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蘇軾(3)

당송팔대가문초 소식(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소식(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當時應試 論合如此
라하니 言形勢之不如德也
이라하고 이라하니 儒者之言兵 未嘗不以藉其口矣
請拾其遺說而備論之호리라
凡形勢之說 有二하니 有以人爲形勢者하니 三代之封諸侯 是也
天子之所以繫於天下者 至微且危也
歡然而合하고 合而不去하면 則爲君臣하니 其善 可得而賞하고 其惡 可得而罰하며 其穀米 可得而食하고 其功力 可得而役使하니 當此之時하야 君臣之勢甚固러니
及其一旦潰然而去하고 去而不返하야는 則爲寇讐하야 彊者起而見攻하고 智者起而見謀하야
彷徨四[回]顧로되 而不知其所恃하니 當是之時하야 君臣之勢甚危
先王 知其固之不足恃하고 而危之不可以忽也
大封諸侯하야 錯置親賢하야 以示天下形勢하니
이나 周之衰也 諸侯肆行이로되 而莫之禁하야 하니 是則德衰而人之形勢 不足以救也니라
有以地爲形勢者하니 是也
秦之取天下 非天下心服而臣之也
較之以富하고 搏之以力이로되 而猶不服이어든 又以하고 然後 僅得之하니 今之臣服而朝貢 皆昔之暴骨於原野之子孫也
則吾安得泰然而長有之리오
漢之取天下 雖不若秦之暴 然要之컨대 皆不本於仁義也
當此之時하야 不大封諸侯 則無以答功臣之望이요 諸侯大而京師不安이면 則其勢不得不以關中之固而臨之
此雖堯, 舜, 湯, 武라도 亦不能使其德一日而信於天下
以地爲形勢者也
이나 及其衰也 皆以大臣專命하야 危自內起하야 而關中之形勢 曾不及施하니 此亦德衰而地之形勢不能救也니라
夫三代, 秦, 漢之君 慮其後世하야 而爲之備患 不可謂不至矣
이나 至其亡也하야는 常出於其所不慮하니 此豈形勢不如德之明效歟
人存則德存이니 德存이면 則無諸侯而安이요 無障塞而固矣리라


07. 형세形勢만 못하다는
당시 과시當時 科試함에 이 마땅히 이와 같아야 할 것이다.
(옛 책)에 “천시天時지리地利만 못하고, 지리地利인화人和만 못하다.”는 내용이 있으니, 이는 형세形勢만 못함을 말한 것이다.
오기吳起 또한 말하기를 “나라를 지키는 것은 에 달려 있고, 강산의 험고함에 달려 있지 않다.”라고 하였고, 태사공太史公은 말하기를 “형세形勢가 비록 강하나 요컨대 인의仁義를 근본으로 삼아야 한다.”라고 하였으니, 유자儒者들이 병사兵事를 말할 적에 일찍이 이것을 가지고 말하지 않은 적이 없다.
나는 청컨대 그 남은 말을 주워 모아서 자세히 논해 보겠다.
무릇 형세形勢란 말은 두 가지가 있는데, 사람을 가지고 형세形勢를 삼는 경우가 있으니, 삼대三代제후諸侯를 봉해준 것이 이것이다.
천자天子가 천하의 인심을 규합하는 것은 지극히 미미하고 또 위태롭다.
즐거워하여 서로 합하고 합하여 떠나가지 않으면 군신간君臣間이 되니, 한 자에게 을 내릴 수 있고 한 자에게 을 내릴 수 있으며, 신하는 군주의 곡식과 쌀을 녹봉으로 먹을 수 있고 군주는 신하의 공력功力을 부릴 수 있으니, 이때를 당해서는 군신간君臣間형세形勢가 매우 견고하다.
그러다가 하루아침에 결연히 떠나가고 떠나가서 돌아오지 않게 되면 원수지간이 되어서, 강한 자는 일어나 군주에게 공격을 가하고 지혜로운 자는 일어나 군주를 도모한다.
그리하여 군주가 방황하여 이리저리 돌아보아도 믿을 곳을 알지 못하니, 이때를 당해서는 군신간의 형세가 매우 위태롭다.
선왕先王은 그 견고함이 믿을 것이 못 되고 이 위태로움을 소홀히 할 수 없음을 알았다.
