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東洋古典解題集

동양고전해제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동양고전해제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개요

《제자휘함(諸子彙函)》은 명대(明代) 학자인 귀유광(歸有光)이 93명의 제자백가가 남긴 글을 수록하고 평어(評語)를 달아 편집한 책으로, 자부(子部) 총자류(總子類)로 분류할 수 있는 전문성 총서이다.

2. 편자

(1) 성명:귀유광(歸有光(1507~1571))
(2) 자(字)・별호(別號):귀유광의 자는 희보(熙甫)・개보(開甫)이다. 호는 진천(震川)・항척생(項脊生)이다.
(3) 출생지역:소주부(蘇州府) 곤산현(昆山縣(현 강소성(江蘇省) 곤산시(昆山市)))
(4) 주요활동과 생애
가정(嘉靖) 19년(1540)에 거인(擧人)이 되었지만, 회시(會試)에서 여덟 번 낙방했다. 가정(嘉定) 안정강(安亭江)으로 거처를 옮겨 독서하니 학생이 항상 천여 명에 이르렀으며, 진천선생(震川先生)으로 불렸다. 가정 44년(1565) 60세에 비로소 진사(進士)가 되고 장흥지현(長興知縣), 순덕통판(順德通判), 남경태복시승(南京太僕寺丞)을 역임하였다. 내각(內閣) 제칙방(制勅房)에서 《세종실록(世宗實錄)》을 편찬하던 중 병으로 사망하였다. 모곤(茅坤)과 함께 당송파(唐宋派)의 문인으로 이름을 날렸고, 동성파(桐城派)의 연원(淵源)으로 일컬어진다.
(5) 주요저작:《제자휘함》을 비롯하여 《진천문집(震川文集)》, 《삼오수리록(三吳水利錄)》 등의 저술이 있다.

3. 서지사항

《제자휘함》 26권은 귀유광이 수집(蒐輯)하고, 문진맹(文震孟(1574~1636))이 참정(參訂)한 책으로, 〈제자휘함서(諸子彙函序)〉는 문진맹이 천계 5년(1625)에 썼다. 귀유광이 《노자(老子)》・《장자(莊子)》에 해박하고 자부(子部)와 집부(集部)의 글을 즐겨 읽어 손수 수집하고 평가하여 제자들에게 도움이 되었다. 문진맹이 특별히 표시(標示)하여 우선 《노자》・《장자》를 판각하였고, 뒤이어 제자백가를 판각하면서 ‘휘함(彙函)’이라고 이름하였다.
명 천계 6년(1626)에 판각한 초간본(初刊本)은 반엽(半葉) 9행18자, 백구(白口), 상하향흑어미(上下向黑魚尾), 사주단변(四周單邊)의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상란(上欄)에 비평(批評)이 판각되어 있다.
대만 국가도서관, 한국 고려대학교 도서관(만송 E2-B38), 국립중앙도서관(古1270-12),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서관(C3-267), 성균관대학교 존경각 소장본(C01-0004) 등이 현전하고 있다.

