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東洋古典解題集

동양고전해제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동양고전해제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개요

중국 전국(戰國) 시대 위(魏)나라(B.C. 403〜B.C. 225)의 사관(史官)이 저술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대표적인 신화서이다. 실존하는 인물과 지명이 등장하여 고대의 역사서에서는 역사 지리류로 분류되었다. 서진(西晉) 시기 무제(武帝) 태강(太康) 2년(281)에 위 양왕(魏襄王(B.C. 334〜B.C. 318))의 무덤에서 죽간(竹簡)의 형태로 발견되었다. 발견될 당시에는 5권이었는데 순욱(荀勖(?〜289))이 1권을 더하여 총 6권으로 정리하였다. 주(周)나라의 목왕穆王(B.C. 1026?〜B.C. 922?)이 팔준마(八駿馬)를 타고 서쪽으로 가서 여신 서왕모(西王母)를 만나고 사방의 이민족들과 교류하는 환상적인 여행 이야기를 편년체(編年體) 형식으로 담았다.

2. 저자·편자

(1) 성명:작자는 위나라의 사관으로 추정된다. 진나라의 중서감(中書監)이자 시중(侍中), 광록대부(光祿大夫)였던 순욱이 6권으로 정리했고, 진나라의 저작랑(著作郞)이었던 곽박(郭璞(276〜324))이 주를 달았다.
(2) 자(字)·별호(別號):순욱의 자는 공증(公曾)이고, 별명은 순제북(荀濟北), 순공증(荀公曾)이다.
(3) 출생지역:순욱은 위(魏)나라 영천(潁川) 영음(潁陰)(지금의 하남성(河南省) 허창시(許昌市))에서 태어났고, 정확한 출생 시기는 미상이다. 곽박은 하동(河東)군 문희(聞喜)현(지금의 산서성(山西省) 문희) 사람이다.
(4) 주요활동과 생애
순욱은 삼국(三國) 시대부터 서진(西晉) 시기의 유명한 음률학자이자 문학가, 장서가였고, 서진의 개국공신이었다. 동한(東漢)의 사공(司空)이었던 순상(荀爽의) 증손으로 명문가 출신이다. 서진이 세워지고 나서 제북(濟北) 군(郡)의 제후로 봉해졌고, 중서감과 시중을 겸직했으며, 광록대부(光祿大夫), 의동삼서(儀同三司), 수상서령(守尙書令)을 지냈다. 거기장군(車騎將軍) 가충(賈充) 등과 율령(律令)을 제정했고, 음악에 정통하여 음률을 정리했으며, 고적 정리를 관장하였다. 진 무제(武帝) 사마염(司馬炎)의 명을 받고 급군(汲郡)의 고분에서 발견된 고문 죽서(竹書)를 《중경신부(中經新簿)》 안에 정리해 넣은 것이 중요한 업적이다.
(5) 주요저작:《중경신부》 는 《진중경부(晉中經簿)》라고도 하고, 종합적 성격의 국가 장서 목록이다. 서진 무제(武帝) 함녕(咸寧) 5년(279)에 완성됐고, 14권에 불경(佛經) 2권까지 총 16권이며, 실린 책은 18851부(部) 20935권이다. 이는 《칠략(七略)》과 《한서(漢書)·예문지(藝文志)》보다 800여 권이 많은 숫자로 방대한 규모이다. 순욱은 《중경신부》에서 갑(甲(경(經))), 을(乙(자(子))), 병(丙(사(史))), 정(丁(집(集)))의 4부로 분류하는 4부 분류 체례를 중국 최초로 세웠다. 지금은 일실되었다.

