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東洋古典解題集

동양고전해제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동양고전해제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개요

1577년(만력 5)에 명대(明代)의 학자인 능치륭(凌稚隆)(1533~1593)이 사마천의 《사기》 130권을 대상으로 당대까지 이루어진 논평을 두루 채집하고 정밀하게 교정한 책이다.

2. 저자

(1) 성명:능치륭(凌稚隆)(1533~1593)
(2) 자(字)·별호(別號):능치륭은 원명(原名)이 우지(遇知), 자(字)는 이동(以棟), 호(號)는 뇌천(磊泉)
(3) 출생지역:호주(湖州) 오정(烏程)(현 절강성(浙江省) 오흥(吳興))
(4) 주요활동과 생애
능치륭의 집안은 원나라 말기의 혼란을 지나 5대조인 능현(凌賢)에 와서 중흥하게 되었고, 그의 증조부인 능부(凌敷)가 당시 오정(烏程)의 망족(望族)인 민씨(閔氏)와 혼인하면서 가격(家格)이 더욱 상승하였다. 조부인 능진(凌震)(1471~1535)은 문징명(文徵明)(1470~1559), 유린(劉麟)(1474~1561)과 교유하면서 문명을 떨쳤고, 부친 능약언(凌約言)(1505?~1572?)은 후칠자(後七子)의 영수인 왕세정(王世貞)(1526~1590)과 교유하였다. 장형 능적지(凌迪知)는 《만성통보(萬姓統譜)》 등의 서적 저술 및 계지관(桂芝館)을 운영하며 투인본(套印本)을 간행한 인물로 유명했고, 능적지의 아들인 능몽초(凌濛初)(1580~1644)는 《박안경기(拍案驚奇)》 등 소설과 희곡을 비롯하여 각종 출판 사업을 통해 명성을 쌓았다. 능치륭은 과거에는 실패했으나, 이러한 가학과 교우 관계를 배경으로 많은 저술을 남기고 출판하였다. 그는 당송파인 왕신중(王愼中)(1509~1559), 모곤(茅坤)(1512~1602)과 후칠자인 서중행(徐中行)(1517~1578), 오국륜(吳國倫)(1524~1593), 왕세정 등과 교유하면서 당대 유행한 고문운동의 영향을 깊이 흡수한 인물이었다. 이를 통해 《사기》, 《한서》, 《춘추》와 같은 고문 서적을 대상으로 하여 당대 학자들의 논평을 두루 모아 서적을 편찬하였다. 또한 《사기평림(史記評林)》과 같은 평림본의 저술이 가능했던 요인은 당시 복고 운동의 영향 하에서 수많은 평림본들이 이미 존재하고 있었기에 가능했다.
(5) 주요저작:능치륭은 《사기평림》 이외에도 《사기찬(史記纂)》, 《한서평림(漢書評林)》, 《한서찬(漢書纂)》, 《춘추좌전평주측의(春秋左傳註評測義)》, 《사한이동보평(史漢異同補評)》, 《오거운서(五車韻瑞)》 등 《사기》, 《한서》, 《춘추》와 같은 고문 서적을 대상으로 하여 당대 학자들의 논평을 두루 모아놓은 서적을 편찬하였다.

