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東洋古典解題集

동양고전해제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동양고전해제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개요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부터 청대(淸代)에 이르기까지의 고문(古文)과 사부(詞賦) 총 722편을 선별하고 문체에 따라 구분하여 엮은 책이다. 청(淸)나라 동성파(桐城派) 문인 요내(姚鼐)가 건륭(乾隆) 44년(1779)에 편찬한 것으로, 총 74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국책(戰國策)》, 《사기(史記)》, 양한(兩漢)의 문장가,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명(明)나라의 귀유광(歸有光)과 청(淸)나라의 방포(方苞)·유대괴(劉大櫆) 등 고문에 중점을 두고 문장을 선별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동성파의 이론을 엄수하여 변려문(騈儷文)·경전(經典)의 문장·제자백가(諸子百家) 등의 글을 싣지 않았다. 《고문사류찬》의 산문 분류는 한문 산문을 분류하는 중요한 하나의 기준으로 지금도 적용되고 있다. 동성파는 중국 청나라 때 고문(古文)의 한 유파로, 당송팔대가의 문장을 모범으로 삼아 간결하고 꾸밈이 없으며 격조 높은 산문 문체를 확립하였다. 방포(方苞)·유대괴(劉大櫆)·요내(姚鼐) 등이 그 대표적인 인물인데, 이들이 모두 안휘성(安徽省)의 동성현(桐城縣) 출신이므로 ‘동성파’라 부른다.

2. 편자

(1)성명:요내(姚鼐)(1732~1815)
(2)자(字)·별호(別號):자는 희전(姬傳), 몽곡(夢穀), 호는 석포헌(惜抱軒)
(3)출생지역:안휘성(安徽省) 동성현(桐城縣)
(4)주요활동과 생애
요내는 백부(伯父)인 요범(姚范)에게 경학(經學)을 배웠다. 요범은 동성파의 주요 인물인 유대괴와 교유가 깊었고, 요내의 학문과 문장 성취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요내는 요범의 명에 의하여 유대괴에게 고문(古文)을 배우며 학문과 문학에 많은 영향을 받아, 동성파의 중요한 작가로 명성을 날리게 되었다. 요내는 1763년 진사(進士)가 되었으며, 한림원서길사(翰林院庶吉士)·예부주사(禮部主事)·향시고관(鄕詩考官)·사고관찬수관(四庫館纂修官)·형부낭중(刑部郎中) 등을 지냈다. 40세 이후 만년까지 강녕(江寧)·양주(揚州) 등지의 서원(書院)에서 강의를 주관했는데, 45세 때 양주의 매화서원(梅花書院)에서 강의하며 《고문사류찬》을 편찬하였다. 문하의 제자들이 글 짓는 법을 묻자, 답변으로 공허한 말만 할 수 없다고 생각하여 《고문사류찬》을 지어 자신의 생각을 제시하였다고 한다. 85세 때 종산서원(鍾山書院)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의 학문은 경서(經書)를 위주로 하되, 자사(子史)와 시문(詩文)을 겸했다. 유대괴로부터 학문을 익혀 동성파의 주요작가가 되었으며, 방포·유대괴와 함께 ‘동성삼조(桐城三祖)’로 일컬어진다. 그의 학문은 대체로 정자(程子)와 주자(朱子)의 이학(理學)을 귀착점으로 삼고 있다.
(5)주요저작:《구경설(九經說)》, 《삼전보주(三傳補註)》, 《국어보주(國語補註)》, 《고문사류찬》, 《오칠언급체시초(五七言今體詩抄)》 등이 있다.

