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東洋古典解題集

동양고전해제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동양고전해제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개요

《사시찬요》는 농가력(農家曆)의 성격을 띤 농서로서 당말오대(唐末五代)에 찬술되었으나 원서(原書)는 중국에서 일찍이 일실(佚失)되었다. 1960년대 일본의 서점주인인 산본경태랑(山本敬太郞)이 만력(萬曆) 18년(1590)의 조선 중각본을 발견하여 이듬해 일본 산본서점(山本書店)에서 영인 출판하였다. 중국에서는 이 영인본에 근거하여 1981년 무계유(繆啓愉)가 교석본을 발간했다.

2. 저자

《신당서》 〈예문지(藝文志)〉 농가류(農家類)의 기록에는 《사시찬요》의 저자를 ‘한악(韓鄂)’이라고 하였지만, 송대(宋代) 조공무(晁公武)의 《군재독서지(郡齋讀書志)》와 진진손(陳振孫)의 《직재서록해제(直齋書錄解題)》에는 이 책의 저자를 ‘한악(韓諤)’이라고 적고 있다. 그런데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에는 《신당서》 〈재상세계표(宰相世系表)〉에 의거하여, 한악을 개원(開元) 시기 재상이었던 한휴(韓休)의 동생 한시(韓偲)(한천(韓倩)이라는 설도 있음)의 현손(玄孫)이라고 한다. 그러나 왕육호는 원표(原表) 중 한천(韓倩)의 현손은 이름이 ‘악(諤)’이며, ‘악(鄂)’이라는 이름은 한휴(韓休)의 셋째 아들 한홍(韓洪)의 증손(曾孫)이라고 한다. 이 외에도 옛날에는 이름이 같은 사람이 너무 많아 본서의 저자가 도대체 개원(開元) 때 재상의 후예였는지 아닌지는 믿을 만한 증거가 부족하다. 이 점에 관해 최근 여가석(余嘉錫)은 《사고제요변증(四庫提要辨證)》에서 이미 상세하게 분석하였는데, 저자의 자서(自序) 중에 《보생월록(保生月錄)》을 비평하는 이야기가 있다는 것에 근거하여 이 책을 저술한 것은 《보생월록》 출판 이후라고 하였으며, 그 시기는 대개 당말오대초(唐末五代初)(9세기 말~10세기 초)였다고 한다. 그 때문에 청대 고회삼(顧櫰三)은 《보오대사예문지(補五代史藝文志)》에 이 책을 싣고 있다.

3. 서지사항

송 진종(宋眞宗) 때 정부는 일찍이 이 책을 《제민요술》과 함께 중각하여 널리 전파하려고 했다. 그러나 원대 초기에 《농상집요》를 편찬할 때 이를 이용하지 못했으며, 이후에도 경전에 언급된 곳이 매우 적다. 이것은 모두 《사시찬요》가 이미 사라졌다고 인식했기 때문이다. 1961년 산본경태랑(山本敬太郞)은 수옥미도웅(守屋美都雄)의 협력을 얻어 상세한 해제를 붙여 동경(東京) 산본서점(山本書店)에서 영인 출판했다. 이 책의 판본은 송 태종 지도(至道) 2년(996) 항주(杭州) 민간의 중간본이며, 이 책 전면에 쓰인 저자의 자서(自序)의 내용은 주로 조씨(晁氏)의 《군재독서지(郡齋讀書志)》에 게재된 것과 대체적으로 일치한다. 1981년 무계유(繆啓愉)는 이에 의거해 정리하여 《사시찬요교석(四時纂要校釋)》을 출판했으며, 이듬해 일본 안전학원(安田學園)에서 도부무(渡部武)가 《사시찬요역주고(四時纂要譯注稿)》를 출판하기도 했다. 지금까지 현존하는 《사시찬요》의 판본은 조선 중각본을 제외하고, 16~17세기로 추정되는 전북 고창에서 개인이 소장하고 있던 필사본이 있었다. 그런데 2017년 6월 경북대 남권희 교수가 경북 예천 남악종택에서 고도서 정리작업 중에 조선 태종 때의 금속활자인 계미자본(癸未字本) 《사시찬요》(1403~1420)를 발굴하였다. 흥미롭게도 세 책 모두 한반도에서 발견되었다. 특히 계미자본은 현존하는 최고의 판본으로서 정월, 12월편이 많이 훼손되기는 했지만 기존의 조선 중각본이나 필사본과는 내용에서 차이를 보인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4. 내용

