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東洋古典解題集

동양고전해제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동양고전해제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개요

《경전석사(經傳釋詞)》는 청(清)나라 왕인지(王引之)가 가경(嘉慶) 시기 경전(經傳)에 등장하는 허사(虛詞)를 종류별로 수집하고, 이를 성모(聲母)의 순서대로 배열한 책이다. 전체 10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저자

(1) 성명:왕인지(王引之)(1766~1834)
(2) 자(字)·별호(別號):자는 백신(伯申)이고, 호는 만경(曼卿)이고,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3) 출생지역:강소(江蘇) 고우(高郵)(현 중국 장수성(江蘇) 고우시(高郵市))
(4) 주요활동과 생애
할아버지는 왕안국(王安國)으로 이부상서(吏部尙書)를 지낸 학자이다. 아버지는 왕념손(王念孫)으로 청나라에서 손꼽히는 학자로 대진(戴震)의 제자이고 단옥재(段玉裁)의 후배로, 《광아소증(廣雅疏證)》과 《독서잡지(讀書雜志)》를 저술하였다. 왕인지는 가경(嘉慶) 4년(1799)에 진사(進士)가 되어 한림원편수(翰林院編修)를 거쳐 예부좌시랑(禮部左侍郎)에 발탁되었다. 가경 연간에 《경의술문(經義述聞)》과 《경전석사(經傳釋詞)》를 발간하였다. 도광(道光) 7년(1827)에 공부상서(工部尙書)로 진급하였다. 이후 《강희자전(康熙字典)》의 오류를 지적한 《강희자전고증(康熙字典考證)》 12책을 편찬하였다. 도광 14년(1834)에 사망하였다.
(5) 주요저작
주요 저작으로는 《경의술문(經義述聞)》과 《경전석사(經傳釋詞)》가 있다. 아버지 왕념손과의 합작으로 《광아소증(廣雅疏證)》과 《독서잡지(讀書雜志)》에도 많은 관여를 하였다.

3. 서지사항

《경전석사》는 1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명칭의 의미는 경전(經傳)에 나온 허사(虛詞)를 해석(解釋)한다는 것으로, 경전으로는 동한(東漢)까지 기록된 경사자집(經史子集)의 주요한 서적과 그 주석을 망라하여 언급하였다.
이 책은 본래 부친 왕념손과의 연구 과정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독서잡지》와 《경의술문》이 각 경전의 순서에 맞추어 해당 내용을 기록하는 찰기(札記)의 형식으로 구성되었다면, 《경전석사》는 허사를 성모(聲母)의 발음 부위 순서대로 나누고 그에 대해 배열을 하는 등 순서에 있어서도 많은 연구 내용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왕념손이 《시경(詩經)》 〈패풍(邶風) 종풍(終風)〉에서의 “終風且暴”를 풀이한 내용 등을 수록한 것으로 보아 이미 상당한 허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경전석사》는 이에 대해 인성구의(因聲求義)의 원칙을 통해 성모의 배열에 맞추어 재배치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시랑(侍郎) 때부터 하여 10여 년을 한 것으로 완원(阮元)의 서(序)에서 밝히고 있다. 이 중 주요한 내용을 간추려 《경의술문》 32권 통설(通說) “어사오해이실의(語詞誤解以實義)”로 정리하기도 하였다.
판본으로는 최초 가각본(家刻本)으로 가경(嘉慶) 3년(1798)의 자서가 있다. 이후 도광(道光) 연간 전희조(錢熙祚)의 《수산각총서(守山閣叢書)》에 포함된 것은 수산각총서본, 함풍 7년(1857) 《황청경해(皇清經解)》 초판본에 포함된 것은 황청경해본이라 한다. 이후 1956년 중화서국(中華書局)에서 배인본(排印本)으로 출간하였고, 1982년 악록서사(岳麓書社)에서 나온 판본에는 황간(黃侃)·양수달(楊樹達)의 안어(案語) 370여 조가 포함되어 있어 참조할 수 있다. 1986년에는 대만상무인서관(臺灣商務印書館)에서 발간하였다. 2000년에는 강소고적출판사(江蘇古籍出版社)에서 고우왕씨4종 중 네번째 책으로 출판하였는데, 이는 가각본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2016년에 상해고적출판사(上海古籍出版社)에서 현대 판형으로 새로 출간하였다.

4. 내용

《경전석사》는 총 10권으로 구성되었다. 체제상의 특징으로는 각 편목을 성모(聲母)의 발음부위에 맞추어 배열하였다는 것이다. 즉 후음(喉音)으로 시작하여 순음(唇音)으로 끝난다. 구체적으로 보자면 1~4권은 〈후음(喉音)〉, 5권은 〈아음(牙音)〉, 6권은 〈설음(舌音)〉, 7권은 〈반설(半舌)〉·〈반치음(半齒音)〉, 8권은 〈치두음(齒頭音)〉, 9권은 〈정치음(正齒音)〉, 10권은 〈순음(唇音)〉이다. 이러한 성모의 발음부위에 맞추어 배치한 허사 연구서는 《경전석사》가 유일하다. 이는 당시의 성음 연구의 성과를 반영한 것이다. 허사의 해설과 관련해서는 허사에 대해 상어(常語), 어조(語助), 탄사(歎詞), 발성(發聲), 통용(通用), 별의(別義) 등의 풀이 방식을 적용하여 허사를 구분하였다. 아울러 증명 방식으로는 동일한 문장으로 서로 증명하는 법, 두 문장을 들어 사례를 비교하는 법, 호문(互文)으로 동일한 풀이가 가능하다는 법, 별본(別本)에 의거하여 그 예를 살피는 법, 고주(古注)에 의해 서로 추론하는 법, 후대 사람의 인용을 모아 증명하는 법 등을 동원하여 훈고의 엄밀함을 보여주고, 기존의 해설을 뛰어넘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5. 가치와 영향

