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東洋古典解題集

동양고전해제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동양고전해제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개요

《모란정(牡丹亭)》은 명대 유명 극작가인 탕현조(湯顯祖)의 ‘옥명당사몽(玉茗堂四夢)’ 가운데 가장 유명한 작품이다. 《모란정》은 청춘남녀의 지고지순한 사랑을 노래한 희곡작품으로 예교주의(禮敎主義)가 만연했던 당시로서는 혁명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2. 저자

(1) 성명:탕현조(湯顯祖)(1550~1616)
(2) 자(字)·별호(別號):자는 의잉(義仍), 호는 약사(若士) 혹은 해약사(海若士)이며, 자호는 청원도인(淸遠道人)이고, 말년의 호는 견옹(繭翁)이다.
(3) 출생지역:강서성(江西省) 무주시(撫州市) 임천현(臨川縣)
(4) 주요활동과 생애
탕현조는 문인집안에서 태어났으며 집안에는 희곡집만 해도 1천 종이 넘게 있었고 소장한 장서는 4만 권이 넘었다고 한다. 이러한 가정 분위기 속에서 탕현조는 자연스럽게 어려서부터 원곡(元曲)을 접할 수 있었고 이는 작품 활동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탕현조의 생애는 네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13세 때 나여방(羅汝芳)을 스승으로 모셨으며 14세 때 수재가 되었다. 20세 때인 융경(隆慶) 4년(1570)에는 향시에 급제하였다. 그 이듬해(1571) 회시(會試)에서 낙방을 하고 1574, 1577, 1580년 네 번의 낙방으로 이어진다. 1583년 춘시(春試)에서 만 33세에 등과하게 된다. 이때가 임천(臨川) 시기이다.
탕현조는 진사로 관직에 나간 후 잠시 북경에서 근무하다가 이듬해인 1584년에 남경 태상시(太常寺) 박사가 되어 부임한다. 그 뒤 1591년 광동 서문(徐聞) 전리(典吏)로 좌천되기까지 약 7년간을 남경에서 봉직한다. 이때가 남경(南京) 시기이다.
광동의 서문으로 좌천된 이유는 바로 〈논보신과신소(論補臣科臣疏)〉라는 상소 때문이었다. 탕현조는 장거정(張居正)과 당시의 재상이었던 신시행(申時行)의 비리를 논하면서 장문거(楊文擧)와 호여녕(胡汝寧) 두 사람도 탄핵하였다. 상소를 본 황제는 자신의 잘못도 지적하자 화가 치밀어 탕현조를 오지(奧地)인 광동으로 좌천시켰다. 그는 약 1년 반 좌천지에 있다가 1593년에 절강성의 벽지인 수창(遂昌)의 지현(知縣)이 된다. 이곳에서 5년간 재임한 후 관직생활을 청산하고 낙향한다. 이때를 서문(徐聞)·수창(遂昌)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그 후 만력 26년(1598) 3월에 임천으로 낙향한 후 옥명당(玉茗堂)이라 명명한 서재에서 칩거하며 오로지 시작(詩作)과 극작(劇作)에 몰두하였다. 낙향 후 1616년 서거 때까지가 후반부의 임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5) 주요저작:희곡 작품으로는 《자소기(紫簫記)》, 《자차기(紫釵記)》, 《모란정(牡丹亭)》, 《남가기(南柯記)》, 《한단기(邯鄲記)》가 있고, 시문집으로는 《홍천일초(紅泉逸草)》, 《옹조(雍藻)》(제목만 전해짐), 《문극우초(問棘郵草)》, 《옥명당문집(玉茗堂文集)》이 있다.

3. 서지사항

《모란정》은 《환혼기(還魂記)》라고도 하고 《모란정환혼기(牡丹亭還魂記)》라고도 한다. 전체 55척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환혼’의 모티브는 중국문학에서 오래전부터 애용해오던 모티브다. 《모란정》의 원본에 대해서는 대략 다섯 가지 설이 있으나 지금은 화본(話本)《두여랑모색환혼(杜麗娘慕色還魂)》으로 귀결되고 있다.

