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蘇軾(3)

당송팔대가문초 소식(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소식(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時論之冠이라
中間君臣等四比 塡入格眼하니
本屬時論이로되 却能按經傳事情하야 化腐爲新하니 擧子輩得此法이면 可以橫四海矣리라
昔者 聖人 將欲有爲也인댄 其始 必先有所甚難하야 而其終也 至於久遠而不廢하시니 其成之也難故 其敗之也不易하고 其得之也重故 其失之也不輕하고 其合之也遲故 其散之也不速하니라
夫聖人之所爲詳于其始者 非爲其始之不足以成이요 而憂其終之易敗也 非爲其始之不足以得이요 而憂其終之易失也 非爲其始之不足以合이요 而憂其終之易散也
天下之事 如是 足以成矣 如是 足以得矣 如是 足以合矣로되 而必曰未也라하야 又從而하야 하야 而爲之表飾이라
是以 至於今不廢하니라
及其後世하야는 求速成之功하고 而勸(倦)於遲久
其欲成也 止於其足以成하고 欲得也 止於其足以得하고 欲合也 止於其足以合하며 而其甚者 則又不能待其足이라
其始不詳이면 其終 將不勝弊하니 嗚呼
此天下治亂 享國長短之所從出歟인저
聖人之始制爲君臣, 父子, 夫婦, 朋友也 坐以治政하고 奔走而執事하면 此足以爲君臣矣로되 聖人 懼其相易而至於相凌也하야
於是 爲之車服采章以別之하고 하며 名非不相聞也로되 而見必以하고 心非不相信也로되하니 此所以久而不相易也니라
杖屨以爲安하고 飮食以爲養하면 此足以爲父子矣로되 聖人 懼其相褻而至於相怨也하야
於是 制爲朝夕省問之禮 하며 하고 하니 此所以久而不相褻也니라
生以居於室하고 死以葬於野하면 此足以爲夫婦矣로되 聖人 懼其相狎而至於相離也하야
於是 先之以幣帛하고 重之以媒妁하며 하고 하니 此所以久而不相狎也니라
安居以爲黨하고 急難以相救하면 此足以爲朋友矣로되 聖人 懼其相瀆而至於相侮也하야
於是 戒其群居嬉遊之樂하고 而嚴其射御食飮之節하며 足非不能行也로되하고 口非不能言也로되 而待紹介之傳命하니 此所以久而不相瀆也니라
天下之禍 莫大於苟可以爲而止하니 夫苟可以爲而止 則君臣之相凌 父子之相怨 夫婦之相離 朋友之相侮 久矣리니
聖人憂焉이라 是故 多爲之飾하시니라
라하니라 苟錯諸地라도 而可矣어늘 藉之用茅하니 何咎之有리오하니
此古之聖人 所以長有天下어늘 而後世之所謂迂闊也니라
受之以賁라하니 盡矣로다


06. 은 구차히 합할 수가 없다는
시론時論의 으뜸이다.
중간에 군신君臣 등 네 가지 비유를 가지고 격안格眼에 메워 넣었다.
본래 시론時論에 속하나 경전과 사정을 잘 살펴서 진부한 것을 변화시켜 새로운 것으로 만들었으니, 거자擧子(과생科生)들이 이런 방법을 배운다면 사해四海를 횡행할 수 있을 것이다.
옛날에 성인聖人이 장차 훌륭한 일을 하려고 하면, 그 처음에 반드시 먼저 매우 어렵게 여기는 바가 있어서 오래고 멂에 이르러도 끝내 폐하지 않게 하셨으니, 어렵게 이루었기 때문에 쉽게 패하지 않고 힘들게 얻었기 때문에 가볍게 잃지 않고, 오랜 시일을 두고 더디게 합했기 때문에 속히 흩어지지 않은 것이다.
성인聖人이 그 처음을 자세하고 신중히 하셨던 이유는 그 처음에 이룰 수 없어서가 아니고 종말에 패망하기 쉬울까 우려해서이며, 또 그 처음에 충분히 얻을 수 없어서가 아니고 종말에 쉽게 잃을까 우려해서이며, 그 처음에 충분히 합하지 못해서가 아니고 종말에 쉽게 흩어질까 우려해서였다.
천하天下의 일이 이와 같이 하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같이 하면 충분히 얻을 수 있고, 이와 같이 하면 충분히 합할 수 있는데도, 반드시 ‘아직 안 된다.’고 생각하고는 따라서 절문節文하여 치밀하고 곡진하게 해서 표식表飾을 하였다.
