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蘇軾(5)

당송팔대가문초 소식(5)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소식(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古來 豪儁(俊)所被橫口之汚衊者多어늘 장공長公 此一番洗刷하니 絶是니라
이태백李太白 하니 此豈濟世之人哉리오마는
曰 士固有大言而無實하야 虛名不適於用者
이나 不可以此料天下之士
以氣爲主하니
使之得志 必不肯附權倖하야 以取容하리니
其肯從君於昏乎
하고 包含宏大로되 陵轢卿相하고 嘲哂호걸豪傑이로다
籠罩靡前하고 跆藉貴勢하야 出不休顯하고 賤不憂戚이라
戱萬乘若僚友하고 視儔列如草芥하야 雄節邁倫하고 高氣蓋世하니 可謂拔乎其萃하야 游方之外者也라하니 吾於이태백太白 亦云이로라
이태백太白之從永王璘 當由迫脅이리라
不然이면 璘之狂肆寢陋하야 雖庸人이라도 知其必敗也 이로되 而不能知璘之無成 此理之必不然者也
吾不可以不辨이로라


03. 이태백비李太白碑에 새긴 음기陰記
예로부터 호걸들이 속인俗人들의 멋대로 놀리는 입(말)에 의해 더럽혀짐을 당한 경우가 많은데, 장공長公이 여기서 한 번 깨끗이 씻었으니, 참으로 옳다.
이태백李太白(이백李白)은 광사狂士이고 또 일찍이 영왕 인永王 璘에게 실절失節한 적이 있으니, 이 어찌 세상을 구제할 수 있는 사람이겠는가?
그런데도 필문간공畢文簡公(필사안畢士安)이 그를 왕좌王佐로 기대하였으니, 너무 지나치지 않은가?
이에 대해 나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선비는 진실로 큰소리만 치고 실제가 없어서 허명虛名으로 실용에 적합하지 않은 자가 있다.
그러나 이것을 가지고 천하의 선비들을 모두 똑같이 헤아릴(매도할) 수는 없는 것이다.
선비는 기절氣節을 위주로 한다.
고역사高力士가 권력을 행사할 적에 공경대부公卿大夫들이 다투어 그를 섬겼는데, 이태백李太白고역사高力士로 하여금 대궐 위에서 자신의 신을 벗기게 하였으니, 진실로 이미 기개가 온 천하를 뒤덮은 것이었다.
그러니 만일 이태백李太白이 뜻을 얻었다면 반드시 권신과 총애 받는 신하에게 빌붙어서 용납되려 하지 않았을 것이다.
어찌 기꺼이 혼우昏愚한 군주를 따랐겠는가?
하후담夏侯湛동방생東方生(동방삭東方朔)을 칭찬하여 말하기를 “개제開濟하고 명활明豁하며 도량이 커서 포용하면서도 경상卿相을 능멸하고 호걸豪傑들을 조롱하였다.
예전의 인물들보다 뛰어나서 모두를 포함하였으며, 귀하고 세력이 있는 사람들을 모두 짓밟아서 조정에 나아가서는 영화롭게 여기지 않았고 신분이 낮아도 근심하지 않았다.
만승萬乘천자天子를 동료와 같이 대하고 동렬들을 초개와 같이 보아서 큰 절개가 동류보다 뛰어나고 높은 기개가 온 세상을 뒤덮었으니, 걸출하여 방외方外에서 노닌 자라고 이를 만하다.”라고 하였으니, 내 이태백李太白에게도 이렇게 말하노라.
이태백李太白영왕 인永王 璘을 따른 것은 마땅히 협박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영왕 인永王 璘광포狂暴하고 제멋대로 행동하며 외모가 누추해서, 비록 용렬한 사람이라도 그가 반드시 패할 줄을 알았을 터인데, 곽자의郭子儀가 인걸임을 알아본 이태백李太白영왕 인永王 璘이 성공하지 못할 줄을 알지 못했다면, 이것은 이치상 반드시 옳지 않은 것이다.
그러므로 내가 이것을 분변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역주
역주1 李太白碑陰記 : 이 글의 저작 시기는 미상이다. 陰記는 碑의 후면에 새긴 글을 이른다. 李太白(701~762)은 唐나라의 저명한 시인으로 이름은 白이고 太白은 그의 字이며, 號는 靑蓮居士이다. 杜甫와 함께 漢詩의 양대 산맥으로 일컬어져 李白은 詩仙, 杜甫는 詩聖으로 불린다. 天寶 원년(742) 가을에 처음 長安에 나와 賀知章(659~744)을 만나 ‘천상의 謫仙人’으로 찬양되면서, 그 명성이 온 세상에 퍼졌다. 그 뒤 玄宗을 알현하여 시문의 재능을 인정받아 翰林供奉으로 임명되고 궁중 시인으로 명성을 날렸다. 저서에 《李太白詩集》 30권이 있다.
역주2 狂士 : 뜻이 높고 말이 고상하여 진취적이나 행실이 말에 걸맞지 못한 선비를 이른다.