《경전석사》는 청나라 고증학의 최절정 시기에 최고의 학자에 의해 만든 허사 연구서이다. 허사에 대한 연구는 원(元)나라 노이위(盧以緯)의 《어조(語助)》를 시작으로 청나라 초기 원인림(袁仁林)의 《허자설(虛字說)》을 거쳐 유기(劉淇)의 《조자변략(助字辨略)》까지 연구되었다. 그렇지만 설명이 주관적이고 용례도 허술하였다. 즉 청나라 고증학의 특징이 반영되지 못한 산발적인 연구라 할 수 있다. 《경전석사》가 나온 후에 비로소 허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접할 수 있었고, 이후 유월(俞樾)의 《고서의의거례(古書疑義舉例)》와 마건충(馬建忠)의 《마씨문통(馬氏文通)》 작성에 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국에서도 조선 후기 남병철(1817~1863)의 《규재유고(圭齋遺稿)》 6권 〈독서사기(讀書私記) 맹자(孟子)〉 항목에서 《경전석사》 10권 ‘不’ 항목을 인용하여 증명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6. 참고사항

(1) 명언
• “내(완원(阮元))가 그것을 읽어보니 모공(毛公), 공안국(孔安國), 정현(鄭玄) 등 여러 유학자들을 일으켜 함께 이 통쾌한 논의를 함께 증명할 수 없음을 안타깝게 여겼다.[元讀之 恨不能起毛孔鄭諸儒而共證此快論也] 〈완원(阮元) 서(序)〉
• “아버지께서 《모시》 〈패풍(邶風) 종풍(終風)〉의 ‘終風且暴(바람 불고 포악하네)’와 《예기(禮記)》 〈증자문(曾子問)〉의 ‘此若義也(이는 의(義)이다)’ 등 여러 항목에 대해서 풀이하시는 것을 듣고 나서야, 뜻하는 바가 드러나는 것이 마치 얼음 녹듯이 풀리게 되었다. 더욱 다시 따를 만한 것을 얻고, 법칙이 될 만한 것을 받들어서, 마침내 뜻을 끌고 펴서 그 의미가 비슷한 것들을 다하였다. 구경(九經) 삼전(三傳) 및 주(周), 진(秦), 서한(西漢)의 책에서 모든 조어(助語)가 들어 있는 문장을 두루 찾고 검토하여, 글자와 편차를 나누어서 《경전석사(經傳釋詞)》 10권을 만들었다.[及聞大人論毛詩終風且暴 禮記此若義也諸條 發明意恉 渙若冰釋 益復得所遵循 奉爲稽式 乃遂引而伸之 以盡其義類 自九經三傳 及周秦西漢之書 凡助語之文 徧爲摉討 分字編次 以爲經傳釋詞十卷]” 〈왕인지(王引之) 자서(自序)〉
• “운(云)은 발어사(發語詞)이다.……설명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云’을 ‘言’이라고 뜻풀이하였다. 실수한 것이다.[云 發語詞也……說者多訓云爲言 失之] 〈3권 ‘云’ 항목〉
• “(76개의 예시를 든 이후) 일반적으로 이는 모두 옛사람들의 글을 짓는 일상적인 법식이었다. 후대에 경을 해설하는 자들이 다만 ‘불(不)’이 ‘불(弗)’로, ‘부(否)’가 ‘불(不)’로, ‘비(丕)’가 ‘대(大)’로 뜻풀이하는 것만 알았지, 그것들이 또한 어사(語詞)가 되는 것은 알지 못하였다. 이에 억지로 주석(注釋)을 하여 경문(經文)이 대부분 통할 수 없었다.……즉 삼대(三代)인 하상주(夏商周)의 언어가 한대(漢代) 사람에게는 오히려 두루 알기 어려웠음을 알 수 있다. 원하건대 배우는 자들이 다른 것들과 비교한 후 유추해서 구해야 할 것이다.[凡此皆古人屬詞之常禮 後世解經者 但知不之訓弗 否之訓不 丕之訓大 而不知其又爲語詞 於是强爲注釋 而經文多不可通矣……則知三代語言 漢人猶難徧識 願學者比物醜類以求之] 〈10권 ‘不’ 항목〉
(2) 색인어:왕인지(王引之), 경전석사(經傳釋詞), 허사(虛詞), 경전(經傳), 인성구의(因聲求義), 성모(聲母)
(3) 참고문헌
• 經傳釋詞(王引之 撰, 李花蕾 校點, 上海古籍出版社)
• 《경전석사》에 나타난 인성구의 연구(신원철, 역락)
• 經傳釋詞札記(俞敏, 湖南教育出版社)
• 〈《經傳釋詞》의 《尙書》 虛詞訓釋에 대한 연구:詞性과 用法의 規定을 중심으로〉(위재웅, 한국외국어대학 석사학위논문)
• 〈王引之《經傳釋詞》編撰思想述論〉(趙宣·單殿元, 山東圖書館學刊)

【신원철】



동양고전해제집 책은 2023.10.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