이 때문에 제후諸侯들을 크게 봉하여 친척과 어진 자를 섞어 배치해서 천하天下에게 형세形勢를 보였다.
유송劉頌의 이른바 “나라를 잘 다스리는 자는 형세形勢에 맡기고 사람에게 맡기지 않으니, 군현郡縣을 두어 살피는 것은 작은 정사는 잘 다스려지나 큰 형세는 위태롭고, 제후諸侯를 세워 나라를 다스리게 하면 가까이는 어기는 자가 많으나 장구히 생각해보면 견고하다.”는 것이니, 이것은 사람을 가지고 형세形勢를 삼은 경우이다.
그러나 나라가 쇠약해지자, 제후諸侯들이 제멋대로 행동하였으나 이것을 금지하지 못하여 평왕平王 이후로는 망한 것과 거의 차이가 없었으니, 이는 하면 사람의 형세形勢가 구원하지 못하는 것이다.
땅(지형)을 가지고 형세를 삼은 경우가 있으니, 나라와 나라가 도읍都邑을 세운 것이 이것이다.
나라가 천하天下를 점령한 것은 천하天下 사람들이 심복하여 신하 노릇한 것이 아니다.
부유함을 가지고 서로 겨루고 힘을 가지고 서로 공격하였는데도 상대방이 복종하지 않으면, 또 속임수로 군주를 가두고 장수를 사로잡은 뒤에야 겨우 천하를 얻었으니, 지금 신하로 복종하여 조공朝貢을 바치는 자들은 모두 예전에 원야原野에서 싸우다가 해골을 드러냈던 자들의 자손子孫이다.
그렇다면 내 어떻게 태연히 천하를 장구하게 소유할 수 있겠는가?
나라가 천하天下를 점령한 것은 비록 나라처럼 포악하지는 않았으나, 요컨대 나라와 나라가 천하를 얻은 것은 모두 인의仁義에 근본하지 않았다.
이때를 당하여 제후諸侯들을 크게 봉해주지 않으면 공신功臣의 기대에 보답할 수 없고, 제후국이 커지면 천자국天子國경사京師가 불안하게 되니, 그 형세形勢험고險固관중關中의 지형을 가지고 임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이는 비록 요제堯帝순제舜帝, 탕왕湯王무왕武王이라도 자기 을 하루아침에 천하天下에 펼칠 수가 없는 것이다.
순경荀卿의 이른바 “세 가지를 합한다.”는 것이니, 이는 땅을 가지고 형세形勢를 삼은 경우이다.
그러나 나라와 나라가 쇠약해짐에 미쳐서는 모두 대신大臣들이 자기 마음대로 명령命令하여, 위험이 안으로부터 시작되어 관중關中형세形勢가 한 번도 멀리 미치지 못하였으니, 이 또한 이 쇠하면 땅의 형세形勢가 구원하지 못하는 것이다.
삼대三代의 군주들이 후세를 염려하여 환란을 대비한 것이 지극하지 않다고 말할 수 없다.
그러나 망할 때에 이르러서는 항상 염려하지 않은 데에서 환란이 나왔으니, 이 어찌 형세形勢만 못한 분명한 증험이 아니겠는가?
주역周易》에 이르기를 “신묘하게 하여 밝히는 것은 그 사람에게 달려 있다.”라고 하였다.
사람이 있으면 이 보존되니, 이 보존되면 제후諸侯가 없어도 국가가 편안하고, 보장保障요새要塞가 없어도 국가가 견고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形勢不如德 : 이 글은 治平 2년(1065) 蘇軾의 나이 30세에 쓴 작품이다. 本集의 〈王者不治夷狄論〉의 注에 “이하 6首는 모두 秘閣(學士院)의 시험에 제출한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이 글 역시 6首 가운데의 하나이다. 蘇軾은 治平 2년에 鳳翔에서 開封府로 돌아와 殿中丞 判登聞鼓院을 제수받고 學士院의 시험을 거쳐 直史館에 임명되었다.
‘形勢不如德’은 《史記》 〈孫子吳起列傳〉에 나오는 司馬遷의 評에 “吳起는 魏 武侯에게 形勢가 德만 못하다고 설득하였다. 그러나 자신이 楚나라에서 행한 정치는 각박하고 포악했으며, 또한 은혜를 베푸는 데 인색하여 몸을 망쳤으니, 슬픈 일이다.[吳起說武侯以形勢不如德 然行之於楚 以刻暴少恩亡其軀 悲夫]”라고 보인다.