《孟子》 〈盡心 下〉에 萬章이 “어떠하여야 狂士라 이를 수 있습니까?[何如斯可謂狂矣]”라고 묻자, 孟子께서 “그 뜻이 높고 커서 말하기를 ‘옛사람이여, 옛사람이여.’라고 하나, 평소에 그의 행실을 살펴보면 행실이 말을 가리지 못하는 자이다.[其志嘐嘐然曰 古之人古之人 夷考其行而不掩焉者也]”라고 대답하였다.
역주3 嘗失節於永王璘 : 失節은 志節을 잃음을 이른다. 永王 璘은 唐 玄宗의 열여섯째 아들로 開元 13년(725)에 永王으로 봉해졌는데, 安祿山이 天寶 14년(756)에 반란을 일으켜 潼關을 함락시키자, 玄宗은 蜀으로 播遷하면서 그를 山南東路․嶺南․黔中․江南西路의 四道節度采訪等使와 江陵郡大都督에 임명하였다. 이에 永王 璘은 江陵에 주둔하며 수만 명의 군대를 모아 자기 마음대로 강남 일대를 통치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李白을 불러 막료로 삼으니, 李白은 그를 위해 〈永王東巡歌〉 십여 수를 지었다.
이때 태자 李亨이 靈武에서 즉위하여 肅宗이 되었는데, 肅宗이 永王 璘에게 蜀으로 가서 근친할 것을 명하였다. 永王 璘이 이에 불복하고 반란을 일으켰다가, 肅宗이 보낸 高適 등에게 토벌되어 도주하였다. 李白은 반역죄에 연루되어 사형에 처해지게 되었으나, 汾陽王 郭子儀가 자신의 職位를 걸고 적극 주선하여 목숨을 부지하고 夜郞으로 귀양가던 중 大赦免令으로 풀려났는데, 失節은 이를 말한 것이다.
역주4 畢文簡公 以王佐期之 : 畢文簡公은 畢士安(938~1005)으로 字가 仁叟이고 文簡은 謚號이며 代州 雲中(지금의 山西省 代縣) 사람이다. 乾德 4년(966)에 進士로 출사하여 眞宗 때에 中書門下平章事에 올랐다. 王佐는 王佐之才로 帝王을 도울 만한 재주란 뜻인데, 바로 재상이 될 만한 인물을 이른다.
역주5 方高力士用事……而太白使脫靴殿上 : 高力士(684~762)는 玄宗의 총애를 받은 宦官으로 高州 良德(지금의 廣東省 電白縣) 사람이다. 본명은 馮元一인데 어려서 宦官으로 궁궐에 들어가면서 宦官 高延福의 양자가 되어 개명하였다. 玄宗이 中宗의 아내인 韋皇后를 제거할 적에 功을 세우고 총신이 되어 벼슬이 驃騎大將軍에 이르고 渤海郡公에 봉해졌으며, 楊貴妃를 후궁으로 들이고 李林甫․楊國忠 등을 천거하여 함께 정권을 농단하였다.
이 내용은 《新唐書》 〈李白傳〉에 “李白이 황제를 모실 적에 항상 술에 취해 있었는데 高力士로 하여금 자신의 신발을 벗기게 하니, 高力士는 평소 귀한 몸이었으므로 이를 수치로 여겼다.[白嘗侍帝醉 使高力士脫鞾 力士素貴 恥之]”라고 보인다.
역주6 夏侯湛 : 西晉의 文章家로 字가 孝若이며 沛國 譙縣(지금의 安徽省 亳州) 사람이다. 曹操의 장수 夏侯淵의 증손으로 武帝 때에 中書侍郞과 南陽相을 역임하고 惠帝 때에 散騎常侍를 지냈는데, 49세의 나이로 병사하였다. 저서에는 《魏書》․《昆弟誥》 등이 있는데 〈東方朔畫贊〉이 가장 유명하며, 《晉書》에 傳이 있다.
역주7 東方生 : 東方朔(B.C. 154~B.C. 93)을 가리킨 것으로 漢 武帝 때의 문신인데 字가 曼倩이며 平原 厭次 사람이다. 벼슬이 金馬門 侍中에 이르렀으며 해학에 뛰어나고 辭賦에도 능했는데, 武帝에게 直言과 諷諫을 잘하였다. 〈答客難〉․〈非有先生論〉 등의 글을 남겼으며, 《史記》와 《漢書》에 傳이 있다.
역주8 開濟明豁 : 흉금이 넓게 트이고 성격이 명랑하고 호탕함을 이른다.
역주9 太白識郭子儀之爲人傑 : 郭子儀(697~781)는 唐나라의 武將으로 華州 鄭縣(지금의 陝西省 華縣) 사람이다. 玄宗․肅宗․代宗․德宗 4대에 걸쳐 많은 전투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唐나라 최고의 名將으로 일컬어진다. 天寶 14년(755) 朔方節度使로서 安祿山의 난을 평정하고 위구르를 회유하였으며, 吐蕃의 침입을 물리쳐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하는 등 많은 공을 세워 德宗 때에 尙父의 호칭을 받고 汾陽郡王에 봉해졌다. 시호는 忠武이다. 《舊唐書 郭子儀列傳》
이 내용은 《新唐書》 〈李白傳〉에 “지난날 李白이 幷州를 유람할 적에 郭子儀를 만나보고 기이하게 여겼다. 郭子儀가 일찍이 法을 범하였는데, 李白이 황제에게 아뢰어 벌을 면하게 하였다.[初白游幷州 見郭子儀 奇之 子儀嘗犯法 白爲救免]”라고 보인다.

당송팔대가문초 소식(5)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