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揚子法言(1)

양자법언(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양자법언(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8. 睎驥之馬 亦驥之乘也 睎顔之人 亦顔之徒也 注+睎驥之馬……亦顔之徒也:祕曰 “睎, 睎慕也.” 光曰 “乘, 繩證切.”니라
或曰 顔徒易乎 睎之則是 注+顔徒易乎 睎之則是:祕曰 “, 疑其難至.” ○光曰 “易, 以豉切.”니라
曰 昔顔 睎夫子矣 正考甫 常睎尹吉甫矣 注+昔顔常睎夫子矣 正考甫常睎尹吉甫矣:. ○祕曰 “正考甫, 宋宣公之上卿. 尹吉甫, 周宣王之卿士. 尹吉甫, 深於, 作大雅崧高烝民之詩, 以美宣王. . 昭公七年傳曰 ‘及正考父, 佐戴武宣.’” 公子奚斯 常睎正考甫矣 注+公子奚斯 常睎正考甫矣:祕曰 “正考甫商頌, 蓋美之事, 而魯大夫公子奚斯, 能作閔公之廟, 亦睎詩之敎也. 而魯頌美之曰 ‘松桷有舃, 路寢孔碩. 新廟奕奕, 奚斯所作.’” ○光曰 “揚子以謂正考甫作商頌, 奚斯作閟宮之詩. 故云然.”
如不欲睎인댄 則已矣어니와 如欲睎인댄 孰禦焉이리오


천리마千里馬가 되기를 바라는 말은 그 역시 천리마의 무리이고, 안연顔淵이 되기를 바라는 사람은 그 역시 안연의 무리이다.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는 바라보고 사모하는 것이다.”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반절反切이다.”
혹자가 물었다. “안연의 무리가 되기 쉽습니까?”양자揚子가 말하였다. “그런 사람이 되기를 바라면 그와 같은 사람이 되는 것이다.”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안자顔子는 거의 성인聖人의 경지에 가까웠기 때문에 안자의 경지에 도달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의심한 것이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반절反切이다.”
양자揚子가 또 말하였다. “옛날에 안연은 일찍이 공자孔子 같은 사람이 되기를 바랐고, 정고보正考甫는 일찍이 윤길보尹吉甫 같은 사람이 되기를 바랐고注+해사奚斯노 희공魯 僖公의 신하인데, 정고보正考甫를 흠모하여 〈노송魯頌〉을 지었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정고보正考甫송 선공宋 宣公상경上卿이고, 윤길보尹吉甫주 선왕周 宣王경사卿士이다. 윤길보尹吉甫시교詩敎에 조예가 깊어 〈대아大雅〉의 〈숭고崧高〉와 〈증민烝民를 지어 선왕宣王을 찬미하였는데, 정고보正考甫 또한 윤길보尹吉甫를 흠모하여 〈상송商頌〉 12편을 얻어 탕왕湯王성덕盛德을 기렸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소공昭公 7년의 에 ‘정고보正考父에 이르러 나라의 대공戴公무공武公선공宣公보좌輔佐하였다.’라고 하였다.”, 공자해사公子奚斯는 일찍이 정고보正考甫 같은 사람이 되기를 바랐다.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정고보正考甫의 〈상송商頌〉은 제사를 지낸 일을 찬미한 것인데, 나라 대부大夫공자해사公子奚斯민공閔公의 사당을 짓고 또한 의 가르침을 사모하였다. 《시경詩經》 〈노송魯頌〉에 찬미하기를 ‘소나무로 만든 서까래가 크기도 하니 노침路寢이 매우 크도다. 새 사당이 혁혁奕奕하니 해사奚斯가 지은 것이로다.’라고 하였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양자揚子정고보正考甫가 〈상송商頌〉을 지었고, 해사奚斯가 〈비궁閟宮를 지었다고 여겼다. 그러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만약 그런 사람이 되기를 바라지 않는다면 그만이지만, 만약 그런 사람이 되기를 바란다면 누가 막을 수 있겠는가.”


역주
역주1 [曰] : 저본에는 없으나, 四部叢刊本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2 : 四部叢刊本에는 ‘嘗’으로 되어 있다. ‘常睎尹吉甫矣’의 ‘常’도 같다.
역주3 顔子庶幾 : 《周易》 〈繫辭傳 下〉에 보인다. 孔子가 말씀하기를 “顔氏의 아들은 거의 道에 가까울 것이다. 不善이 있으면 일찍이 모른 적이 없고, 알면 일찍이 다시 행하지 않았다.[顔氏之子 其殆庶幾乎 有不善 未嘗不知 知之 未嘗復行也]”라고 하였다.
역주4 奚斯……作魯頌 : 내용으로 살펴보건대 ‘奚斯 魯僖公之臣也 慕正考甫 作魯頌’ 14자는 ‘公子奚斯 常睎正考甫矣’에 대한 註인데, 여기에 잘못 끼어 들어간 듯하다.
역주5 詩敎 : 溫柔하고 敦厚한 《詩經》의 가르침을 이른다. 《禮記》 〈經解〉에 “공자가 말씀하기를 ‘어느 나라에 들어가든 〈그 나라에서 무엇으로〉 교화했는지를 알 수 있으니, 사람됨이 溫柔하고 敦厚함은 《詩經》의 가르침이요, 疏通하여 먼 것을 아는 것은 《書經》의 가르침이요, 廣博하고 평이하고 선량함은 《樂經》의 가르침이요, 깨끗하고 고요하고 精微함은 《易經》의 가르침이요, 恭儉하고 莊敬함은 《禮經》의 가르침이요, 글을 잘 엮고 사건을 차례대로 잘 정리하는 것은 《春秋》의 가르침이다.’ 하였다.[入其國 其敎可知也 其爲人也 溫柔敦厚 詩敎也 疏通知遠 書敎也 廣博易(이)良 樂敎也 潔靜精微 易敎也 恭儉莊敬 禮敎也 屬辭比事 春秋敎也]”라고 하여 六經의 교화적 성격을 특징적인 말로 요약하였다.
역주6 正考甫慕之……以頌湯之盛德 : 正考甫는 商의 후예인 宋나라의 大夫로서 〈商頌〉 12편을 周나라 太師에게 얻어서 본국으로 돌아와 그 선왕을 제사하였는데, 孔子가 詩를 엮을 때에는 그중 7편이 망실되었다 한다.
역주7 禘祀 : 始祖의 사당에 자신의 선조를 배향하여 제사하는 것이다.

양자법언(1) 책은 2019.06.07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