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
번역서
동양고전
강의
검색
상세검색
특수문자입력기
특화서비스
지식관계망
개념용어
주소 비교
Open API
?
공지사항
자료실
東洋古典解題集
동양고전해제집
현토
원문
번역
원주
나란히 보기
글자확대
글자크기 초기화
글자축소
설정저장
출력
공유하기
URL
클립보드 액세스를 허용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Ctrl+C를 눌러 클립보드로 복사하시고 Ctrl+v로 붙여넣기 하세요.
오류신고
동양고전해제집
동양고전해제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여닫기
동양고전해제집
여닫기
경부(經部)
논어(論語)
대대례기(大戴禮記)
대학(大學)
동래박의(東萊博議)
맹자(孟子)
상서(尙書)
설문해자(說文解字)
시경(詩經)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
악기(樂記)
역학계몽(易學啓蒙)
율려신서(律呂新書)
예기(禮記)
의례(儀禮)
주례(周禮)
주역(周易)
주자가례(朱子家禮)
중용(中庸)
춘추(春秋)
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
춘추번로(春秋繁露)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한시외전(韓詩外傳)
효경(孝經)
대학혹문(大學或問)
맹자자의소증(孟子字義疏證)
신학위경고(新學僞經考)
주역내전(周易内傳)
주역외전(周易外傳)
여닫기
사부(史部)
국어(國語)
낙양가람기(洛陽伽藍記)
당감(唐鑑)
당률소의(唐律疏議)
대당육전(大唐六典)
독사방여기요(讀史方輿紀要)
독통감론(讀通鑑論)
동경몽화록(東京夢華錄)
명기편년(明紀編年)
명사(明史)
명유학안(明儒學案)
목민심감(牧民心鑑)
문사통의(文史通義)
문헌통고(文獻通考)
사기(史記)
사통(史通)
삼국지(三國志)
서하객유기(徐霞客遊記)
속자치통감장편(續資治通鑑長編)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
송사(宋史)
송원학안(宋元學案)
수경주(水經注)
십칠사상각(十七史商榷)
십팔사략(十八史略)
안자춘추(晏子春秋)
양주화방록(揚州畫舫錄)
역대군감(歷代君鑑)
역대명신주의(歷代名臣奏議)
역대신감(歷代臣鑑)
열녀전(列女傳)
오월춘추(吳越春秋)
월절서(越絶書)
육선공주의(陸宣公奏議)
율학해이 律學解頤
율해변의(律解辯疑)
이십이사차기(二十二史箚記)
일주서(逸周書)
자치통감(資治通鑑)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자치통감절요속편(資治通鑑節要續編)
장서(藏書)
전국책(戰國策)
정관정요(貞觀政要)
청유학안(淸儒學案)
통감기사본말(通鑑紀事本末)
통감절요(通鑑節要)
통전(通典)
통지(通志)
한서(漢書)
해국도지(海國圖志)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
후한기(後漢紀)
후한서(後漢書)
구당서(舊唐書)
구오대사(舊五代史)
금사(金史)
남사(南史)
남제서(南齊書)
수서(隋書)
신당서(新唐書)
신오대사(新五代史)
양서(梁書)
오선록(吳船錄)
요사(遼史)
원사(元史)
이락연원록(伊洛淵源錄)
이십이사고이(二十二史考異)
입촉기(入蜀記)
진서(陳書)
여닫기
자부(子部)
열선전(列仙傳)
경덕진도록(景德鎭陶錄)
고승전(高僧傳)
곤지기(困知記)
공손룡자(公孫龍子)
공자가어(孔子家語)
관자(管子)
관자보(官子譜)
광홍명집(廣弘明集)
구장산술(九章算術)
귀곡자(鬼谷子)
근사록(近思錄)
금궤요략(金匱要略)
난경(難經)
노자(老子)
논형(論衡)
농상집요(農桑輯要)
농정전서(農政全書)
다경(茶經)
당음비사(棠陰比事)
대동서(大同書)
대학연의(大學衍義)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
명이대방록(明夷待訪錄)
몽계필담(夢溪筆談)
묵자(墨子)
반야심경(般若心經)
백호통의(白虎通義)
법서요록(法書要錄)
법언(法言)
벽암록(碧巖錄)
본초강목(本草綱目)
부생육기(浮生六記)
사마법(司馬法)
사시찬요(四時纂要)
사원옥감(四元玉鑑)
산학계몽(算學啓蒙)
산해경(山海經)
삼략(三略)
상군서(商君書)
상한론(傷寒論)
서보(書譜)
선화화보(宣和畫譜)
설원(說苑)
성리대전서(性理大全書)
세설신어(世說新語)
수리정온(數理精蘊)
소학(小學)
손빈병법(孫臏兵法)
손자(孫子)
순자(荀子)
식물본초(食物本草)
신서(新序)