4. 내용

유몽매(柳夢梅)는 꿈속에서 두여랑(杜麗娘)의 꿈을 꾼다. 남안(南安) 태수 외동딸 두여랑은 봄이 되자 춘정(春情)을 느끼고 화원에 가서 봄을 감상하다가 정자에서 깜빡 졸게 된다. 꿈속에서 유몽매를 만나고 그를 그리워 한 나머지 병이 난다. 두여랑은 자화상을 그려 시 한수를 써넣고 땅에 파묻고 끝내 상사병으로 죽는다.
한편 유몽매는 과거를 보기 위해 고향을 떠났지만 추위에 견디지 못하고 길가에 쓰러져 있는 것을 진최량이 구하여 매화관으로 데리고 간다. 그곳에 머물면서 두여랑이 묻어두었던 자화상을 발견하고 그 미모에 그리움을 느낀다.
죽은 두여랑은 명부(冥府)에서 심판을 받는데 화신(花神)이 등장하여 두여랑을 옹호하고, 두여랑은 미래 운명에 유몽매와 부부 연분이 있음을 알게 된다.
유몽매의 꿈속에 두여랑의 영혼이 나타나 혼인을 약속하고 잠자리를 함께 한다. 유몽매는 두여랑이 환생하고자 한다는 것을 석도고에게 고백하고 도움을 청한다. 길일을 택하여 무덤을 파헤치고 관을 열고 소생한 두여랑에게 회생의 묘약을 먹인다. 회생한 두여랑은 석도고를 시녀로 데리고 유몽매와 임안으로 도망친다.
당시 금나라 장군 이전(李全)이 회양을 포위하고 전란이 일어나서 유몽매는 과거장에 늦게 도착하지만 묘순빈에게 청을 넣어 과거를 치룬다. 전쟁으로 세상이 어수선해지며 과거급제의 발표가 늦어진다. 그 사이에 유몽매는 두여랑을 임안의 여관에 남겨두고 회안으로 장인 두태수의 안부를 살피기 위해 떠난다.
견씨와 춘향도 피난을 와서 두여랑과 석도고가 묶고 있는 여관에 들게 되니 모녀가 해후한다. 아버지 두보(杜寶)가 연 축하연에 유몽매가 사위라 자칭하고 나타나자 수상한 잡배로 오인 당하여 고문을 당한다. 유몽매의 소지품에서 두여랑의 초상화가 나오자 무덤을 파헤친 도적으로 오인되고 참죄를 선고받는다. 유몽매의 장원급제 소식이 두여랑에게 전해지며 황제 앞에서 그의 정체가 밝혀질 것임을 알린다. 유몽매에 대한 두보의 의심이 풀리고 두여랑의 회생 사실도 인정하라는 성지가 내리면서 대단원의 막이 내린다.

5. 가치와 영향

탕현조는 일찍이 청춘남녀의 자유연애 사상을 숭앙하며 그것을 예술작품으로 구가하려 하였다. 그러나 당시는 도덕적인 규제와 제약을 요구하던 시대였다. 탕현조가 구가하는 남녀의 애정관은 당시의 풍습에 저해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작품에 이런 인간 본연의 의지를 투영함으로써 당시 사회에 커다란 반향을 주었던 작품이다. 또한 후에 이런 류의 많은 작품이 나오게 되었다.

6. 참고사항

(1) 명언
• “정이 어디에서 일어나는지 모르지만, 일단 일어나면 아주 깊어져, 산 자는 죽을 수 있고 죽은 자는 살 수도 있다. 살아있으면서 더불어 죽을 수 없고, 죽어서 더불어 다시 살 수 없다면 모두 정의 지극함이 아니다. 꿈속의 정이 어찌 반드시 진실이 아니라고 하겠는가. 천하에 어찌 꿈속의 사람이 없다고 할 수 있겠는가.[情不知所起 一往而深 生者可以死 死可以生 生而不可與死 死而不可復生者 皆非情之至也 夢中之情 何必非眞 天下豈少夢中之人耶]” 〈모란정제사(牡丹亭題詞)〉
• “좋은 시절 아름다운 경치를 어이할거나, 즐거운 마음 기쁜 일은 누구네 정원에 있을까[良辰美景奈何天 便賞心樂事誰家院]” 〈10척〉
(2) 색인어:모란정(牡丹亭), 탕현조(湯顯祖), 두여랑(杜麗娘), 유몽매(柳夢梅), 진최량(陳最良), 석도고(石道姑), 정(情), 환혼(還魂)
(3) 참고문헌
• 〈탕현조 《모란정》 연구〉(강영매,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牡丹亭(湯顯祖·徐朔方·楊笑梅 校注, 臺北里仁書局)
• 牡丹亭硏究(楊振良, 臺灣學生書局)
• 牡丹亭硏究資料考釋(徐扶明 編, 上海古籍出版社)
• 湯顯祖和他的四夢(黃麗貞, 中華文華復興月刊 1권)
• 還魂記(岩城秀夫 譯, 《中國古典文學大系》 53, 平凡社)
• 牡丹亭還魂記(鈴木彦次郞·佐佐木靜光 共譯, 《支那文學大觀》 제3권)
• 湯顯祖牡丹亭考述(潘群英, 嘉新水泥公司文化基金會印行)

【강영매】



동양고전해제집 책은 2023.10.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