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蘇軾(2)

당송팔대가문초 소식(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소식(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奇文이라
公子翬請殺桓公하야 以求太宰한대 隱公曰 爲其少故也 吾將授之矣
使營菟裘하니 吾將老焉호리라한대 翬懼하야 反譖公於桓公而弑之하니라
蘇子曰
盜以兵擬人이면 人必殺之하나니 夫豈獨其所擬리오
塗(途)之人 皆捕擊之矣리라
塗之人 與盜非仇也로되 以爲不擊이면 則盜且幷殺己也일새라
隱公之智 曾不若是塗之人也하니 哀哉
隱公 惠公 繼室之子也 其爲非嫡 與桓均爾 而長於桓이어늘 隱公 追先君之志하야 而授國焉하니 可不謂仁乎
惜乎
其不敏於智也
使隱公誅翬而讓桓이면 雖夷齊라도 何以尙玆리오
하고 하니 此二人之智 若出一人이요 而其受禍 亦不少異하야
里克 不免於惠公之誅하고 李斯 不免於二世之虐하니 皆無足哀者로되 吾獨表而出之하야 以爲世戒하노라
君子之爲仁義也 非有計於利害
이나 君子之所爲 義利常兼이요 而小人 反是
李斯聽趙高之謀 非其本意 獨畏
勉而聽高하니 使斯聞高之言하고 卽召百官, 陳六師하야 而斬之 其德於扶蘇 豈有旣乎 何蒙氏之足憂리오
釋此不爲하고하니 非下愚而何
嗚呼
亂臣賊子
其所螫草木 猶足以殺人이어든 況其所噬齧者歟
如厠이라가하야 問小同호되 見吾疏乎 曰 不見이로라
師曰 寧我負卿이언정 無卿負我라하고 遂酖之하니라
允之已醒하야 悉聞其言하고 慮敦疑己하야 遂大吐하야 衣面皆汙
敦果照視之하야 見允之臥吐中하고 乃已하니라
哀哉
小同이여
殆哉岌岌乎
允之也
孔子曰 라하시니 有以也夫인저
吾讀史라가 得魯隱公, 晉里克, 秦李斯, 鄭小同, 王允之五人하고 感其所遇禍福如此
特書其事하노니 後之君子 可以覽觀焉이어다


08. 나라 은공隱公에 대한 2
기이한 문장이다.
공자 휘公子 翬환공桓公을 죽일 것을 청하며 태재太宰 자리를 요구하였으나, 은공隱公은 말하기를 “그가 어리기 때문에 내가 임금이 된 것이니, 나는 장차 임금 자리를 그에게 물려주겠다.
내가 사람을 시켜 토구菟裘를 경영하게 하였으니, 내 장차 그곳에서 노년을 보내겠다.”라고 하자, 공자 휘公子 翬는 두려워하여 도리어 은공隱公환공桓公에게 참소해서 시해하였다.
이에 소자蘇子는 다음과 같이 논한다.
강도强盜가 무기를 들고 남을 겨누면 사람들이 반드시 그 강도强盜를 죽이려 할 것이니, 어찌 다만 강도가 무기로 겨눈 자뿐만이겠는가?
길을 가는 사람도 모두 강도强盜를 공격하여 잡으려 할 것이다.
길을 가는 사람이 강도强盜와 원수진 것이 아닌데도 강도를 공격하는 것은 ‘공격하지 않으면 강도가 장차 자신까지도 죽일 것이다.’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은공隱公의 지혜는 일찍이 길 가는 사람의 지혜에도 미치지 못했으니, 가련하다.
은공隱公혜공惠公계실繼室의 자식이니 환공桓公과 똑같이 적자嫡子가 아니었고 나이가 환공桓公보다 많았는데, 선왕先王의 뜻을 추념하어 환공桓公에게 나라를 물려주려고 했으니, 하다고 말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애석하다!
그 지혜에 빠르지 못함이여.
만일 은공隱公공자 휘公子 翬를 죽이고 나라를 환공桓公에게 양보했더라면, 비록 백이伯夷숙제叔齊라도 어찌 이보다 더하겠는가?
여희驪姬신생申生을 죽이고자 하였으나 이극里克을 어렵게 여겼는데 시우施優이극里克을 끌어들였고, 나라 이세황제二世皇帝가 자기 형 부소扶蘇를 죽이고자 하였으나 이사李斯를 어려워하였는데 조고趙高이사李斯를 끌어들였으니, 이 두 사람의 지혜가 한 사람에게서 나온 것처럼 똑같고 그 화를 받은 것도 다르지 않았다.