4. 내용

총 93명의 제자백가가 쓴 글을 26권에 걸쳐 수록하였다. 권수(卷首)에는 문진맹이 천계 5년(1625)에 쓴 서문, 범례, 제자총목(諸子總目), 《제자휘함》에 평어를 달 때 참고한 문헌의 편찬자 목록인 〈제자평림성씨(諸子評林姓氏)〉, 《제자휘함》에 수록 인물에 대한 간략한 설명인 〈제자휘함담수(諸子彙函談藪)〉가 수록되어 있다 권수제(卷首題) 차행(次行)에는 ‘곤산(昆山) 귀유광(歸有光) 희보(熙甫) 휘집(彙輯), 장주(長州) 문진맹(文震孟) 문기(文起) 참정(參訂)’이라는 편집자명과 참정자명이 기록되어 있다.
수록된 제가들의 목록과 권수는 다음과 같다.
제자명 찬자 권수
鬻子 (周)鬻熊 撰 권1
子牙子 (周)呂望 撰
關尹子 (周)尹喜 撰
子華子 (周)程本 撰
老子 (周)李耳 撰 권2
莊子 (周)莊周 撰
列子 (周)列禦寇 撰 권3
墨子 (周)墨翟 撰
管子 (周)管仲 撰 권4~5
亢倉子 (周)庚桑楚 撰 권6
晏子 (周)晏嬰 撰
鄧析子 (周)鄧析 撰
鬼穀子 -
文子 (周)辛釿 撰 권7
公孫龍子 (周)公孫龍 撰
商子 (周)商鞅 撰
鶡冠子 以上合(1卷)
司馬子 (周)司馬穰苴 撰 권8
吳子 (周)吳起 撰
尹文子 (周)尹文 撰
孫武子 (周)孫武 撰
尉繚子 (周)尉繚 撰
玉虛子 (周)屈平 撰 권9
鹿溪子 (周)宋玉 撰
愼子 (周)愼到 撰
汗子 (周)汗明 撰
屍子 (周)屍佼 撰
囂囂子 (周)江乙 撰
荀子 (周)荀況 撰 권10
韓非子 (周)韓非 撰 권11~12
波弄子 (周)淳于髡 撰 권13
惠子 (周)惠施 撰
胡非子 (周)胡非 撰
子家子 (周)孔求 撰
希子 (周)希寫 撰
薛子 (周)薛燭 撰
風胡子 (周)風胡 撰
三柱子 (周)魯仲連 撰
歲寒子 (周)張孟同 撰
首山子 (秦)頓弱 撰
呂子 (秦)呂不韋 撰
潼山子 (秦)甘羅 撰
雲晃子 (秦)齊辯貌 撰
隨巢子 (秦)□□ 撰
孔叢子 (漢)孔鮒 撰
黃石子 (漢)黃石公 撰 권14
雲陽子 (漢)陸賈 撰
金門子 (漢)賈誼 撰
淮南子 (漢)劉安 撰 권15~16
桂岩子 (漢)董仲舒 撰 권17-18
封龍子 (漢)韓嬰 撰 권19
吉雲子 (漢)東方朔 撰
청려자青黎子 유향劉向(한漢)
양자揚子 양웅揚雄(한漢) 권20
부자符子 부□符□(한漢)
금루자金樓子 양원제梁元帝(양梁)
차아자嵖岈子 최식崔寔(한漢)
형산자荊山子 환담桓譚(한漢) 권21
위완자委宛子 왕충王充(한漢)
백호통白虎通 반고班固(한漢)
풍속통風俗通 응소應劭(한漢)
신양자愼陽子 황헌黃憲(한漢)
횡산자黌山子 중장통仲長統(한漢) 권22
회중자回中子 왕부王符(한漢)
정산자貞山子 환관桓寬(한漢)
천은자天隱子 사마승정司馬承禎(당唐)
서자徐子 서간徐幹(한漢)
소숙자小荀子 순열荀悅(한漢) 권23
경기자鏡機子 조식曹植(위魏)
포박자抱樸子 갈홍葛洪(진晉)
백운자白雲子 속석束皙(진晉)
영원자靈源子 혜강嵇康(위魏)
운문자雲門子 유협劉勰(양梁) 권24
간산자幹山子 육기陸機(진晉)
석포자石匏子 유주劉晝(북제北齊)
무능자無能子 □□(당唐)
담자譚子 담초譚峭(남당南唐)
문중자文中子 왕통王通(수隋) 권25
천수자天隨子 육구몽陸龜蒙(당唐)
녹문자鹿門子 피일휴皮日休(당唐)
현신자玄眞子 장지화張志和(당唐)
내자來子 내곡來鵠(당唐)
문천자文泉子 유태劉蛻(당唐)
협률자協律子 이고李翱(당唐)
영벽자靈壁子 나은羅隱(당唐) 권26
차산자次山子 원결元結(당唐)
동래자東萊子 여조겸呂祖謙(송宋)
소자邵子 소옹邵雍(송宋)
횡거자橫渠子 장재張載(송宋)
장춘자長春子 석개石介(송宋)
초려자草廬子 오징吳澄(원元)
도원자道園子 우집虞集(원元)
욱리자郁離子 유기劉基(명明)

권말에는 《사고전서총목제요》에 수록된 내부장본(內府藏本) 《제자휘함》의 해제가 수록되어 있다.