3. 서지사항

능치륭은 어려서 부친 능약언이 지은 《능조천사기평초(凌藻泉史記評抄)》를 읽고 약간의 미진함으로 느껴 평림본을 저술하고자 했다. 이에 《사기》에 대한 역대의 논평들을 두루 수집하여 책을 완성하자, 이 소문을 들은 사인(士人)들이 큰 관심을 보였는데 그중에서도 당대 호사가였던 고흡(古歙) 왕씨(汪氏)와 유양(維揚) 장씨(張氏)의 원조로 《사기평림》을 간행했다. 《사기평림》에 있는 능치륭 서문에 따르면 초간본이 착수된 시기는 1574년(만력 2)이며, 1576년(만력 4) 겨울에 간행이 완료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서중행의 서문이 만력 5년 8월에 작성되어 있어 최종 간역은 1577년(만력 5)으로 보고 있다. 능치륭은 《사기평림》을 편찬할 당시에 저본을 매우 중시하여, 당시 유통되고 있던 여러 《사기》 간본들 중에서도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은 송본(宋本)인 황선부본(黃善夫本)과 1525년(가정 4)에 가유태(柯維態)가 교정한 왕량본(汪諒本)을 활용했다. 이 외에도 다른 (善本)을 참고하여 반복적으로 대조하여 오류를 최소화하고자 노력했다.
이처럼 1577년에 간행된 간본을 능치륭의 자각본(自刻本)이라고 하는데, 이는 저자가 편찬한 책을 자신이 출자하거나 주도하여 간행한 서적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졌다. 자각본이 출현한 이후에도 이광진(李光縉)이 여기에 논평을 추가하여 간행한 증보본(增補本)이 나왔다. 증보본의 간행 시기는 정확하지 않으나 1585~1620년(만력 13~48) 사이로 만력 13년(1585)에서 만력 48년(1620) 사이로 보고 있다. 이 외에도 명대에 간행한 증보본으로는 웅씨(熊氏) 종덕당간본(種德堂刊本), 웅씨(熊氏) 굉원당간본(宏遠堂刊本), 입본당간본(立本堂刊本), 한묵림간본(翰墨林刊本)이 있다. 이들 증보본은 자각본의 평어(評語)를 추가했을 뿐만 아니라, 자각본을 교정하고 산삭하기도 하였다.

4. 내용

《사기평림》은 전체 130권으로 구성된 사마천의 《사기》의 체제를 그대로 따르고 있지만, ‘권수(卷首)’와 ‘각 편(篇)의 본문’ 및 ‘권말(卷末)’을 통해 《사기평림》만의 고유한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권수’는 독사총평(讀史總評)・삽도(揷圖)・인용서목(引用書目)・인용성씨(引用姓氏)의 항목이 배치되어 있다. ‘독사총평’은 각 종 문집에 산재해 있는 여러 명가들이 논평한 《사기》의 대요를 종합해놓은 부분이다. 능치륭이 ‘독사총평’을 권수에 배치한 이유는 독자들이 130권에 달하는 방대한 양의 《사기》 본문을 읽어나가기에 앞서서 전체적인 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배려한 조치였다. ‘삽도’는 여조겸의 《십칠사상절》의 사례를 토대로 계보도와 지리도를 신설했다. ‘인용성씨’는 양신(楊愼)의 《사기제평》에 있는 ‘제유명씨(諸儒名氏)’를 참고하되 수록된 내용은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양신은 공안국(孔安國)으로부터 양신 자신에 이르는 역대 《사기》 연구자들을 모두 망라하고서 인물별로 자(字)・호(號)・거주지 및 관직 중심으로 기술했던 반면에 능치륭은 《사기제평》에 나오는 인물 중에서 대표적인 《사기》 연구자만을 선별하였다. 또한 일람하기 쉽게 인물을 왕조별로 구분하였고, 명나라 말기의 《사기》 연구자들을 대폭 추가했다.
둘째, 본문 상에 보이는 특징으로 각 편의 앞뒤에 수록한 여러 학자들의 평론, 난상(欄上)에 기재한 각종 평어(評語), 본문에 표기한 방주(旁註)와 권점(圈點), 권말에 수록한 논찬(論贊)을 들 수 있다. 먼저 각 편의 앞뒤에는 해당 편의 요지와 함께 문장의 심오한 의미를 거론했던 학자들의 평론을 수록했다. 난상에 기재한 각종 평어는 명나라 인물을 중심으로 수록하되 자신의 논평은 기존 평어들보다 한 자를 낮춰서 ‘안(按)’과 ‘안(按)……운(云)’의 방식으로 기재했다. 본문에 표기한 방주와 권점은 송간본과 명대 국자감본을 저본으로 권점을 찍거나, 비평을 수록할 수 없는 경우에는 계선 사이에 주석을 삽입하여 문장을 이해하고 송독에 편리하도록 했다.
셋째, 권말에 수록된 ‘색은술찬(索隱述贊)’이다. 이 부분은 기존 판본에서는 대자(大字)로 간행되어 있어서 간혹 본문과 구별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삭제되는 경우가 많았다. 실제로 양신의 《사기제평》에는 이 부분이 누락되어 있다. 따라서 능치륭은 《사기평림》을 간행할 당시에 ‘색은술찬’을 소자(小字)로 처리하는 방식을 통해 본문과 구별지었다. 또한 ‘색은술찬’ 뒤에는 간혹 소철(蘇轍)의 《고사찬(古史贊)》이나 여조겸(呂祖謙)의 《십칠사상절(十七史詳節)》을 첨가한 후 명인의 논평을 수록하기도 하였다.

