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揚子法言(1)

양자법언(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양자법언(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1. 或欲學蒼頡史篇 注+或欲學蒼頡史篇:多知奇難之字, 故欲學之. ○祕曰 “, , 皆字學.”한대 愈於妄闕也 注+史乎史乎 愈於妄闕也:再言史乎者, 善之也. 言勝於不而妄名, 不而闕. ○祕曰 “蒼頡, 亦史類, 故曰史乎史乎, 猶勝於學諸子之妄不學之闕也.”니라


혹자가 양자揚子에게 《창힐蒼頡》과 《사주史籒》를 배우고자 하니注+양자揚子가 기이하고 어려운 글자를 많이 알았기 때문에 배우고자 한 것이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창힐蒼頡》 1과 《사주史籒》 15편은 모두 자학字學에 관한 책이다.”, 양자揚子가 말하였다. “자서字書여. 자서字書여. 〈창힐蒼頡사주史籒가 지은 자서字書를 배우는 것이〉 알지 못하면서 함부로 말하거나 알지 못하여 빼놓는 것보다 낫다.”注+사호史乎’라고 두 번 말한 것은 좋게 여긴 것이니, 〈자서字書를 배우는 것이〉 배우지 않고서 함부로 말하거나, 알지 못하여 빼놓는 것보다 나음을 말한 것이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창힐蒼頡사서史書의 부류이기 때문에 ‘사호사호史乎史乎’라고 한 것이니, 〈자서字書를 배우는 것이〉 오히려 여러 사람들이 함부로 배우지 않고 빼놓는 것을 배우는 것보다 낫다.”


역주
역주1 史乎史乎 : 史는 古文과 奇字를 가리키는데, 古文과 奇字는 글자가 만들어질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반영하기 때문에 字書는 대부분 사료적 가치가 있다. 그러므로 ‘史’를 字書라고 해석한 것이다.(《揚子法言今讀》)
역주2 蒼頡一篇 : 蒼頡은 黃帝의 史官으로, 새 발자국을 보고 처음으로 글자를 만들었다고 한다. 《漢書》 〈藝文志〉에 의하면, 《蒼頡七章》은 秦나라 丞相 李斯가 지은 것이고, 《爰歷六章》은 車府令 趙高가 지은 것이고, 《博學七章》은 太史令 胡母敬이 지은 것인데, 漢나라 때에 閭里의 書史가 이 세 편을 합쳐서 《蒼頡篇》으로 만든 것이라 한다.
역주3 史籒十五篇 : 史籒는 周 宣王 때의 太史 籒이다. 古文을 변형하여 大篆 15편을 만들었다. 그러므로 大篆을 일명 籀文이라고 한다.
역주4 (知)[學] : 저본에는 ‘知’로 되어 있으나, 四部叢刊本에 근거하여 ‘學’으로 바로잡았다.
역주5 (名)[知] : 저본에는 ‘名’으로 되어 있으나, 四部叢刊本에 근거하여 ‘知’로 바로잡았다.
역주6 [廢] : 저본에는 없으나, 四部叢刊本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양자법언(1) 책은 2019.06.07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