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東洋古典解題集

동양고전해제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동양고전해제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 개요

《제자평의(諸子平議)》는 총 15종의 제자류(諸子類) 문헌을 대상으로, 해당 문헌 가운데 훈고(訓詁)・음운(音韻)・고증(考證)・교감(校勘) 등 여러 측면에서 논의의 여지가 있는 구절을 선별하여 자신의 견해를 35권의 분량으로 정리한 찰기(札記)[차기(箚記)] 형식의 주석서이다.

2. 저자

(1) 성명:유월(兪樾(1821~1907))
(2) 자(字)・호(號):자(字)는 음보(蔭甫), 호(號)는 곡원(曲園)
(3) 출생지역:절강(浙江) 덕청(德淸)
(4) 주요활동과 생애
도광(道光) 30년(1850) 회시(會試)의 복시(覆試)에서 제출한 “花落春仍在(꽃은 떨어졌지만 봄은 여전하네)”라는 시구(詩句)를 당시 시험관이었던 증국번(曾國藩(1811~1872))이 높게 평가하여 진사(進士) 1등으로 선발하였다. 유월은 감사의 의미로 이후 전집(全集)을 내었을 때, “춘재당전서(春在堂全書)”라고 이름 지었다. 진사가 되어 한림원(翰林院) 서길사(庶吉士)를 지내다가 함풍(咸豐) 2년(1852) 산관(散館)하여 편수(編修)를 제수받았다. 함풍 5년(1855) 하남학정(河南學政)으로 부임하였는데, 출제한 과거(科擧) 시제(試題)가 “경전의 의미를 찢어발겼다[割裂經義]”는 혐의로 어사(御史) 조등용(曹登庸)에게 탄핵을 받아 2년 만에 관직에서 파면당한다.
당시 태평천국(太平天國) 전란의 와중에 특별한 직무가 없었던 유월은 고전문헌을 다시 읽기 시작하였고, 이것은 유월이 학문적으로 각성하는 데에 큰 계기가 되었다. 특히 왕념손(王念孫(1744~1832)), 왕인지(王引之(1766~1834)) 부자의 《독서잡지(讀書雜志)》, 《경의술문(經義述聞)》, 《광아소증(廣雅疏證)》 등의 저작을 접하게 되면서 학문을 향한 뜻을 굳게 다지게 되었고, 왕씨 부자의 관점과 방법을 원용하여 자신이 직접 저술에 착수하게 된다. 이후 저술에 매진하며, 소주(蘇州) 운간서원(雲間書院), 자양서원(紫陽書院), 상해(上海) 구지서원(求志書院), 항주(杭州) 고경정사(詁經精舍) 등 여러 서원의 주강(主講)을 지내면서, 장병린(章炳麟), 대망(戴望), 황이주(黃以周), 주일신(朱一新), 시보화(施補華), 왕이수(王詒壽), 풍일매(馮一梅), 오경지(吳慶坻), 오승지(吳承志), 원창(袁昶) 등 많은 제자를 배출하였다. 증국번, 이홍장(李鴻章(1823~1901)) 등과 깊이 교류하였는데, 유월이 자신의 저술을 출판할 때 이들에게 많은 경제적 도움을 받았다.
손자 유폐운(兪陛雲(1868~1950))은 학자, 시인 등으로 이름을 알렸다. 증손자 유평백(兪平伯(1900~1990))은 신문학운동 초기 시인으로 중국백화시창작의 선구자 중 한 사람이며, 청화대학 교수를 역임하였다.
(5) 주요저작:분량으로는 청조에서 가장 많다는 평가를 받는 유월(兪樾)의 저술은 《춘재당전서(春在堂全書)》 491권에 수록되어 있다. 대표 저술로는 유가경전 주석서인 《군경평의(群經平議)》, 제자서 주석서인 《제자평의(諸子平議)》, 그리고 《고서의의거례(古書疑義擧例)》가 있다.