그리하여 이극里克혜공惠公의 주벌을 면치 못하였고 이사李斯이세황제二世皇帝의 사나움을 면치 못하였으니, 이극里克이사李斯 두 사람은 모두 불쌍하게 여길 만한 것이 없으나, 나는 오직 이 사실을 표출해서 세상의 경계로 삼는 바이다.
군자君子인의仁義를 행할 적에 이해利害를 계산하지 않는다.
그러나 군자가 하는 바는 를 항상 겸하여 갖추고, 소인小人은 이와 반대이다.
이사李斯조고趙高의 계책을 따른 것은 본심이 아니고, 다만 몽씨蒙氏가 자신의 지위를 빼앗을까 두려워해서였다.
그러므로 억지로 조고趙高의 말을 따른 것이니, 만일 이사李斯조고趙高의 말을 듣고는 즉시 백관百官을 불러 모으고 육군六軍을 진열하여 조고趙高의 목을 베었다면, 부소扶蘇에게 은덕이 되는 것이 어찌 다함이 있었겠으며, 어찌 몽씨蒙氏를 근심할 필요가 있었겠는가?
이사李斯는 이것을 버린 채 하지 않고 결국은 오형五刑을 갖추어 시장에서 죽임을 당했으니, 이사李斯하우下愚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아!
난신적자亂臣賊子는 독사와 같다.
독사가 독을 남긴 풀과 나무도 충분히 사람을 죽일 수 있는데, 하물며 그 독사가 직접 문 경우에 있어서랴?
정소동鄭小同고귀향공高貴鄕公시중侍中이 되어 일찍이 사마사司馬師를 찾아갔는데, 사마사司馬師에게 밀소密疏가 있었으나 미처 이것을 치우지 못하였다.
사마사司馬師가 측간에 갔다가 돌아와 자신의 를 보았는지를 묻자, 정소동鄭小同은 보지 못하였다고 대답하였다.
그러나 사마사司馬師는 말하기를 “차라리 내가 그대를 저버릴지언정, 그대가 나를 저버리게 할 수는 없다.”라고 하고, 마침내 독약을 먹여 죽였다.
왕윤지王允之왕돈王敦을 따라 밤에 술을 마시다가 취하자 자리를 사양하고 먼저 잠자리에 들었는데, 왕돈王敦전봉錢鳳과 함께 반역을 도모하였다.
이때 왕윤지王允之가 술이 깨어 그들의 말을 모두 듣고는 왕돈王敦이 자기를 의심할까 우려하고 마구 토하여 옷과 얼굴이 모두 더럽혀졌다.
과연 왕돈王敦이 불을 비추어 왕윤지王允之가 토한 채로 누워 있는 것을 보고는 〈크게 취하여 자기들의 계획을 듣지 못했을 것이라고 여겨〉 죽이려는 생각을 그만두었다.
불쌍하다.
소동小同이여!
위태로웠다.
왕윤지王允之여!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시기를 “위태로운 나라에는 들어가지 않고, 어지러운 나라에는 살지 않는다.”라고 하셨으니, 이 때문인 것이다.
나는 역사책을 읽다가 나라의 은공隱公나라의 이극里克나라의 이사李斯정소동鄭小同왕윤지王允之 등 다섯 사람을 얻고서 그들이 만난 화복禍福이 이와 같음에 느낌이 있었다.
그러므로 특별히 이 일을 쓰는 것이니, 후세의 군자들은 살펴볼지어다.


역주
역주1 魯隱公論 二 : 이 글은 제목이 郎曄本에는 〈隱公論 下〉로 되어 있으며, 《志林》에는 〈隱公不平〉으로, 本集에는 〈論魯隱公里克李斯鄭小同王允之〉로 되어 있는데, 이 역시 해남도에 있을 적에 쓰여진 것으로 보인다.