신서(新書)
신선전(神仙傳)
신어(新語)
신음어(呻吟語)
심경부주(心經附註)
안씨가훈(顔氏家訓)
양휘산법(楊輝筭法)
여씨춘추(呂氏春秋)
역대명화기(歷代名畫記)
열미초당필기(閱微草堂筆記)
열자(列子)
염철론(鹽鐵論)
오자(吳子)
왕정농서(王禎農書)
울료자(尉繚子)
유몽영(幽夢影)
육도(六韜)
육조단경(六祖壇經)
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
이정전서(二程全書)
인물지(人物志)
인학(仁學)
일지록(日知錄)
임제록(臨濟錄)
장자(莊子)
정경(政經)
제민요술(齊民要術)
주비산경(周髀算經)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
주자어류(朱子語類)
증류본초(證類本草)
채근담(菜根譚)
천공개물(天工開物)
태평광기(太平廣記)
태현경(太玄經)
통서(通書)
포박자(抱朴子)
풍속통의(風俗通義)
한비자(韓非子)
화어록(畫語錄)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황제내경(黃帝內經)
회남자(淮南子)
운급칠첨(雲笈七籤)
음부경(陰符經)
상명산법(詳明筭法)
수신기(搜神記)
주문초선(朱文抄選)
주서백선(朱書百選)
거업록(居業錄)
곤학기문(困學紀聞)
공자개제고(孔子改制考)
권학편(勸學篇)
성세위언(盛世危言)
십가재양신록(十駕齋養新錄)
여계(女誡)
여논어(女論語)
여범첩록(女範捷錄)
연평답문(延平答問)
용재수필(容齋隨筆)
원선(原善)
유명록(幽明錄)
유양잡조(酉陽雜俎)
인효문황후내훈(仁孝文皇后內訓)
장자전서(張子全書)
장춘진인서유기(長春眞人西遊記)
정몽(正蒙)
현현기경(玄玄棋經)
여닫기
집부(集部)
분서(焚書)
가헌사(稼軒詞)
검남시고(劍南詩稿)
경세통언(警世通言)
경화연(鏡花緣)
고문관지(古文觀止)
고문사류찬(古文辭類簒)
고문진보(古文眞寶)
고시원(古詩源)
고태사대전집(高太史大全集)
구양문충공집(歐陽文忠公集)
금고기관(今古奇觀)
금병매(金甁梅)
남가기(南柯記)
남당이주사(南唐二主詞)
당문수(唐文粹)
당송팔대가문초(唐宋八大家文抄)
당시삼백수(唐詩三百首)
도연명집(陶淵明集)
도화선(桃花扇)
두공부집(杜工部集)
명청팔대가문초(明淸八大家文抄)
모란정(牡丹亭)
문선(文選)
문심조룡(文心雕龍)
문장궤범(文章軌範)
문장정종(文章正宗)
박안경기(拍案驚奇)
백거이집(白居易集)
번천문집 樊川文集
봉신연의(封神演義)
비파기(琵琶記)
사마문정공집(司馬文正公集)
삼국연의(三國演義)
삼협오의(三俠五義)
서상기(西廂記)
서유기(西遊記)
성세항언(醒世恒言)
소문충공전집(蘇文忠公全集)
소창산방집(小倉山房集)
수호전(水滸傳)
시품(詩品)
악장집(樂章集)
역대시화(歷代詩話)
열국지(列國志)
옥대신영(玉臺新詠)
완적집(阮籍集)
왕문성공전서(王文成公全書)
왕우승집(王右丞集)
왕임천문집(王臨川文集)
요재지이(聊齋志异)
원곡선(元曲選)
유림외사(儒林外史)
유세명언(喩世明言)
유하동집(柳河東集)
육사형문집(陸士衡文集)
이각박안경기(二刻拍案驚奇)
이십사시품(二十四詩品)
이의산문집(李義山文集)
이의산시집(李義山詩集)
이태백문집(李太白文集)
자채기(紫釵記)
장생전(長生殿)
전당시(全唐詩)
전등신화(剪燈新話)
전습록(傳習錄)
조자건집(曹子建集)
주자대전(朱子大全)
증문정공전집(曾文正公全集)
창곡집(昌谷集)
창랑시화(滄浪詩話)
창려선생집(昌黎先生集)
초사(楚辭)
평요전(平妖傳)
한단기(邯鄲記)
한산시집(寒山詩集)
홍루몽(紅樓夢)
화간집(花間集)
경사백가잡초(經史百家雜鈔)
고악부(古樂府)
대동원집(戴東原集)
두아원(竇娥寃)
매촌집(梅村集)
맹호연집(孟浩然集)
삼체시(三體詩)
선산전서(船山全書)
송서(宋書)
수당연의(隋唐演義)
수호후전(水滸後傳)
아녀영웅전(兒女英雄傳)
악부시집(樂府詩集)
연자전(燕子箋)
유산집(遺山集)
전등여화(剪燈餘話)
정림집(亭林集)
천가시(千家詩)
한궁추(漢宮秋)
형창이초(螢窗異草)
정선당송천가연주시격(精選唐宋千家聯珠詩格)
왼쪽메뉴 닫기
왼쪽메뉴 열기
전체
서명/저자명
기사제목
원문/대역문
번역문
역주
기타
개인정보보호방침
저작권안내
업무제휴문의
이용약관
이메일무단수집거부
공지사항
Open API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19 By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이전페이지
목록
다음페이지
맨위로
맨아래로
이메일
평가
★★★★★
★★★★
★★★
★★
★
명문장 추천하기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