이 때문에 지금에 이르도록 폐하지 않은 것이다.
후세에 이르러서는 을 빨리 이루기를 추구하고 더디고 오래함에 싫증을 내었다.
그러므로 이루고자 할 적에는 충분히 이루기만 하면 되는 데에서 그치고, 얻고자 할 적에는 충분히 얻기만 하면 되는 데에서 그치고, 합하고자 할 적에는 충분히 합하기만 하면 되는 데에서 그치며, 심한 경우에는 또 충분하기를 기다리지도 않는다.
그 처음을 자세하고 신중히 하지 않으면 종말에 장차 그 병폐를 이루 다 이길 수가 없으니, 아!
천하天下의 다스려지고 혼란함과 나라를 향유함의 길고 짧음이 이로부터 나오는 것이다.
성인聖人이 처음 군신간君臣間부자간父子間, 부부간夫婦間붕우간朋友間를 제정할 적에 군주는 앉아서 정사를 다스리고 신하들은 분주히 일을 집행하면 이로써 충분히 군신간이 될 수 있었으나, 성인聖人은 서로 쉽게 여겨 능멸함에 이를까 염려하였다.
이에 수레와 복식에 채장采章을 만들어서 분별하고 조근朝覲할 적에 위치를 드러내어 신분을 엄격히 하였으며, 이름을 서로 듣지 않은 것이 아니지만 만나볼 적에는 반드시 찬자贊者를 사용하였고, 마음이 서로 믿지 않는 것이 아니지만 궁중에 들어갈 적에는 반드시 증표를 사용하였으니, 이 때문에 오래되어도 서로 쉽게 여겨 능멸하지 않은 것이다.
지팡이와 신으로 편안하게 해드리며 먹고 마실 것으로 봉양하면 충분히 부자간이 될 수 있었으나, 성인聖人은 서로 설만하게(무례하게) 대하여 원망함에 이를까 염려하였다.
이에 아침저녁으로 문안하고 살피는 와 몸의 좌우에 물건을 차고 쓰는 꾸밈을 만들었으며, 집안끼리 모여서 살면 즐거운데도 거처를 달리하여 구별하였고, 부자간에 모여서 먹으면 즐거운데도 반찬을 달리하여 높였으니, 이 때문에 오래되어도 서로 설만하지 않은 것이다.
살아서는 한방에 거처하고 죽어서는 들에 함께 장례하면 이로써 충분히 부부간이 될 수 있었으나, 성인聖人은 서로 친압하여 헤어질까 염려하였다.
이에 폐백으로써 먼저하고 중매쟁이로써 거듭하며, 사당에 고하지 않으면 종신토록 첩이 되었고 남자가 낮에 내실(정침正寢)에 거처하면 군자君子가 문병하였으니, 이 때문에 오래되어도 서로 친압하지 않은 것이다.
편안히 거처하여 무리가 되며 위급하고 어려울 적에 서로 구원하면 이로써 충분히 붕우간이 될 수 있었으나, 성인聖人은 서로 함부로 대하여 업신여김에 이를까 염려하였다.
이에 여럿이 모여 기쁘게 노는 즐거움을 경계하고는 활 쏘고 말 타는 것과 먹고 마시는 예절을 엄격히 하였으며, 발이 잘 걸어가지 못하는 것이 아니었으나 빈상擯相를 말해주기를 기다렸고 입이 말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었으나 소개하는 사람이 명령을 전달하기를 기다렸으니, 이 때문에 오래되어도 서로 함부로 대하지 않은 것이다.
천하天下는 그런대로 구차하게 할 만하다 하여 그치는 것보다 더 큰 것이 없으니, 그런대로 구차하게 할 만하다 하여 그친다면 군신간이 서로 능멸하고, 부자간이 서로 원망하고, 부부간이 서로 헤어지고, 붕우간이 서로 업신여긴 지가 오래되었을 것이다.
성인聖人이 이것을 걱정하셨기 때문에 여러 가지로 꾸밈을 하신 것이다.
주역周易》에 이르기를 “깔개로 흰 띠풀을 사용하면 허물이 없다.”라고 하였는데,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시기를 “진실로 물건을 땅에 그대로 놓더라도 괜찮은데 깔개로 흰 띠풀을 사용하니, 무슨 허물이 있겠는가?”라고 하셨다.