역주2 驪姬欲殺申生……則施優來之 : 驪姬는 春秋時代 戎族의 여자로 晉나라 獻公이 西戎을 정벌하고 얻은 愛妾이다. 음행이 있어 太子 申生에게 접근했으나 申生이 응하지 않자, 申生을 죽이고 자신의 소생 奚齊를 太子로 세우고자 하였다. 그러나 大夫 里克이 반대하여 일을 그르칠까 두려워한 나머지 자신과 사통하고 있던 광대 施와 의논하였다. 이에 施가 잔치를 벌이고 里克을 불러 술을 마시며 獻公의 뜻이 奚齊에게 있음을 넌지시 깨우쳐 里克으로 하여금 중립을 지키게 하여, 결국 申生을 자살하게 하고 奚齊를 후사로 세울 수 있었다. 優는 가무를 담당하는 藝人 즉 광대이다. 《國語 晉語》
역주3 二世欲殺扶蘇……則趙高來之 : 二世는 秦나라의 二世皇帝 胡亥이며, 趙高는 환관으로 始皇帝를 최측근에서 시종한 자이다. 趙高가 胡亥에게 태자 扶蘇를 죽이고 帝位를 차지할 것을 권하자, 胡亥는 승상 李斯를 두려워하여 선뜻 나서지 못하였다. 이에 趙高가 李斯를 불러 설득하였는데, 李斯는 처음에는 거절하였으나, 평소 李斯와 사이가 좋지 않은 扶蘇가 즉위하면 蒙恬이 승상이 되고 화가 후손들에게 미치리라는 趙高의 협박에 넘어가 결국 모의에 가담하였다. 趙高와 李斯는 始皇帝의 거짓 조서를 만들어 胡亥를 二世皇帝로 즉위시키고 태자 扶蘇와 대장군 蒙恬을 죽였다. 趙高는 胡亥가 즉위한 뒤에 李斯를 죽이고 승상이 되어 정권을 농락하다가 秦王 子嬰에게 죽었다. 《史記 李斯列傳》
역주4 蒙氏之奪其位 : 蒙氏는 秦나라의 대장군인 蒙恬으로 趙高에게 살해되었다. 지위를 빼앗는다는 것은 蒙恬이 李斯가 차지하고 있는 승상의 지위를 빼앗음을 의미하는데, 趙高가 李斯에게 모의에 가담할 것을 설득하면서 만일 扶蘇가 즉위하면 틀림없이 蒙恬을 승상으로 삼을 것이라고 협박하였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역주5 具五刑於市 : 李斯가 반역죄로 몰려 五刑을 받고 죽어 시장에 버려진 것을 이른다. 五刑은 이마에 刺字하는 墨刑, 코를 베어내는 劓刑, 발을 자르는 刖刑, 생식기를 자르는 宮刑, 死刑인 大辟의 다섯 가지 형벌을 이른다.
역주6 蝮虵(蛇) : 毒蛇 중의 하나로 흔히 殺母蛇를 이른다. 혹 草上飛 또는 土公蛇라고도 한다.
역주7 鄭小同……遂酖之 : 鄭小同은 魏나라 사람으로 經學者 鄭玄의 손자이다. 孔融이 北海相으로 있을 적에 鄭玄의 아들 益恩을 孝廉으로 천거하였는데, 후에 孔融이 황건적에게 포위되자 益恩이 그를 위해 목숨을 바쳤다. 益恩에게 유복자가 있었는데, 祖父인 鄭玄은 그의 모습이 자기와 비슷하다고 하여 그를 小同이라고 이름 지었다. 高貴鄕公은 魏나라 曹髦의 봉호로 文帝의 손자이며 字는 彦士이다. 司馬師는 字가 子元으로 司馬懿의 長子이고 晉나라를 건국한 司馬炎의 큰아버지인데 뒤에 景王에 봉해졌다. 그러나 본문에서 인용한 《魏氏春秋》에는 司馬師가 文王 司馬昭으로 되어 있는데, 轉寫의 오류인 듯하다. 司馬昭는 司馬師의 아우이고 司馬炎의 아버지이다. 密疏는 공개할 수 없는 비밀스러운 내용이 담겨져 있는 上疏文을 이른다. 《後漢書 鄭玄傳》
역주8 王允之從王敦夜飮……乃已 : 王允之(303~342)는 字가 深猷로 琅邪 臨沂 사람이다. 王敦의 從弟 王舒의 아들인데, 王敦과 용모가 비슷하여 王敦으로부터 사랑을 받았다. 王敦은 字가 處仲으로 名相 王導의 從兄이다. 벼슬이 侍中, 江州牧에 이르렀으며, 征南大將軍으로 있을 적에 공을 믿고 정권을 전단하다가 마침내 武昌에서 난을 일으켰다. 뒤에 明帝가 토벌하는 중에 병으로 죽어 剖棺斬屍를 당하였다. 錢鳳은 字가 世儀인데 王敦의 심복 장수로 王敦과 함께 반역을 도모하였다. 《晉書 王允之傳》
역주9 危邦不入 亂邦不居 : 이 내용은 《論語》 〈泰伯〉에 보인다.

당송팔대가문초 소식(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