	
		                        
		                        
		                        
		                        	
		                        	
		                        
		                        
                        		
                        		
                        			
			                        
			                        	이 때문에 그 사람이 살았던 세대를 논하는 것이다.”라고 하셨다. 
			                              
                        			
                        		
                        		
	                     		
			                       	
			                       	
	                     		
		                        
                        	
		                        
		                        
		                        
		                        
                        		
                        	
		                        
		                        
		                        
		                        	
		                        	
		                        
		                        
                        		
                        		
                        			
			                        
			                        	한 아름이 되는 나무는 몇 걸음이나 한 길쯤 되는 언덕에서는 자라지 않고, 천금千金을 소유한 부귀한 집안의 자식은 세 가호 정도 있는 궁벽한 시장에서는 나오지 않는 법이다.
			                              
                        			
                        		
                        		
	                     		
			                       	
			                       	
	                     		
		                        
                        	
		                        
		                        
		                        
		                        
                        		
                        	
		                        
		                        
		                        
		                        	
		                        	
		                        
		                        
                        		
                        		
                        			
			                        
			                        	내 일찍이 인종황제仁宗皇帝를 섬겼는데, 나는 어리석어 성덕聖德의 지극한 바를 측량하여 알 수 없었으나 홀로 은밀히 살펴보니, 40여 년 동안 좌우와 전후에서 보좌하는 사람들 중에서 큰 자들은 진실로 이미 광명하고 위대하고 심후深厚하고 걸출해서 엿보아 비교할 수가 없었으며, 작은 자들도 모두 돈후敦厚하고 질박하고 화락하고 안정되고 공손하고 근신하여 장자長者라고 일컬어졌다. 
			                              
                        			
                        		
                        		
	                     		
			                       	
			                       	
	                     		
		                        
                        	
		                        
		                        
		                        
		                        
                        		
                        	
		                        
		                        
		                        
		                        	
		                        	
		                        
		                        
                        		
                        		
                        			
			                        
			                        	이때를 당하여 하늘과 사람이 화합하고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기뻐하는 마음을 품어서, 재주와 지혜를 쓰지 않고도 도덕道德이 유여하였으며, 공업功業을 다 형용하기 어려워 복록이 무궁하였다. 
			                              
                        			
                        		
                        		
	                     		
			                       	
			                       	
	                     		
		                        
                        	
		                        
		                        
		                        
		                        
                        		
                        	
		                        
		                        
		                        
		                        	
		                        	
		                        
		                        
                        		
                        		
                        			
			                        
			                        	인종황제仁宗皇帝께서 승하하신 이래로 12년 동안 신자臣子들이 안과 바깥을 가릴 것 없이, 아래로는 깊은 산과 궁벽한 골짝의 늙은 부인과 어린아이에까지 이르고, 밖으로는 사해四海의 변방 오랑캐 군장君長에 이르기까지 그 당시의 사람을 보고 그 당시의 일을 들어보면 인종황제仁宗皇帝를 그리워해서 눈물을 흘리고 머리를 조아리지 않는 자가 없으니, 이 어찌 다만 인종황제仁宗皇帝의 은택일 뿐이겠는가? 
			                              
                        			
                        		
                        		
	                     		
			                       	
			                       	
	                     		
		                        
                        	
		                        
		                        
		                        
		                        
                        		
                        	
		                        
		                        
		                        
		                        	
		                        	
		                        
		                        
                        		
                        		
                        			
			                        
			                        	무릇 조정에 있는 자들도 참여하여 공력功力이 있었던 것이다.
			                              
                        			
                        		
                        		
	                     		
			                       	
			                       	
	                     		
		                        
                        	
		                        
		                        
		                        
		                        
                        		
                        	
		                        
		                        
		                        
		                        	
		                        	
		                        
		                        
                        		
                        		
                        			
			                        
			                        	태자소부太子少傅인 안간 왕공安簡 王公은 휘諱가 거정擧正이다. 
			                              
                        			
                        		
                        		
	                     		
			                       	
			                       	
	                     		
		                        
                        	
		                        
		                        
		                        
		                        
                        		
                        	
		                        
		                        
		                        
		                        	
		                        	
		                        
		                        
                        		
                        		
                        			
			                        
			                        	나는 미처 그 인물을 보지 못했으나 그 사람됨을 아니, 그의 유풍流風과 유속遺俗을 지금도 말할 수 있는 것은 이분이 살았던 세대(인종仁宗의 시대)를 가지고 고찰하기 때문이다. 
			                              
                        			
                        		
                        		
	                     		
			                       	
			                       	
	                     		
		                        
                        	
		                        
		                        
		                        
		                        
                        		
                        	
		                        
		                        
		                        
		                        	
		                        	
		                        
		                        
                        		
                        		
                        			
			                        
			                        	희령熙寧 6년 겨울에 내가 공무公務 때문에 고소姑蘇에 이르자, 공公의 아들 회誨가 경력慶曆 연간에 인종仁宗께서 공公에게 하사한 ‘단민端敏’이라는 두 글자와 비백체飛白體로 쓴 글씨 하나를 꺼내어 나에게 보여주고, 또 나에게 이르기를 “이에 대한 기문記文을 지어달라. 내 장차 비석碑石에 새겨서 후세에 전하겠다.”라고 하였다.
			                              
                        			
                        		
                        		
	                     		
			                       	
			                       	
	                     		
		                        
                        	
		                        
		                        
		                        
		                        
                        		
                        	
		                        
		                        
		                        
		                        	
		                        	
		                        
		                        
                        		
                        		
                        			
			                        
			                        	나는 벼슬이 태상太常의 지위에 있고 직책이 태사太史를 맡고 있으니, 법法에 따라 당연히 이 글(어서御書)을 써야 한다. 
			                              
                        			
                        		
                        		
	                     		
			                       	
			                       	
	                     		
		                        
                        	
		                        
		                        
		                        
		                        
                        		
                        	
		                        
		                        
		                        
		                        	
		                        	
		                        
		                        
                        		
                        		
                        			
			                        
			                        	또 생각하건대 오호烏號라는 활을 안고 있는 것이 이 필적을 보관하는 것만 못하고, 곡부曲阜의 신발을 보존하는 것이 이 글을 전하는 것만 못하고, 퇴려追蠡를 고찰하여 음악을 논하는 것이 한 점 한 획을 미루어서 그 쓰신 바의 뜻을 자세히 연구해보는 것만 못하고, 창포김치를 보존하여 선왕의 기호嗜好를 추념하는 것이 포폄하신 일을 인하여 그 친애하신 사람을 상상해보는 것만 못할 것이다.
			                              
                        			
                        		
                        		
	                     		
			                       	
			                       	
	                     		
		                        
                        	
		                        
		                        
		                        
		                        
                        		
                        	
		                        
		                        
		                        
		                        	
		                        	
		                        
		                        
                        		
                        		
                        			
			                        
			                        	혹 이것을 명산名山에 보관하고 혹 사방에 유전하면, 누구나 이것을 보는 자들이 모두 마치 모두旄頭의 먼지를 바라보고 뒤따르는 수레의 소리를 듣는 것처럼 마땅히 벌떡 일어나서, 서로 힘써 충후忠厚한 행실을 하고 부박浮薄한 짓을 하는 것을 부끄러워하는 것이 혹 이로 말미암아 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작은 제목인데도 큰 곳으로부터 의논을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