3. 서지사항

《목천자전(穆天子傳)》은 주왕전(周王傳), 목왕전(穆王傳), 주목왕전(周穆王傳), 주목왕유행기(周穆王遊行記)라고도 불리며, 주인공인 주 목왕 희만(姬滿)이 주나라의 수도인 남정(南鄭)에서 출발하여 서북 지역과 동남 지역으로 순수(巡狩)를 갔다가 다시 돌아온 여행에 대한 기록이다.
서진 시기 무제 태강 2년(281)에 급현(汲縣) 사람인 부준(不準)이 지금의 하남성(河南省) 급현에서 전국시기 위(魏)나라의 무덤을 도굴하다가 죽간 형태의 《죽서기년(竹書紀年)》을 발견했다. 당시 《죽서기년》 속에는 《목천자전》과 《주목왕미인성희사사(周穆王美人盛姬死事)》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순욱이 이 둘을 합쳐 6권의 《목천자전》으로 만들었다. 그러므로 권1〜권5와 권6은 내용상 잘 연결되지 않으며, 죽간이 훼손된 곳도 다수여서 전체적인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목천자전》은 고대 역사서인 《수서(隋書)》 〈경적지(經籍志)〉, 《구당서(舊唐書)》 〈경적지(經籍志)〉, 《신당서(新唐書)》 〈예문지(藝文志)〉 등에서는 기거주류(起居注類)로 분류되다가, 청대 건륭제(乾隆帝) 시기의 《사고전서(四庫全書)》에 와서야 소설가류(小說家類)로 분류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사실은 고대 중국인들이 일반적으로 《목천자전》을 역사서로 인식했고, 허구적인 기록으로 보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목천자전》의 판본으로는 《사부비요(四部備要)》본과 《국학기본총서(國學基本叢書)》본이 비교적 온전하며, 모두 진대의 순욱이 정리하고 청대의 홍이훤(洪頤煊)이 교감한 판본을 근거로 하였다. 홍이훤은 〈교정목천자전서(校正穆天子傳序)〉에서 《한위총서(漢魏叢書)》본, 명대 정영(程榮)본, 오관(吳琯)본, 왕명제(汪明際)본, 전당(錢塘) 조군탄(趙君坦)의 《오산도장(吳山道藏)》본, 각종 역사서, 한대(漢代)의 여러 주(注)들, 당송(唐宋)대의 유서(類書)에 인용된 내용을 참고하여 《목천자전》을 교감하였다고 밝혔다. 《사부비요》본은 청대의 《평진관총서(平津館叢書)》본을 근거로 육비규(陸費逵)가 총감(總勘)하고 고시현(高時縣), 오여림(吳汝霖)이 집교(輯校)한 것이며, 글자가 분명하고 교감도 정확하다. 이에 비해 《국학기본총서》본은 글자가 작고 희미하며 빠진 글자도 적지 않다.
《목천자전》의 서술 방식을 보면 고대 제왕의 언행을 기록할 때 쓰는 기거주(起居注) 형식과 시간 순서대로 해에 따라 역사를 서술하는 편년체(編年體) 형식을 따르고 있다. 권1부터 권5까지에는 주 목왕이 8마리의 준마를 타고 서북방의 요지(瑤池)에 이르러 여신 서왕모를 만나기까지의 순행(巡幸) 과정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에 비해 권6은 순행 도중에 주 목왕의 애첩인 성희(盛姬)가 사망하여 장례를 치르는 내용이어서 앞의 내용과는 잘 연결되지 않는다.

4. 내용

《목천자전》은 일월(日月)의 시간 순서대로 주 목왕의 천하 유력(遊歷)을 기록하고 있다. 앞의 권1부터 권4까지는 주 목왕이 서쪽으로 35,000리를 가서 서왕모를 만나고 주나라로 돌아오는 과정을 서술했다. 주 목왕은 주나라에서부터 출발하여 북쪽으로 황하(黃河)를 건너 태행(太行), 호타(滹沱)를 지나 안문(雁門)을 나와 포두(包頭)에 이르며, 다시 하란산(賀蘭山)과 기련산(祁連山)을 지나 천산북로(天山北路)로 가서 서왕모의 땅에 이른다. 그러고 나서 다시 북쪽으로 1,900리를 가서 ‘나는 새가 깃털을 가는[飛鳥之所解羽]’ 서북대광원(西北大曠原)에 이르고 마지막으로 천산남로(天山南路)에서부터 주나라로 돌아온다. 권5는 주 목왕이 다시 동쪽으로 두 차례 순행을 간 것을 포함하여 주변 지역의 민족들과 교류하는 과정을 기록하고 있다. 주 목왕은 사방의 이민족들로부터 옥, 말, 비단 등의 예물을 받고 그들에게 준마, 양, 돼지 등을 하사한다. 주 목왕은 순수(巡狩)의 여정에서 육로를 이용하기도 하고 배를 타고 수로로 이동하기도 한다. 권6은 주 목왕의 애첩인 성희가 여행 도중에 사망하여 장례를 치르는 내용인데, 의례의 절차와 과정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어 고대의 장례문화를 엿볼 수 있다.