이는 옛날 성인聖人들이 천하天下를 장구하게 소유한 이유인데, 후세에서는 우활迂闊하다고 말하는 것이다.
주역周易》에 또 이르기를 “은 합함이니, 물건은 구차히 합해서는 안 된다.
이 때문에 비괘賁卦로써 받았다.”라고 하였으니, 참으로 극진하도다.


역주
역주1 物不可以苟合 : 本集에는 이 글의 제목이 〈物不可以苟合論〉으로 되어 있다. ‘物不可以苟合’은 물건은 구차히 합해서는 안 된다는 뜻으로 《周易》 〈序卦傳〉에 보이는데, 사람은 반드시 예의와 절도가 있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이 편은 위의 〈儒者可與守成〉과 함께 과거시험의 규격을 갖추고 있다. 그러므로 이 글 또한 젊은 시절의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역주2 節文之 : 節文은 절도에 맞게 品節하고 문채 나게 함을 이른다. 《禮記》 〈檀弓 下〉에 “가슴을 치고 발로 구르는 것은 슬픔이 지극한 것이니, 여기에 숫자가 있는 것은 節文을 하기 위한 것이다.[辟踊 哀之至也 有筭 爲之節文也]”라고 하였다.
이에 대한 陳澔의 集說에 “가슴을 치는 것을 辟이라 하고, 발로 구르는 것을 踊이라 하니, 이는 애통함이 지극한 것이다. 만약 이것을 제한하지 않으면 그 생명을 상할까 두렵다. 그러므로 횟수를 두어서 準節한 것이니, 한 번 踊할 적에 세 번 뛰고, 세 번 踊하여 아홉 번 뛰는 것을 一節로 삼는다. 士는 3일에 세 차례의 踊이 있고, 大夫는 4일에 다섯 차례의 踊이 있고, 諸侯는 6일에 일곱 차례의 踊이 있고, 天子는 8일에 아홉 차례의 踊을 한다. 그러므로 이르기를 ‘節文을 하기 위한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역주3 綢繆委曲 : 綢繆는 칭칭 감는다는 뜻으로 빈틈없이 자세함을 이른다. 《詩經》 〈豳風 鴟鴞〉의 “하늘이 陰雨하지 않을 때에 미쳐서 저 뽕나무 뿌리를 주워다가 牖戶를 칭칭 감는다면 이제 저 下民들이 혹시라도 나를 업신여기랴.[迨天之未陰雨 徹彼桑土 綢繆牖戶 今女下民 或敢侮予]”라는 구절에 따라, 빈틈없이 자세하게 미리 대비함을 이르게 되었다. 委曲은 자상하고 곡진함을 이른다. 桑土는 뽕나무 뿌리인데, 새가 이것을 가지고 둥지를 칭칭 감아 견고하게 만듦을 말한 것이다.
역주4 朝覲位著以嚴之 : 朝覲은 신하가 조회하여 군주를 알현함을 이르고, 位는 조정의 左右로 群臣이 나열해 서는 곳을 이른다.
역주5 : 贊禮者를 이른다. 고대에 禮를 행할 적에 禮의 내용을 贊禮者가 큰 소리로 말하게 하고 이에 따라 진행하였다.
역주6 入必以籍 : 籍는 2자쯤 되는 대나무로 만든 증표로, 개인의 나이와 이름 및 용모를 기록하여 궁문에 걸어놓고 입궁하는 자를 대조한 뒤에 들여보냈다.
역주7 左右佩服之飾 : 자식이 부모를 섬길 적에 필요한 물건을 몸의 좌우에 패용하였는바, 《禮記》 〈內則〉에 “왼쪽과 오른쪽에 쓸 물건을 차되 왼쪽에는 행주와 수건, 작은 칼과 숫돌, 작은 뿔송곳과 金燧를 차고, 오른쪽에는 깍지와 팔찌, 필통과 칼집, 큰 뿔송곳과 木燧를 찬다.[左右佩用 左佩紛帨刀礪小觿金燧 右佩玦捍管遰大觿木燧]”라고 보인다.
燧는 불을 내는 도구인데, 金燧는 햇볕에서 불씨를 취하는 도구로 銅으로 만들고 모양이 거울처럼 생겼으며, 木燧는 나무를 문질러 불씨를 취하는 도구로 鑽火木이라고도 한다.