3. 서지사항

‘고문사(古文辭)’는 옛 글에 쓰인 말이라는 의미로, ‘고문(古文)’이라고도 한다. 고문은 선진양한(先秦兩漢) 이래 문언(文言)으로 쓴 산문(散文)을 지칭하는 말이다. 위진시대(魏晉時代)의 화려한 수식을 위주로 지어진 변려문(騈儷文)을 ‘시문(時文)’, 즉 당시에 유행하는 문장이라고 부른 것에 대응하기 위해 쓰인 명칭으로, 수식이나 기교보다는 ‘문장의 의미를 전달하는데 충실한 문장’이라는 뜻이며, 누구나 모범으로 삼아야 할 문장이라는 뜻도 내포하고 있다. ‘유찬(類纂)’은 ‘종류별로 분류해 모았다.’는 뜻이다. 따라서 《고문사류찬》은 ‘고문의 훌륭한 글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묶은 책’이라는 말이 된다.
총 74권으로 이루어져 있고 모두 709편의 글을 수록하고 있는데, 책머리에는 소서(小序)와 목록을 달아 서목(序目)이라 하였다. 목록은 논변류(論辯類)·서발류(序跋類)·주의류(奏議類)·서세류(書說類)·증서류(贈序類)·조령류(詔令類)·전장류(傳狀類)·비지류(碑誌類)·잡기류(雜記類)·잠명류(箴銘類)·송찬류(頌讚類)·사부류(辭賦流)·애제류(哀祭類) 등 13부류로 나누었다. 각각의 소서에서는 각 부류의 문장의 연원과 발전, 문체의 특징 및 의례를 약술하였다. 서목 아래에는 본문을 쓰고 아울러 평어(評語)와 주석(註釋)을 덧붙였는데, 요내 자신의 주석 이외에도 명나라의 당순지(唐順之)와 모곤(茅坤), 청나라의 방포(方苞)와 유대괴(劉大櫆)와 요범(姚范) 등의 평어와 주석을 흡수하여 동성파의 문학관을 충분히 드러내고 있다.
요내는 1779년에 《고문사류찬》의 찬술을 완료하였다. 이후 여러 차례 수정을 가한 뒤 가경(嘉慶) 25년(1825)에 요내의 제자 강용(康鏞)이 처음 간행하였다. 이를 강본(康本)(74권)이라고 한다. 요내가 세상을 떠난 뒤 도광(道光) 5년(1851)에 요내의 문인 오계창(吳啓昌)이 요내가 만년에 수정한 본을 다시 간행하였는데, 이를 오본(吳本)(75권)이라고 한다. 또 광서(光緖) 27년(1901)에 척주(滌州)의 이승연(李承淵)이 자신의 거처인 구요당(求要堂)에서 강본과 오본을 합쳐 교감하고 다시 간행하였는데, 이를 구요당본 또는 이본(李本)(75권)이라고 한다. 이후 각처에서 여러 차례 번각(飜刻)되었는데, 강본 혹은 오본 혹은 이본에 의거하였다. 일본에도 간행본이 있다.