3. 서지사항

함풍(咸豊) 8년(1858) 《군경평의》와 동시에 집필을 시작하여, 동치(同治) 6년(1867) 〈열자평의(列子平議)〉를 마지막으로 저술을 마치고, 동치(同治) 9년(1870)에 판각한 《제자평의》는 연구의 대상・관점・방법・형식・취지 등 많은 부분에서 왕념손(王念孫(1744~1832))의 《독서잡지》의 영향을 매우 크게 받았다.
《제자평의》의 내용을 전통적인 주석의 형태로 분류하면 ‘평의(評議)’[평의(平議)], 즉 ‘정(訂)’이다. ‘정(訂)’은 대상 저서의 득실을 파악하여 오류를 수정하고 대상 저서를 비평한다는 뜻에서 이름 지어진 주석의 명칭이다. 《제자평의》의 외면적 형식은 청대 유행한 ‘찰기(札記)[차기(箚記)]’이다. 본래 찰기는 저서가 아니라 읽은 책의 자료를 모아놓는 일종의 독서노트로, 사람들이 책을 읽다가 느낀 점이나 참고할 것들을 그때그때 적어놓은 것이었다. 그런데 청대에는 이 ‘찰기’의 용도가 매우 확대되어 쓰이게 된다. 청대의 찰기는 단순한 메모가 아니라, 초고를 작성한 후에 여러 번 다듬고 수정한 독서노트로, 어느 정도 체계를 갖춘 저서의 형태였다. 역사적으로 이미 여러 주석서들이 축적되어 있던 청대 상황에서 주석을 행할 때 유용하게 이용한 형식이다. 찰기 형식의 주석서는 원전의 전체적인 체계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국지적이고 산발적인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춘재당전서(春在堂全書)》본, 상무인서관의 《국학기본총서(國學基本叢書)》본,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고적정리출판사업의 하나로 교점하고 정리하여 봉황출판사에서 출간한 《유월전집(兪樾全集)》본 등이 있다.

4. 내용

《관자(管子)》, 《안자춘추(晏子春秋)》, 《노자(老子)》, 《묵자(墨子)》, 《순자(荀子)》, 《열자(列子)》, 《장자(莊子)》, 《상자(商子)》, 《한비자(韓非子)》, 《여씨춘추(呂氏春秋)》, 《춘추번로(春秋繁露)》, 《가자(賈子)》, 《회남내편(淮南內篇)》, 《양자태원(揚子太元)》, 《양자법언(揚子法言)》 등 총 15종의 제자류(諸子類) 문헌에 대한 주석으로, 전체 35권이다. 연구의 관점과 방법에서는 《군경평의》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논의의 대상이 제자서라는 점에서 왕념손의 《독서잡지》를 이은 저술로 평가한다.
유월은 제자서들이 각기 나름의 존재 의미가 있으며, 특히 경전의 의미를 고증하고, 고자(古字)의 의미를 밝히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당시까지 제자서에 대한 주석이나 교감 등의 연구가 활발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승 과정에서 발생한 다양한 오류가 그대로 방치된 경우가 많았다. 일부 문헌은 순조로운 독해가 불가능할 정도로 정리되지 않은 상황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유월은 문자, 음운, 훈고, 판본 등의 지식을 이용하여 세밀한 고증을 통해 제자서에 대한 교감과 주석 작업을 진행하였다.

5. 가치와 영향

《제자평의》는 청 이전까지 연구업적이 미비했던 제자서 연구를 왕념손, 왕인지 부자와 함께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 저작으로 유월의 저술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다. 제자서 연구에 없어서는 안 될 주요한 주석서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이후 《고서의의거례》를 저술하는 데, 주요한 자료가 된다.

6. 참고사항

(1) 명언
• “《군경평의》를 완성하여 왕인지의 《경의술문》을 계승하고, 또 왕념손의 《독서잡지》를 본받아 《제자평의》를 저술하고, 마지막으로 《고서의의거례》를 저술하였다. 여러 경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는 《경의술문》의 정밀함만 못했지만, 제자서는 《독서잡지》에 필적한다.[成群經平議 以𠟪述聞 又規雜志作諸子平議 最後作古書疑義舉例 治群經不如述聞諦 諸子乃與雜志抗衡]” 장태염(章太炎), 〈유선생전(兪先生傳)〉
• “음보(유월)는 석구 부자(왕념손, 왕인지 부자)를 사숙하며 그들을 따르기 위해 진심으로 노력하였다. 그러나 결코 그대로 따라만 한 것이 아니라, 왕씨 부자의 방법을 응용하여 부족한 부분을 채워 넣었다.[蔭甫私淑石臞父子 刻意模倣 但他幷非踏襲 乃應用王家的方法 補所未及]” 양계초(梁啓超), 《중국근대삼백년학술사(中國近三百年學術史)》
(2) 색인어:제자평의(諸子平議), 군경평의(群經平議), 고서의의거례(古書疑義擧例), 유월(兪樾), 왕념손(王念孫), 왕인지(王引之), 독서잡지(讀書雜志), 경의술문(經義述聞), 찰기(札記)[차기(箚記)]
(3) 참고문헌
• 清史稿・俞樾傳(趙爾巽 等, 中華書局)
• 花落春仍在(張欣, 廣東敎育出版社)
• 兪先生傳(章太炎, 《章太炎全集》, 上海人民出版社)
• 兪樾全集(汪少華・王華寶 等 整理, 鳳凰出版社)
• 兪樾訓詁硏究(王其和, 齊魯書社)
• 兪樾諸子平議硏究(李香平, 廣東人民出版社)

【김효신】



동양고전해제집 책은 2023.10.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