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揚子法言(1)

양자법언(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양자법언(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1. 學 行之上也 注+學 行之上也:祕曰 “夫學者, 所以爲道者也, 率性行道, 表則後世, 學之上也.” 言之次也 注+言之次也:祕曰 “能辯醇疵, 發成, 學之次也.” ○光曰 “言者, 徒能言而不行.” 敎人又其次也 注+敎人又其次也:咸曰 “行性而言, 可以爲師矣. 故又居其次.” ○祕曰 “欲廣其業, 以覺後覺, 學之又其次也.” ○光曰 “. 爲人, 故又爲其次.” 咸無焉이면 爲衆人 注+咸無焉 爲衆人:此三者, 敎之大倫也, 皆無此三者, 民斯爲下矣. ○祕曰 “三者無一, 斯衆人矣.”이라


학문은 행하는 것이 상등이고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배움은 도를 행하기 위한 것이니, 하늘로부터 받은 본성本性을 따라 를 행하여 후세에 표준과 법칙이 되는 것이 학문에 있어 상등이다.”, 말로 하는 것이 그 다음이고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순수한 것과 흠이 있는 것을 잘 분별하여 모훈謨訓을 드러내어 완성하는 것이 학문에 있어 그 다음이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은 단지 말만 잘하고 행하지는 않는 것이다.”, 남을 가르치는 것이 또 그 다음이다.注+송함宋咸이 말하였다. “행실이 본성本性을 따르고 말이 진실하면 스승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또 그 다음에 있는 것이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자신의 덕업德業을 넓혀서 후각자後覺者를 깨우쳐 주고자 하는 것이니, 학문에 있어 또 그 다음이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옛날에 배우는 자들은 자신을 위해 배웠는데, 지금에 배우는 자들은 남을 위해 배운다. 남을 위해 배우기 때문에 또 그 다음이 되는 것이다.” 〈이 세 가지가〉 모두 없으면 보통 사람이 된다.注+이 세 가지는 가르침의 큰 차례이니, 이 세 가지가 모두 없으면 이런 사람은 하등이 된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세 가지 중에 하나라도 없으면 보통 사람이 된다.”


역주
역주1 謨訓 : 《書經》의 〈大禹謨〉‧〈皐陶謨〉의 謨와 〈伊訓〉의 訓을 합칭한 말로, 후세사람에게 주는 교훈을 이른다.
역주2 : 諄과 같다.
역주3 古之學者爲己 今之學者爲人 : 《論語》 〈憲問〉에 보인다. ‘爲己’는 오직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닦기 위해 배우는 ‘爲己之學’을 말하고, ‘爲人’은 남에게 인정받고 과시하기 위해서 배우는 ‘爲人之學’을 말한다.

양자법언(1) 책은 2019.06.07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