4. 내용

권1~권5까지는 논변류(論辯類)에 속하는 글 64편이다. 논변류는 사리를 분석하고 시비를 변별하는 문장이다. 권6~권10까지는 서발류(序跋類)에 속하는 글 57편이다. 서발류는 문장이나 서적의 소개, 저작의 동기나 경위를 설명하는 글이다. 권11~권23까지는 주의류(奏議類)에 속하는 글 83편이다. 주의류는 고대 조정에서 신하가 군왕에게 정무를 아뢰는 공문이다. 권24~권30까지는 서세류(書說類)에 속하는 글 85편이다. 서세류는 편지와 전국시대 유세객들이 열국(列國)을 주유하면서 유세한 글이다. 권31~권33까지는 증서류(贈序類)에 속하는 글 53편이다. 증서류는 이별에 임하여서 지어주는 글이다. 권34~권36까지는 조령류(詔令類)에 속하는 글 36편이다. 조령류는 고대 제왕(帝王)이 널리 알리는 글이다. 권37~권38까지는 전장류(傳狀類)에 속하는 글 18편이다. 전장류는 한 사람의 일대기를 기록한 전(傳)과 행장(行狀)을 말한다. 권39~권59까지는 비지류(碑誌類)에 속하는 글 109편이다. 비지류는 이미 죽은 사람의 일생과 공적을 서술하여 비석에 새기는 글이다. 권51~권58까지는 잡기류(雜記類)에 속하는 글 76편이다. 잡기류는 비지류와 유사한데 비지류가 공덕을 칭찬하는데 주안점을 둔다면 잡기류는 크고 작은 일을 기록하는데 주안점을 두는 글이다. 권59는 잠명류(箴銘類)에 속하는 글 9편이다. 잠명류는 남이나 자신을 규계(規戒)하기 위해 지은 글이다. 권60은 송찬류(頌讚類)에 속하는 글 6편이다. 송찬류는 찬양하는 글이지만 비석에 새기지는 않는 글이다. 권61~권71까지는 사부류(辭賦類)에 속하는 글 65편이다. 사부류는 산문과 운문의 중간 형태를 띠는 글이다. 권72~권74까지는 애제류(哀祭類)에 속하는 글 48편이다. 애제류는 죽은 사람을 애도하는 글로 슬픔을 극진히 드러내는데 주안점을 두는 글이다.
《고문사류찬》은 그 내용이 방대하지만, 감별이 정밀하고 분류가 엄격하면서 또 품평이 온당하다는 평을 받는다. 또 각 문체별 분류는 후대 문체학(文體學)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5. 가치와 영향

《고문사류찬》이 끼친 가장 중요한 영향은 청나라 이전에 복잡하게 세분화되었던 문장의 종류를 13종류로 재분류하여 간편하게 정리하였다는 점에 있다. 이 분류 자체가 명칭의 혼동·내용상 분류의 애매성 등으로 지적을 받기도 하지만, 나름대로의 합리성을 가지고 있어 간행이후 지금까지도 문장 분류의 중요한 표준으로 여겨지고 있다. 아울러 광범위한 자료에서 문장을 선별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선별 과정이 대단히 정밀하다고 평가되며, 요내가 직접 붙이거나 인용한 주석과 평점 역시 귀중한 성과들이 많다. 따라서 《사기(史記)》·《한서(漢書)》·《전국책(戰國策)》·《초사(楚辭)》 및 이후 산문 작가들의 문장을 교감하고 주석하는 분야를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훌륭한 참고서가 된다.

6. 참고사항

(1)명언
• “널리 사랑하는 것을 인(仁)이라고 한다.[博愛之謂仁]” 한유(韓愈) 〈원도(原道)〉
• “옛날의 학자들은 반드시 스승이 있었다.[古之學者必有師]” 한유(韓愈) 〈사설(師說)〉
• “온 세상이 흐린데 나만 홀로 맑고, 뭇사람들은 모두 취했는데 나만 홀로 깨어 있다.[世人皆濁 我獨淸 衆人皆醉 我獨醒]” 굴원(屈原) 〈어부사(漁父辭)〉
(2)색인어:고문사류찬(古文辭類纂), 요내(姚鼐), 동성파(桐城派), 문체(文體), 논변류(論辯類), 서발류(序跋類), 주의류(奏議類), 서세류(書說類), 증서류(贈序類), 조령류(詔令類), 전장류(傳狀類), 비지류(碑誌類), 잡기류(雜記類), 잠명류(箴銘類), 송찬류(頌讚類), 사부류(辭賦類), 애제류(哀祭類)
(3)참고문헌
• 桐城文派述論(吳孟復 著, 심경호·김봉희 역, 태학사)
• 한문문체론(陳必祥 著, 심경호 역, 이회)
• 〈古文辭類簒版本略述〉(周遠政, 古典文學智識)
• 〈《古文辭類簒》編纂體例之文體學意義〉(吳承學, 北京大學學報)
• 〈《古文辭類簒》的文體學貢獻〉(高黛英, 文學評論)
• 〈중국 고문에 있어서의 증서문류고:요내 《고문사류찬》을 중심으로〉(이석형, 중국어문학13)

【이성민】



동양고전해제집 책은 2023.10.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