책의 분량은 대략 4만 3천여 자로 되어 있으며, 5권으로 나뉘어져 있다. 달[月]의 순서에 따라 천문(天文), 점후(占候), 양진(禳鎭), 식기(食忌), 제사(祭祀), 종식(種植), 수조(修造), 목양(牧養), 잡사, 건특(愆忒)(일기의 이상으로 인한 천재인화(天災人禍)) 등의 자료로 배열되어 있다. 농업기술의 내용은 책 전체의 절반 이상을 점하며, 특히 양식작물과 채소재배가 많다. 차나무, 면화, 버섯, 마[薯蕷] 등의 재배기술과 인공 양봉은 모두 문헌 첫머리의 기록에 속한다. 농업 부산물의 가공 역시 일정한 비율을 점하는데, 그 속에는 직조, 염색, 양조, 장담기, 절인 식품과 엿당, 유제품, 유지, 전분, 동물의 아교[膠]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중 양조, 장담기, 전분제조 기술은 모두 큰 발전이 있었음을 볼 수 있다. 그 외 본서에는 의약 위생, 기물 수리와 보관, 상업과 고리대 및 문화 교육 등도 포함되어 있다. 《사시찬요》의 내용은 주로 전대의 문헌에서 발췌한 것으로, 그중 특히 가사협(賈思勰)의 《제민요술(齊民要術)》에서 인용한 것이 가장 많다. 그 외 전대(前代)의 관련 농서는 《산거요술(山居要術)》, 《보생월록(保生月錄)》, 《지리경(地利經)》 등인데, 자서에서는 “농서를 두루 읽고, 《광아(廣雅)》·《이아(爾雅)》에 의거하여 토산을 정했으며, 월령(月令)과 가령(家令)에 의거하여 적합한 때를 판단했다.……위행규(韋行規)의 《보생월록(保生月錄)》은 지나치게 간결하고, 《제민요술》은 지나치게 번잡하여 일정 부분을 삭제하고 편집했다.”라고 한다. 이 책의 체제는 월별 시령(時令)을 근간으로 편찬되었기 때문에 《숭문총목(崇文總目)》에는 세시류(歲時類)에 포함되어 있지만, 송대 장서가들은 모두 농서로 취급하고 있다. 《직재서록해제(直齋書錄解題)》에서도 《사시찬요》는 “비록 시령의 책일지라도 모두 농사를 위한 것이다.”라고 한다. 이 농서가 한대(漢代) 《사민월령(四民月令)》과 다른 점은 구체적인 농업기술을 가지면서 점복, 금기 및 점후(占候) 등이 40%를 점하며, 지주 경영의 색채는 띠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처럼 《사시찬요》에는 다른 농성에 비해 미신과 주술자료가 매우 많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음식과 요리에 대한 것도 일정한 비율을 점하여 전체적으로 그 체제가 명대 민간에서 유행한 ‘통서(通書)’와 매우 흡사하다. 이러한 현상은 당대 밀교(密敎)의 무술(巫術)이나 도교의 유행이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었기 때문이다.

5. 가치와 영향

본서는 농민의 입장에서 농시(農時)를 놓치지 않도록 개별 농가의 각종 잡사까지 세심하게 언급하였다. 《사시찬요》에는 전대의 문헌을 대량으로 인용하고 있으며, 저자가 직접 수록한 자료도 적지 않다. 그중에는 몇몇 사라진 자료도 보존하고 있어 당과 오대 농업생산기술과 민간의 습속을 연구하는 귀중한 문헌이 되고 있다. 다만 명대 중기에 출현한 조선 중각본에는 찬술자가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알 수 없는 내용이 뒤섞여 있어 그 가치가 의심스럽다는 지적도 있었다. 대표적인 것이 3월의 끝부분에 추가되어 있는 〈종목면법(種木綿法)〉이다. 그동안 한중일의 학자들이 이구동성으로 이 부분은 책의 편제에도 맞지 않고 내용도 당말오대(唐末五代) 이전의 사람이 쓴 내용이라고 볼 수 없다고 하면서, 어쩌면 조선에서 중각할 때 내용을 추가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있었다. 실제 최근 출토된 계미자본에는 3월에 이 부분의 내용이 빠져 있다. 이후 세 종류의 판본을 과학적으로 비교 분석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조선 중각본을 영인할 때 쓴 수옥미도웅(守屋美都雄)의 해제를 보면, 《사시찬요》를 중국 고대 농서 세시기의 신자료(新資料)로 평가하면서 《농상집요》에서 많이 인용한 《사시유요(四時類要)》와 유사한 곳을 제시하고 있다. 이후 양자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도 밝혀져야 할 것이다.

6. 참고사항

(1)명언
• “무릇 자식이 없는 사람은 부부가 같이 부잣집의 등잔을 훔쳐 와서 마루 밑에 두면, 곧 그 달에 잉태할 수 있다.[凡人無子者 夫婦同於富人家盜燈盞以來 安於床下 則當月有孕矣]” 〈정월(正月) 상회일(上會日)〉
• “매우(梅雨)(장맛비)가 내리지 않으면, 쌀로 밥을 지을 수 없다.[梅不雨 無米炊]” 〈부록(附錄) 사월(四月)〉
• “당나귀와 말이 태어나면서 땅에 떨어질 때 털이 없으면 하루에 천 리를 간다.[驢馬生 墮地無毛 日行千里.]” 〈삼월(三月) 상마법(相馬法)〉
(2)색인어:점후(占候), 양진(禳鎭), 춘령(春令), 천도(天道), 목면(木綿), 종상(種桑), 잡사(雜事).
(3)참고문헌
• 中國農書槪說(惠富平·牛文智 著, 西安地圖出版社)
• 中國農學書錄(王毓瑚 編著, 中華書局)
• 農業古籍版本叢談(肖克之, 中國農業出版社)
• 麗元代의 農政과 農桑輯要(최덕경 외, 동강)
• 사시찬요 역주(최덕경, 세창출판사)

【최덕경】



동양고전해제집 책은 2023.10.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