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東洋古典解題集

동양고전해제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동양고전해제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개요

중국 당(唐)나라 시기 은자(隱者)였던 한산(寒山)의 시집. 1권으로 되어 있다. 보통 같이 은거했던 습득(拾得), 풍간(豊干)의 시와 같이 거론된다.

2. 저자

(1) 성명:한산(寒山)(?~?), 습득(拾得)(?~?), 풍간(豊干)(?~?). 습득과 풍간의 생몰년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있으나 대체로 당 태종(太宗) 정관(貞觀) 연간(627~649) 혹은 당나라 중엽 대종(代宗) 연간(762~779) 혹은 헌종(憲宗) 연간(806~820)이라고 전한다. 《태평광기(太平廣記)》에는 대력(大曆) 연간(766~779)이라고 되어 있다. 보통 중당(中唐) 시기의 불우한 사대부 지식인의 작품으로 본다.
(2) 자(字)·별호(別號):미상
(3) 출생지역:미상
(4) 주요활동과 생애
한산은 당 태종 시기 혹은 중당 시기에 천태산(天台山) 당흥현(唐興縣) 근처 한암(寒巖)에서 은거하였다고 전한다. 한산의 이름은 이 한암에서 유래한다. 습득은 국청사(國淸寺)의 부엌에서 일을 하는 사람이었고, 풍간은 국청사의 승려이다. 기타 자세한 행적은 알 수 없다.
(5) 주요저작:판본마다 다르나 대체로 한산의 시 312수, 습득 54수, 풍간 2수가 전한다.

3. 서지사항

천태산의 나무나 바위 등에 한산이라는 은자가 기록하고 새겨놓은 시를 국청사의 스님이 채록하여 편집했다고 전한다. 명(明)나라의 천태종(天台宗) 승려 영락(永樂)이 중각(重刻)한 송편본(宋編本)이 있다. 이후 《전당시(全唐詩)》와 《사고전서(四庫全書)》에 편입되었다. 현재 북경대학교에 송간본(宋刊本) 《한산자시(寒山子詩)》 1권과 《풍간습득시(豊干拾得詩)》 1권이 있다. 우리나라에는 봉은사 목판본 등이 전해지고 있다.

4. 내용

판본마다 다르나 대체로 한산의 시가 312수, 습득의 시 54수, 풍간의 시 2수로 되어 있다. 대부분이 5언시(五言詩)이고 일부 7언시(七言詩), 3언시(三言詩)가 수록되어 있다. 천태산 국청사의 세 은자가 지었다고 하여 《천태산국청사삼은시집(天台山國淸寺三隱詩集)》이라고도 불린다. 태주자사(台州刺史) 여구윤(閭丘胤)의 서문이 붙어있으나 여구윤의 존재 또한 의심스럽다.
작품은 모두 제목이 없는 무제시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을 살펴보면 산수를 노래한 시, 불교의 선(禪) 사상 등 철리(哲理)를 노래한 시, 인생의 무상함을 노래한 시, 불우한 선비를 노래한 시, 거짓 승려를 비판하는 시 등등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5. 가치와 영향

선어(禪語)가 유행하기 시작한 송(宋)나라 때부터 황정견(黃庭堅)(1045~1105), 왕안석(王安石)(1021~1086) 등이 큰 영향을 받았다. 특히 왕안석의 〈의한산습득시(擬寒山拾得詩)〉 20수가 유명하다. 이후 사대부 사회보다는 불교계와 민간에서 주목을 받았다. 이후 《전당시(全唐詩)》와 《사고전서(四庫全書)》에 편입되면서 더욱 잘 알려지게 되었다.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 최자(崔滋)의 《보한집(補閑集)》에 한산, 습득이 거론되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부터 이미 읽혀졌음을 알 수 있다. 이후 불가에서 널리 읽혀졌으며, 조지훈, 정현종 등 한국 현대 시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일본에서도 하이쿠 등에 영향을 미쳤다.

6. 참고사항

(1) 명언
• “내 시를 읽는 독자들이여, 마음속을 깨끗하게 지켜야 하니. 인색함과 탐욕은 날로 청렴해지고, 아첨과 굽힘(아부함)도 때맞춰 바르게 되리라. 휘몰아쳐 악업을 제거하고, 부처께 귀의하여 진성(眞性)을 받으리. 오늘 부처 몸 이루기를, 율령(律令) 대하듯 서두르라.[凡讀我詩者 心中須護淨 慳貪繼日廉 諂曲登時正 驅遣除惡業 歸依受眞性 今日得佛身 急急如律令]” 《한산시집(寒山詩集)》
• “한산자, 언제나 늘 이러하다. 혼자 스스로 있어, 삶과 죽음 없도다.[寒山子 長如是 獨自居 不生死]” 《한산시집(寒山詩集)》
• “내 마음은 가을 달과 같아서, 푸른 연못처럼 맑고 깨끗하네. 이것에 빗대어 비교할 것이 없으니, 나로 하여금 어떻게 설명하라고 하겠는가.[吾心似秋月 碧潭淸皎潔 無物堪比倫 敎我如何說]” 《한산시집(寒山詩集)》
• “한산 꼭대기 수레바퀴 같은 달은 외로운데, 맑은 하늘 두루 비추니 한 점 외물이 없네. 귀하도다 값 매길 수 없는 보배인 천연이여, 오음(五陰)에 묻혀 몸에 잠기어 있구나.[寒山頂上月輪孤 照見晴空一物無 可貴天然無價寶 埋在五陰溺身軀]” 《한산시집(寒山詩集)》
(2) 색인어:한산(寒山), 습득(拾得), 풍간(豊干), 천태산(天台山), 국청사(國淸寺), 한산시집(寒山詩集), 풍간습득시집(豊干拾得詩集), 왕안석(王安石)
(3) 참고문헌
• 寒山子詩集(四庫全書本, 商務印書館)
• 寒山拾得詩校評(錢學烈, 天津古籍出版社)
• 禪家寒山詩注(李誼, 正中書局)
• 寒山詩注-附拾得詩注(項楚, 中華書局)
• 한산시(김달진 편역, 최동호 해설, 서정시학)
• 한산시선(박석, 지식을만드는지식)

【윤석우】



동양고전해제집 책은 2023.10.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