역주8 族居之爲歡 而異居以爲別 : 族居는 가족이 한집에서 거처함을 이르며, 異居는 父子가 각각 다른 집에서 거처함을 이른다. 《禮記》 〈內則〉에 “命士로부터 이상은 父子間이 모두 집을 달리 한다.[由命士以上 父子皆異宮]”라고 하였는데, 鄭玄의 注에 “ ‘집을 달리한다.’는 것은 父母를 높이고 恭敬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命士는 임금에게 命을 받은 一命 이상의 士를 이른다. 옛날 品階는 一命에서 九命까지 있었는데, 올라갈수록 官爵이 높아진다.
역주9 合食之爲樂 而異膳以爲尊 : 合食은 부자간에 함께 식사함을 이르고, 異膳은 자식이 어버이를 위해 맛있는 음식을 장만함을 이른다. 《禮記》 〈內則〉에 “먼동이 틀 무렵에 가서 뵙고 맛있는 飮食으로써 慈愛로움을 다하며……해가 지면 들어가 뵙고서 맛있는 飮食으로써 慈愛로움을 다한다.[昧爽而朝 慈以旨甘……日入而夕 慈以旨甘]”라고 보인다.
역주10 不告于廟 而終身以爲妾 : 고대에는 婚禮에 問名에서부터 請期까지의 행사를 사당에서 행하였는데, 첩의 경우에는 이 禮를 행하지 않았다.
《禮記》 〈昏義〉에 “혼례는 장차 두 姓의 우호를 합하여 위로는 宗廟를 섬기고 아래로는 후대를 이어가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君子가 이것을 소중히 여긴다. 이 때문에 혼례에 納采, 問名, 納吉, 納徵, 請期를 모두 主人이 사당에 자리를 펴고 几를 진열한 다음 문밖에서 절하고 맞이하며, 들어와 읍하고 사양하고 올라가 사당에서 명령을 들으니, 혼례를 공경하고 삼가고 소중히 여기고 바르게 하는 것이다.[昏禮者 將合二姓之好 上以事宗廟 而下以繼後世也 故君子重之 是以 昏禮納采問名納吉納徵請期 皆主人 筵几於廟 而拜迎於門外 入揖讓而升 聽命於廟 所以敬愼重正昏禮也]”라고 보인다.
역주11 晝居于內 而君子問其疾 : 《禮記》 〈檀弓 上〉에 “丈夫가 낮에 正寢에 거처하면 문병을 하여도 된다.[夫晝居於內 問其疾 可也]”라고 보인다. 이는 병이 있어서가 아니고 장부가 낮에 正寢에 있어서는 안 됨을 비판한 것이다.
역주12 待擯相之詔禮 : 擯은 나가서 빈객을 영접하는 자이고, 相은 의식을 집행하는 자를 이른다. 詔禮는 의식의 진행을 고하여 알려줌을 이른다.
역주13 易曰 藉用白茅無咎 : ‘藉用白茅無咎’는 《周易》 大過卦 初六爻의 爻辭인데, 〈繫辭傳 上〉에 孔子께서 해석하시기를 “진실로 물건을 땅에 그대로 놓더라도 괜찮은데 깔개로 흰 띠풀을 사용하니 무슨 허물이 있겠는가? 삼감이 지극한 것이다. 띠풀이란 물건은 하찮으나 쓰임은 소중히 여길 만하니, 이 방법을 삼가서 가면 잘못되는 바가 없으리라.[苟錯諸地 而可矣 藉之用茅 何咎之有 愼之至也 夫茅之爲物薄 而用可重也 愼斯術也 以往 其无所失矣]”라고 하였다.
역주14 嗑者合也……故受之以賁 : 이 내용은 《周易》 〈序卦傳〉에 그대로 보인다. 《周易》의 64卦의 순서는 噬嗑卦 다음에 賁卦가 있는데, 噬嗑의 嗑은 합한다는 뜻이고, 賁는 꾸민다는 뜻이다. 〈序卦傳〉은 64卦의 순서를 정한 이유를 설명한 글이다.
이에 대해 程子는 《易傳》에서 “물건이 합하면 반드시 文(문채)이 있으니, 文은 바로 꾸밈이다. 예컨대 사람이 모이면 威儀와 上下의 구분이 있고, 물건이 모이면 次序와 行列이 있어서 합하면 반드시 文이 있으니, 賁卦가 이 때문에 噬嗑卦의 다음이 된 것이다.[物之合 則必有文 文乃飾也 如人之合聚 則有威儀上下 物之合聚 則有次序行列 合則必有文也 賁所以次噬嗑也]”라고 해설하였다.

당송팔대가문초 소식(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