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揚子法言(1)

양자법언(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양자법언(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4. 或問進 注+或問進:祕曰 “進於道.”한대 曰水
或曰 爲其注+爲其不捨晝夜歟:光曰 “爲, 于僞切.” 曰 有是哉 滿而後漸者 其水乎 注+滿而後漸者 其水乎:水滿坎而後進, 人學博而後仕. ○祕曰 “盈科則漸進也.” ○光曰 “子路有聞, 未之能行, 唯恐有聞. 君子之學, 不務博而務精, 不務知而務行.”인저
或問한대 曰 非其往不往하고 非其居不居하니 漸猶水乎 注+非其往不往……漸猶水乎:鴻之不失寒暑, 亦猶水之因地制行. ○祕曰 “鴻漸于陵, 水流就下, 其漸一也.” ○光曰 “鴻避寒而就溫, 學者去非而從是. 然鴻之飛也, 不決起直上, 必以漸而至高, 學者, 亦自近小而至遠大, 猶水之滿而後進也.”인저
請問 注+請問木漸:祕曰 “易曰 ‘山上有木, 漸.’”한대 曰 止於下而漸於上者 其木也哉인저 注+止於下而漸於上者……亦猶水而已矣:止於下者, 根本也, 漸於上者, 枝條也. 士人據道義爲根本, 業貴無虧, 進禮學如枝條, 德貴日新. ○祕曰 “上長. 木漸於上, 水流就下, 其漸亦一也.” ○光曰 “本根不動, 而枝葉進長, 學者正心修身, 而家齊國治. 然十仞之木, 非朝夕而成, 聖人之德, 非造次而立, 亦猶水之滿而後進也.”니라


혹자가 나아감[]에 대해 물으니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에 나아가는 것이다.”, 양자揚子가 말하였다. “물과 같아야 할 것이다.”
혹자가 물었다. “밤낮으로 쉬지 않고 흘러가기 때문입니까?”注+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반절反切이다.” 양자揚子가 말하였다. “그렇다. 〈구덩이를 만나면〉 구덩이를 가득 채운 뒤에 점점 나아가는 것은 물일 것이다.”注+물은 구덩이를 가득 채운 뒤에 흘러가고, 사람은 학문이 넓어진 뒤에 벼슬한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구덩이를 채우고 나면 점점 흘러간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자로子路는 좋은 말을 듣고 아직 그것을 실행하지 못했으면 행여 다른 말을 들을까 두려워하였다. 군자君子의 학문은 박학하기를 힘쓰지 않고 정밀하기를 힘쓰며, 알기를 힘쓰지 않고 행하기를 힘쓴다.”
혹자가 홍점鴻漸(기러기가 날아 점점 높은 데에 이르는 것)에 대해 물으니 양자揚子가 말하였다. “갈 곳이 아니면 가지 않고 머물 곳이 아니면 머물지 않으니, 기러기가 점점 나아가는 것은 물과 같을 것이다.”注+기러기가 추울 때와 더울 때를 놓치지 않고 〈계절을 따라 오고 가는 것은〉 또한 물이 지형地形을 따라 흘러가는 것과 같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기러기가 점점 높은 구릉으로 나아가는 것과 물이 흘러서 아래로 나아가는 것이 점점 나아가는 것은 똑같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기러기는 추위를 피하여 따뜻한 곳으로 나아가고, 배우는 자는 그릇된 것을 버리고 옳은 것을 따른다. 그러나 기러기가 날 때 힘껏 날아올라 단번에 올라가지 않고 반드시 점점 날아올라 높은 데에 이르고, 배우는 자도 근소近小한 데로부터 원대遠大한 데에 이르니, 물이 구덩이를 가득 채운 뒤에 흘러가는 것과 같다.”
혹자가 목점木漸(나무가 자라 점점 위로 뻗어나가는 것)에 대해서 물으니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주역周易》에 ‘ 위에 나무가 있는 것이 이다.’라고 하였다.”, 양자揚子가 말하였다. “아래에 멈춰 있으면서 점점 위로 뻗어나가는 것은 나무일 것이다. 〈나무가 자라는 것〉 또한 물이 흘러가는 것과 같을 뿐이다.”注+아래에 멈춰 있는 것은 뿌리이고, 위로 점점 뻗어나가는 것은 가지이다. 사인士人도의道義에 근거하는 것을 뿌리로 삼으니 은 흠결이 없는 것을 귀하게 여기고, 예학禮學에 나아가는 것은 가지와 같으니 은 날로 새로워지는 것을 귀하게 여긴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손목巽木은 위로 자란다. 나무는 위로 점점 뻗어나가고 물은 흘러서 아래로 나아가지만, 점점 나아가는 것은 또한 똑같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뿌리는 움직이지 않지만 가지와 잎은 점점 자라니, 배우는 자가 마음을 바르게 하고 몸을 닦으면 집안이 가지런해지고 나라가 다스려진다. 그러나 열 길 높이의 나무는 일조일석一朝一夕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성인聖人은 잠깐 사이에 확립된 것이 아니니, 또한 물이 구덩이를 채운 뒤에 흘러가는 것과 같다.”


역주
역주1 不捨晝夜 : 《論語》 〈子罕〉에 보인다. 孔子께서 시냇가에 계시면서 말씀하기를 “가는 것이 이와 같구나. 밤낮으로 그치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역주2 鴻漸 : 《周易》 漸卦의 6爻는 모두 鴻漸으로 시작하는데, 기러기가 점점 나아간다는 뜻이다. 여기에서 유래하여 학문이 점차 발전하거나 관직이 계속 오르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漸은 漸進하는 것이니, 《玉篇》에 “漸은 進이다.”라고 하였다.
역주3 木漸 : 《周易》 漸卦 〈象傳〉에 보이는 말로, 산의 나무가 점점 무성하게 자란다는 뜻이다. 漸卦는 상괘가 巽☴이고 하괘가 艮☶인데 巽은 나무를, 艮은 山을 나타내므로 山 위에 나무가 있는 象이다.
역주4 亦猶水而已矣 : 나무가 뿌리를 깊이 내린 뒤에 가지와 잎이 무성해지는 것은 물이 구덩이를 채운 뒤에 점점 흘러가는 것과 같음을 말한다.
역주5 巽木 : 巽은 8卦의 하나로 바람을 상징하기도 하고 나무를 상징하기도 한다.(《周易 說卦傳》)

양자법언(1) 책은 2019.06.07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