역주2 傳有之……地利不如人和 : 傳은 옛 책을 가리키는바, 이 내용은 《孟子》 〈公孫丑 下〉에 그대로 보인다.
역주3 吳起亦云 在德不在險 : 吳起(B.C. 440~B.C. 381)는 전국시대의 저명한 병법가로 衛나라 사람이다. 曾子에게 배우고 魯나라의 將軍이 되어 齊나라와 싸워 전공을 세웠으나, 중상모략을 받자 魏나라로 가서 文侯를 섬겨 많은 전공을 세웠다. 그러나 文侯의 아들 武侯 때에 신임을 잃고는 다시 楚나라에 가서 悼王의 신임을 얻어 재상이 되고 개혁을 추진해서 부국강병을 이루었으나, 悼王이 죽자 평소 원망을 샀던 楚나라의 귀족들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저서에 병법서 《吳子》가 있다.
《史記》 〈吳起列傳〉에 “武侯가 吳起와 함께 배를 타고 황하의 물길을 따라 내려오다가 중류에 이르자, 吳起를 쳐다보며 ‘참으로 훌륭하다. 山河의 험고함이여. 이것은 魏나라의 보배로다.’라고 하니, 吳起가 아뢰기를 ‘나라를 지키는 것은 德에 달려 있고 강산의 험고함에 있지 않습니다.……주군께서 덕을 닦지 않으신다면 이 배 안에 있는 사람들조차도 모두 적국을 위하게 될 것입니다.’ 하였다.[武侯浮西河而下 中流顧而謂吳起曰 美哉 山河之固 此魏國之寶也 起對曰 在德不在險……若君不修德 舟中之人盡爲敵國也]”라고 보인다.
역주4 太史公以爲……要以仁義爲本 : 《史記》 〈漢興以來諸侯王年表序〉에 “臣은 삼가 高祖 이래로 武帝 太初 연간의 제후에 이르기까지 그들의 성하고 쇠한 시기를 기록하여 후세 사람들로 하여금 살필 수 있게 하였으니, 形勢가 비록 강하나 요컨대 仁義를 근본으로 삼아야 합니다.[臣遷謹記高祖以來至太初諸侯 譜其下益損之時 令後世得覽 形勢雖彊 要之以仁義爲本]”라고 보인다.
역주5 劉頌所謂善爲國者……近多違而遠慮固 : 劉頌은 字가 子雅로 廣陵 사람이다. 晉 武帝 때에 廷尉를 맡아 공정하고 치밀한 일 처리로 명성이 높았으며, 자주 나라를 다스리는 治道를 가지고 간하였다. 위의 이 내용은 《晉書》 〈劉頌傳〉에 보인다.
역주6 自平王以下……無幾也 : 平王은 周나라의 王으로 이름은 宜臼이며 幽王의 아들이다. 幽王이 褒姒(포사)를 총애하여 申后를 축출하고 申后의 소생인 태자 宜臼를 폐위한 다음 褒姒의 아들 伯服을 후사로 세우자, 國舅인 申侯가 犬戎을 불러들여 周나라를 공격하고 幽王을 驪山 아래에서 시해하였다.
宜臼가 제후들에 의지하여 王으로 추대되어 즉위하자 洛邑으로 천도하였는데, 이후로 周나라는 권위가 실추되어 천자는 유명무실한 존재가 되었다. 그러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孔子가 지은 《春秋》는 魯 隱公 원년부터 시작되었는데, 隱公 원년은 바로 平王 49년이다.
역주7 秦漢之建都 : 秦나라는 關中의 咸陽에 도읍하였고, 漢나라는 關中의 長安에 도읍하였는데, 關中은 殽山과 函谷關이 있는 천고의 요새지이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賈誼의 〈過秦論〉에 “始皇帝가 마음속에 스스로 생각하기를 ‘關中의 견고함은 金城(철옹성) 천 리이니 자손들이 제왕의 지위를 만세토록 누릴 수 있는 基業이다.’라고 여겼다.[始皇之心 自以爲關中之固 金城千里 子孫帝王萬世之業也]”라고 보인다.