5. 가치와 영향

《목천자전》은 신화서이지만 역사, 지리서적인 성격의 책이기도 하다. 《목천자전》에는 고대의 환상적인 신들의 이야기들이 포함되어 있지만, 주 목왕 시기에 실존했던 민족과 지명, 역사적인 사건들도 함께 기록되어 있다. 이처럼 역사와 허구가 교묘하게 얽혀있는 내용으로 인해 고대 중국인들은 《목천자전》을 역사적인 사실로 판단하여 최초의 여행 기록이자 고대 지리서의 비조(鼻祖)로 보았다. 그러나 《목천자전》의 내용은 실제 역사와는 거리가 있고 역사를 허구화한 환상적인 서사이다. 《목천자전》에서는 주 목왕이 강한 카리스마를 발휘하며 주변 이민족들을 종법제(宗法制)에 의해 통치하고 조공(朝貢)을 받지만, 실제 역사에서는 무리해서 견융을 정벌하다가 서북부 통치에 실패했고, 이는 주나라가 쇠망의 길에 접어들게 된 계기가 된다.
그러므로 《목천자전》은 역사를 허구화함으로써 고대 중국이 어떻게 화이관(華夷觀)과 중원(中原) 중심적인 세계관을 문학적으로 구현했는지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또한 고대 중국인들이 이상적으로 생각했던 통치자의 전형과 종법제, 조공체제, 제사의례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목천자전》에 등장하는 서왕모(西王母), 하백(河伯) 등의 인격화된 신들은 고대의 신화가 문학화되는 과정을 보여주기도 한다. 《목천자전》에 보이는 이역(異域)에 대한 상상은 역사와 허구가 공존하는 전형적인 고대 중국의 지리서에 깊은 영향을 주었을 뿐 아니라 지리 박물지(博物志)류의 소설과 직공도(職貢圖) 등 회화에도 심대한 영향을 주었다.

6. 참고사항

(1) 명언
• “천자의 준마는 적기, 도려, 백의, 유륜, 산자, 거황, 화류, 녹이이고, 개는 중공, 철산, 관가, □황남, □내백이다.[天子之駿 赤驥 盜驪 白義 踰輪 山子 渠黃 華騮 綠耳 狗 重工 徹山 雚猳 □黃南 □來白]” 《목천자전(穆天子傳)》 권1(□은 사라진 글자)
• “길일 갑자일에 천자는 서왕모에 손님으로 갔다. 흰 규와 검은 벽을 가지고 서왕모를 만나 아름다운 무늬의 비단 끈 100순과 □비단 끈 300순을 즐거이 바쳤다. 서왕모는 두 번 절하고 그것을 받았다.[吉日甲子 天子賓于西王母 乃執白圭玄璧以見西王母 好獻錦組百純□組三百純 西王母再拜受之]” 《목천자전》 권3
• “을축일에 천자가 요지 가에서 서왕모에게 술을 대접했다. 서왕모는 천자를 위해 노래했다. ‘흰 구름은 하늘에 떠 있고 산과 언덕은 절로 솟아있습니다. 길은 아득히 멀어 산과 내를 넘고 건너야 하지요. 그대가 죽지 말고 돌아오기를 바랍니다.’ 천자가 답하여 말했다. ‘나는 동쪽 땅으로 돌아가 화하를 조화롭게 다스리고 모든 백성이 평안해지면 그대를 보러 돌아올 것입니다. 3년이 되면 다시 돌아올 것입니다.’[乙丑 天子觴西王母于瑤池之上 西王母爲天子謠曰 白雲在天 山陵自出道里悠遠 山川閒之 將子無死 尙能復來 天子答之曰 予歸東土 和治諸夏 萬民平均 吾顧見汝 比及三年 將復而野]” 《목천자전》 권3
(2) 색인어:목천자전(穆天子傳), 곽박(郭璞), 순욱(荀勖), 주 목왕(周穆王), 팔준마(八駿馬), 천자(天子), 견융(犬戎), 하백(河伯), 곤륜(昆侖), 중국(中國), 서왕모(西王母), 광악(廣樂), 흑수(黑水), 예(羿), 성희(盛姬), 남정(南鄭)
(3) 참고문헌
• 목천자전·신이경(송정화·김지선 역주, 살림)
• 목천자전 시석 및 역주(송정화,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석사학위논문)
• 목천자전 연구: 遠遊와 文士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이은상, 단국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사학위논문)
• 穆天子傳(郭璞注, 商務印書館)
• 穆天子傳(郭璞注, 中華書局)
• 穆天子傳西征講疏(顧實, 商務印書館)
• 西遊的文化範式及其轉換: 從穆天子傳到西游記(葉舒憲, 陝西師範大學學報)
• 從穆天子傳看神話歷史(方艶, 百色學院學報)
• Le Mutianzizhuan(Rémi Mathieu, College de France)

【송정화】



동양고전해제집 책은 2023.10.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