5. 가치와 영향

명대의 문장가인 귀유광이 제자백가의 단편적인 글을 모으고, 평어를 추가하여 편집한 책이다. 원문 교감이나 평어가 중요시되던 당시의 학문 풍조에 힘입어 유행했던 책으로 보인다.
《제자휘함》은 조선에도 유입되어 문인들에게 널리 읽힌 것으로 보인다. 이덕무(李德懋)(1741∼1793)의 문집인 《영처문고(嬰處文稿)》에는 《제자휘함》에 대한 감상이 수록되어 있다.

6. 참고사항

(1) 명언
• “제자(諸子)들의 각 문집이 호번하여 구절을 선택하느라 시간을 허비하고 어려움을 겪어 기맥이 전부 끊어졌으니, 옛 사람의 뜻도 그러했을 것이다. 이에 성편(成篇)을 휘집(彙輯)하여 더 좋은 구절을 뽑았다.[諸子各集浩繁 窮年難竟 選句摘段 則氣脈全斬 古人之意亦矣 玆彙成篇 以標奇勝]” 〈범례(凡例)〉
• “주나라 초기부터 춘추전국까지 미쳤으며, 양한에 이르기까지 본디 ‘자(子)’라고 칭하던 사람들의 글을 수록했다. 진(晉)・당(唐)과 명(明)에서 일가의 학설을 이룬 사람과 같은 경우 또한 ‘자(子)’로 칭하지 못하겠는가. 이들 또한 여기에 수록했다.[自周初 洎春秋戰國 以逮兩漢 固稱子 若晉唐我明 自爲一家言者 獨非子乎 可置諸]” 〈범례〉
• “주나라 때부터 명나라 초기에 이르기까지 자(子)로 저술(著述)을 이름한 사람이 대략 80인인데, 명나라 사람이 편집한 《제자휘함》에 실려 있다.[自周抵明初 以子名著述者 凡八十人 載於明人所輯諸子彙函]”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영처문고(嬰處文稿)》 2 〈서제자서목후(書諸子書目後)〉
• “아, 이 80인들이 그 책을 써서 스스로 즐긴 것인가, 아니면 세상에 영원히 전하고 싶어서인가? 이 80인 이외에 마멸되어 전하지 못한 것은 얼마나 될까? 미래의 세상에 제자(諸子)로 저서를 이름할 사람은 또한 얼마나 있을까? 다행히 전하기는 하나 잘못 와전되고 윤결(淪缺)된 것은 얼마나 되며, 그 이름을 빙자하여 위서(僞書)가 나온 것은 또한 얼마나 될까? 글이나 이름이 모두 남아 있으나 그의 자(字)나 출생한 곳이나 연대가 전하여지지 않는 사람은 또 얼마나 될까? 80인 중에서 앞으로는 다시 흩어져 없어지지 않고 오래도록 세상에 전할 사람은 또 얼마나 될까?[嗚呼 玆八十人者 其著書自娛歟 欲傳世永久歟 八十子外 磨滅不傳者幾何 未來之世 書以子名者 亦幾何 幸而傳之 而訛誤淪缺者幾何 憑其名而僞書間出者 亦幾何 書與名俱存 而不傳字里世次者幾何 從今以往 八十子能不復散亡而壽世者 亦幾何]”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영처문고(嬰處文稿)》 2 〈서제자서목후(書諸子書目後)〉
(2) 색인어:제자휘함(諸子彙函), 귀유광(歸有光), 문진맹(文震孟)
(3) 참고문헌
• 〈关于《诸子汇函》所收《楚辞》作品的评点问题〉(罗剑波, 《齐鲁学刊》2, 2008)

【김은슬】



동양고전해제집 책은 2023.10.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