그리고 《史記》 〈高祖本紀〉에 “田肯이 하례를 올리고 인하여 高祖에게 아뢰기를 ‘폐하께서는 韓信을 사로잡으시고 또 秦나라의 關中에 도읍을 정하셨으니, 關中 땅은 험고한 지형으로 깊은 黃河와 높고 험한 山을 끼고 있으며, 제후국들과는 천 리나 떨어져 있으니, 제후들의 군사가 100만이라도 관중은 그 100분의 2인 2만으로도 충분히 막아낼 수 있습니다. 지형이 이처럼 유리하니, 제후들을 향해 용병을 할 경우, 비유하자면 마치 높은 지붕 위에서 동이의 물을 쏟는 것과 같아 아무도 형세를 당해낼 수 없을 것입니다.[田肯賀 因說高祖曰 陛下得韓信 又治秦中 秦形勝之國 帶河山之險 縣隔千里 持戟百萬 秦得百二焉 地勢便利 其以下兵於諸侯 譬猶居高屋之上建瓴水也]”라고 보인다.
역주8 詐囚其君 : 楚 懷王 16년(B.C. 313)에 秦 惠王이 懷王을 속이고 또 회담하러온 懷王을 가두어 죽게 한 일을 이른다. 秦나라는 蘇秦의 합종책에 의해 결맹하고 있는 齊나라와 楚나라 사이를 이간시키기 위해, 張儀를 楚나라에 보내 懷王에게 齊나라와 절교한다면 商․於의 땅 6백 리를 떼어주겠다고 제안하였다.
그러나 막상 楚나라가 齊나라와 절교하고 땅을 요구하자, 張儀는 楚나라의 사신에게 “본래 6리의 땅을 주는 것이었다.”고 거짓말을 하고 땅을 주지 않았다. 이로 인해 두 나라는 분쟁이 계속되었으며, 懷王 30년에 秦 昭王은 楚나라가 齊나라와 다시 강화를 맺은 것을 따지면서 국경지대인 武關에서 회맹할 것을 청하였다.
懷王이 武關으로 들어가자, 秦나라는 懷王을 咸陽으로 끌고 가서 강제로 억류하고, 巫邑과 黔中의 땅을 할양하면 楚나라로 돌려보내주겠다고 하였다. 그러나 懷王은 이를 거절하였는데, 다음 해에 秦나라에서 병이 나서 죽었다. 《史記 楚世家》
역주9 虜其將 : 秦 孝公 22년(B.C. 340)에 秦나라 商鞅이 衛나라를 공격하자, 衛나라는 公子 卬을 장수로 삼아 秦나라 군대를 막도록 하였는데, 衛나라 출신인 商鞅은 ‘지난날의 정리’를 운운하며 회맹할 것을 청하였다. 公子 卬이 이를 믿고 회맹에 참석하여 술을 마시자, 商鞅이 군사들을 매복시켰다가 기습공격하여 그를 사로잡고 衛나라 군대를 대파하였다. 《史記 商鞅列傳》
역주10 荀卿所謂合其參者 : 《荀子》 〈天論〉에 “하늘에는 때가 있고 땅에는 재물이 있고 사람은 이것을 다스릴 수 있는 능력이 있으니, 이를 일러 ‘세 가지를 합한다.’고 하는 것이다. 이 세 가지를 합할 수 있는 방법(사람의 일)을 버려두고 하늘의 뜻을 알고자 하는 것은 바로 미혹된 짓이다.[天有其時 地有其財 人有其治 夫是之謂能參 舎其所以參而願其所參則惑矣]”라고 보인다.
역주11 易曰……存乎其人 : 《周易》 〈繫辭傳 上〉에 “化하여 제재함은 변화함에 달려 있고, 미루어 行함은 변통함에 달려 있고, 神妙하게 하여 밝힘은 사람에게 달려 있고, 묵묵히 이루며 말하지 않아도 믿음은 德行에 달려 있다.[化而裁之 存乎變 推而行之 存乎通 神而明之 存乎其人 黙而成之 不言而信 存乎德行]”라고 보이는데, 蘇軾은 이를 인용하여 중요한 것은 군주의 德이니, 德이 있는 군주가 있으면 형세를 따지지 않아도 국가가 편안할 수 있다고 말한 것이다.

당송팔대가문초 소식(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