5. 가치와 영향

《사기평림》의 편찬 체제와 자료 수집 방식은 후대 평림본의 전범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명말의 《사기》 독서와 연구에 방대한 자료를 제공해 줌으로써 명・청대 독서인들의 환영을 받았다. 그러나 후대에 출현한 각종 평림본들은 마음대로 비점을 하거나, 이전 평림본에서 평론을 초록하거나, 심지어 정문(正文)까지도 자의적으로 줄이는 등 속서(俗書)로 간행되었을 뿐만 아니라 청대에 활기를 띤 고증학의 풍조로 인해 중국에서 《사기평림》은 널리 유행하지 못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조선이나 일본에 유입된 《사기평림》, 특히 이광진의 증보본은 번각(飜刻)되거나 새로운 사기류 서적이 편찬하는 데 토대를 제공해주었다. 예컨대 조선의 경우에는 선조 33년(1600) 경에 중국본 《사기평림》이 유입되어 개유와(皆有窩), 융문루(隆門樓), 대축관(大畜觀) 등 왕실장서처에 보관되기도 하였고, 중국본을 저본으로 하여 숙종 연간에 금속활자본인 현종실록자본, 영조대의 完營刊本 등이 출현하였고 17세기 후반 무렵부터 역사서이자 문학서 또는 고증을 위한 참고자료로서 왕실 및 역대 문인들 사이에 활발히 유통되었다.

6. 참고사항

(1) 명언
• “이동(능치륭)이 《사기》를 지으면서 그 말에 대해서는 주석에서부터 높이고 깎아내린 비평까지를, 사람에 대해서는 한대부터 가정・융경 연간의 사람들까지 모두 실어놓았다. 그리고 수시로 자서(子書)나 사서(史書)를 두루 끌어와 자신의 견해에 따라 장점을 취해 분명하게 밝혀놓았다.[以棟之爲史記也 其言則自註釋 以至贊隲 其人則自二漢以及嘉隆 無所不附載 而時時旁引它子史 以己意撮其勝而爲之宣明]” 〈사기평림서(史記評林敍)〉
• “책을 한번 펴보면 일목요연해서 마치 손가락으로 손바닥을 가리키는 것과 같다. 또 숲처럼 빽빽한 문자들을 보노라면, 수많은 물건을 늘어놓은 가게에서 보석을 찾고 있는 느낌이 든다.[蓋一發簡而瞭然若指掌, 又林然若列瓌寶於肆而探之也]” 〈사기평림서〉
• “앞으로 사마천의 학통을 이어서 밝히고, 훌륭한 역사가로서의 재능을 가져 뛰어난 문장을 쓴다고 일컬어질 수 있는 자가 나온다면, 이동의 책을 버리고 무엇을 택하겠는가?[自今而後 有能紹明司馬之統 而稱良史至文者 舍以棟奚擇哉]” 〈사기평림서〉
(2) 색인어:사기평림(史記評林), 능치륭(凌稚隆), 이광진(李光縉), 자각본(自刻本), 증보본(增補本)
(3) 참고문헌:
• 史記 標點校勘本(中華書局)
• 사기(정범진 외 역, 까치출판사)
• 사기(김원중, 민음사, 2015)
• 史記評林(哈佛大學哈佛燕京圖書館藏)
• 凌稚隆《史記評林》硏究(陳民裕, 國立高雄師範大學博士學位論文, 1995)
• 凌稚隆《史记评林》探析(朱志先, 《古籍整理研究学刊》 4, 2009)
• 史記評林諸版本志稿(山城喜憲, 《斯道文庫論集》 20, 1984)
• 《史記評林》の版刻について(戶川芳郞 《二松大學院紀要》 10, 1996)
• 중국본 《史記》․《漢書》의 조선 유입과 編刊에 관한 연구(김소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2)

【김소희】



동양고전해제집 책은 2023.10.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