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揚子法言(1)

양자법언(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양자법언(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1. 或問 孰是 注+八荒之禮……孰是:祕曰 “八荒之禮, 曰蠻曰流, 禮樂孰是.” ○光曰 “言八方之俗, 各有禮樂, 人人是其所習, 果誰爲是.” 曰 殷之以中國 注+殷之以中國:殷, 正也. 中國之制, 五百里甸服, 五百里侯服, 五百里綏服, 五百里要服, 五百里荒服.이니라
或曰 孰爲中國 注+孰爲中國:正直北辰, 爲天之齊也, 俱偏僻, 未知誰爲居中國. 曰 五政之所加하고 七賦之所養하며 中於天地者 爲中國 注+五政之所加……爲中國:五政, 五常之政也. 七賦, 五穀桑麻也. 中於天地者, 測影, 晷度均也. ○咸曰 “古者, . 言天地各中高外下, 北極之下, 爲天地之中. 今上注引是義, 此注引土圭測影. 夫土圭者, 周公之法也, 宜爲是.” ○祕曰 “五常之政之所加, 五穀桑麻之政之所養, 以土圭之法測土深, 正日影以求天地之中, 則爲中國矣.”이니 過此而往 人也哉 注+過此而往 人也哉:譬八荒之於中國如彼, 諸子之於聖人如是. ○咸曰 “正文但論華夷之禮樂爾, 註引諸子, 非其旨焉.” ○祕曰 “八荒之外, 聖王以禽獸畜之.” ○光曰 “言夷狄無異禽獸, 其所謂禮樂者, 安足取哉.”


혹자가 물었다. “팔황八荒(팔방八方의 아주 먼 지역)의 가운데 그들이 각각 이니 하는 것은 어떤 것이 옳은 것입니까?”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팔황八荒는 야만스럽고 방탕하니, 그들이 이니 하는 것은 어느 것이 옳으냐는 말이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팔방八方의 풍속은 각각 그들 나름의 예악禮樂이 있어서 사람들마다 자신들의 습속을 옳다고 하니, 과연 어느 것이 옳으냐는 말이다.” 양자揚子가 말하였다. “중국中國예악禮樂을 기준으로 바로잡아야 한다.”注+은 바로잡는 것이다. 중국中國의 제도는, 왕기王畿로부터 500리는 전복甸服, 그 밖의 500리는 후복侯服, 그 밖의 500리는 수복綏服, 그 밖의 500리는 요복要服, 그 밖의 500리는 황복荒服이다.
상송왕기도商頌王畿圖(《육경도六經圖》)상송왕기도商頌王畿圖(《육경도六經圖》)
혹자가 물었다. “무엇을 중국이라고 합니까?”注+북신北辰(북극성)까지 똑바로 직선으로 간 것이 하늘의 배꼽(정중앙)인데 지금 모두 한쪽으로 치우쳐 있으니, 어디가 중국中國에 해당하는지 알 수 없다. 양자揚子가 말하였다. “오상五常에 근거한 정사가 행해지고, 일곱 가지 조세租稅로 재정이 운영되며, 천지의 한가운데에 위치한 것이 중국이다.注+오정五政오상五常()에 근거한 정사이다. 칠적七賦오곡五穀()과 이다. 천지天地의 한가운데에 위치하였다는 것은 토규土圭로 해그림자를 측량함에 그림자의 도수가 균등한 것이다. ○송함宋咸이 말하였다. “옛날에 천체天體에 대해 말한 것이 세 가지가 있는데, 그중 첫 번째가 주비周髀이니, 천지天地가 각각 중앙은 높고 사변四邊은 낮으므로 북극北極의 아래가 천지天地의 중앙이 됨을 말한다. 지금 위의 에서는 이 뜻을 인용하였고, 여기의 토규土圭로 해 그림자를 측량하는 것을 인용하였는데, 토규土圭주공周公이니 〈여기의 가〉 당연히 옳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오상五常에 근거한 정사가 행해지고 오곡五穀의 일곱 가지 조세로 재정이 운영되며, 토규土圭으로 땅의 깊이를 측량하고 해 그림자를 바로하여 천지天地의 한가운데를 찾으면 그곳이 중국中國이다.” 이곳을 벗어난 곳에 사는 자를 사람으로 칠 수 있겠는가.”注+비유하면 팔황八荒중국中國의 관계는 저와 같고, 제자백가諸子百家성인聖人의 관계는 이와 같다는 것이다. ○송함宋咸이 말하였다. “정문正文에는 다만 중국中國이적夷狄예악禮樂을 논하였을 뿐인데 에서 제자백가諸子百家를 끌어다 대었으니 본지가 아니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팔황八荒 이외의 지역은 성왕聖王금수禽獸로 여겨 상대하였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이적夷狄금수禽獸와 다름이 없으니, 그들의 이른바 예악禮樂이라는 것을 어찌 취할 수 있겠는가.”


역주
역주1 八荒之禮 禮也樂也 : 汪榮寶의 《法言義疏》에 “의심컨대 ‘八荒之禮 禮也樂也’는 ‘八荒之禮也樂也’가 되어야 하니, ‘禮’자는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라고 하였다.
역주2 [者] : 저본에는 없으나, 四部叢刊本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3 [今] : 저본에는 없으나, 四部叢刊本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4 土圭 : 周나라 때 옥으로 만든 기물의 이름으로, 길이가 1척 5촌이며, 해 그림자의 길이를 재어 토지를 측량하던 기구이다.
역주5 言天體者有三 其一曰周髀 : 周髀는 옛날 天文算術法의 한 가지이다. 古代 天文家는 周髀‧宣夜‧渾天의 3가가 있다. 주비가의 설에 의하면 “하늘은 동이를 엎어놓은 것과 같아 중앙은 높고 四邊은 낮다.”고 했는데, 이것을 蓋天說이라고도 한다.

양자법언(1) 책은 2019.06.07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