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揚子法言(1)

양자법언(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양자법언(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4. 或問德表 注+或問德表:祕曰 “問德之的然爲天下表者.” ○光曰 “問有德之人在上, 其治化表見於外者, 何如.”한대 曰 莫知作上作下 注+莫知作上作下:作, 爲也. 莫知爲上之樂爲下之苦. ○咸曰 “非也. 作, 修也. 君聖而修之於上, 臣忠而修之於下. 故上下交修, 而民日用不知此所以爲德之標準也.” ○祕曰 “德足乎己, 加乎民. 天下有道, , 豈有的然作之於上作之於下而莫知也.”니라
注+請問莫知:言已有禮制則有尊卑. ○咸曰 “言民日由禮而不知其制也.” ○祕曰 “德旣然矣, 請問禮.” ○光曰 “李宋吳本, 皆作請問禮莫知. 音義曰 ‘天復本, 作請問莫知.’ 今從之. 或者以爲 ‘治化旣出於上, 豈得人莫知之.’”한대 曰 行禮於彼而民得於此 奚其知 注+行禮於彼而民得於此 奚其知:君自行禮於上, 而民承化於下. ○咸曰 “, 威儀三千, 不可盡詳哉. 故. 蓋上旣行而下能效, 則民得之矣, 何制之知焉.” ○祕曰 “禮亦然.” ○光曰 “德者, 得也. 有德者, 行禮於上, 而民各得其所於下, 人自爲善, 豈知治化之所自邪.”리오
或曰 孰若無禮而德 注+孰若無禮而德:祕曰 “何如去禮而專任德.” ○光曰 “或者以爲 ‘曷若專修德, 安用繁文之禮.’”이리오 曰 禮 體也 人而無禮 焉以爲德 注+禮體也……焉以爲德:禮如體, 無體, 何得爲人, 無禮, 何能立德. ○祕曰 “譬人無體, 非人也, 何由爲德.” ○光曰 “言禮者德之體也.”이리오


혹자가 〈군주의〉 덕이 겉으로 드러나는 것에 대해서 물으니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이 분명하여 천하天下표솔表率(모범)이 되는 것에 대해 물은 것이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덕이 있는 사람이 윗자리에 있으면 다스림의 교화가 밖으로 드러나는 것이 어떠한지 물은 것이다.”, 양자揚子가 말하였다. “윗자리에서 행하고 아랫자리에서 행하여 〈천하에 덕이 있게 되었음을 백성들은〉 알지 못한다.”注+(행하다)이다. 윗사람 노릇 하는 즐거움과 아랫사람 노릇 하는 괴로움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송함宋咸이 말하였다. “아니다. 이다. 군주는 스러워 위에서 덕을 닦고, 신하는 충성하여 아래에서 덕을 닦는다. 그러므로 상하上下가 서로 닦으면 백성들은 날마다 쓰면서도 이것이 의 표준이 되는 줄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이 자기 몸에 충만하여 백성에게 더해지면 천하에 도가 있게 되어 집집마다 봉해줄 수 있을 텐데, 어찌 분명하게 윗자리에서 행하고 아랫자리에서 행하는데도 알지 못할 리가 있겠는가.”
혹자가 〈백성들이〉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해 물으니注+이미 예제禮制가 있으면 존비尊卑가 있게 됨을 말한 것이다. ○송함宋咸이 말하였다. “백성들이 날마다 예를 따라서 행하면서도 누가 만든 것인지 알지 못함을 말한 것이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이 이미 이와 같은 뒤에 에 대해 물은 것이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이궤본李軌本송함본宋咸本오비본吳祕本에는 모두 ‘청문례막지請問禮莫知’로 되어 있다. 《음의音義》에 ‘천복본天復本에는 청문막지請問莫知로 되어 있다.’라고 하였으니, 지금 이것을 따랐다. 혹자는 ‘다스림의 교화가 이미 위에서 나오는데 어찌 사람들이 그것을 알지 못할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양자揚子가 말하였다. “위정자는 저기(위)에서 를 행하고 백성들은 여기(아래)에서 교화를 받기만 하니, 어찌 알 수 있겠는가.”注+임금은 위에서 스스로 예를 행하고, 백성들은 아래에서 교화를 받는 것이다. ○송함宋咸이 말하였다. “백성들은 도리道理를 따르게 할 수는 있어도 그 원리原理를 알게 할 수는 없으니, 위의威儀 3천 조목을 자세히 알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서인庶人에게 내려가지 않는 것이다. 위에서 이미 행하고 아래에서 잘 본받으면 백성들이 교화를 받기는 하지만 누가 만든 것인지 어찌 알겠는가.”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도 이와 같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은 얻는 것이다. 덕이 있는 자는 위에서 예를 행하고 백성들은 각각 아래에서 제 살 곳을 얻어 사람들이 스스로 을 행하니, 다스림의 교화가 어디로부터 나오는지 어찌 알겠는가.”
혹자가 물었다. “〈번거로운〉 는 버리고 오로지 에 맡기는 것이 낫지 않겠습니까?”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어찌 를 버리고 오로지 에 맡기는 것만 하겠는가.”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혹자가 ‘어찌 오로지 덕을 닦는 것만 하겠는가. 번거로운 문식인 예를 어디다 쓰겠는가.’라고 한 것이다.” 양자揚子가 말하였다. “예는 사람에게 있어 몸과 같으니, 사람으로서 예가 없으면 어떻게 덕을 확립할 수 있겠는가.”注+는 사람의 몸과 같으니, 몸이 없으면 어떻게 사람이 될 수 있겠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예가 없으면 어떻게 덕을 확립할 수 있겠는가.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비유하건대 사람이 몸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니, 어떻게 덕을 행할 수 있겠는가.”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을 행하는 바탕이다.”


역주
역주1 請問莫知 : 李軌本‧宋咸本‧吳祕本에는 모두 ‘請問禮莫知’로 되어 있으나, ‘莫知作上作下’의 ‘莫知’를 받아서 말한 것이므로 ‘請問莫知’가 옳다고 보았다.
역주2 比屋可封 : 집집마다 봉해줄 만하다는 뜻으로, 堯‧舜시대에는 백성들이 모두 성인의 덕화를 입어 훌륭했으므로, 어느 집 사람이든 다 벼슬을 줄 만했다는 데서 온 말이다. 《論衡》 〈率性〉에 “堯‧舜의 백성들은 집집마다 다 봉하여도 되었고, 桀‧紂의 백성은 집집마다 다 죽여도 되었다.[堯舜之民 可比屋而封 桀紂之民 可比屋而誅]”라고 하였다.
역주3 民可使由之 不可使知之 : 《論語》 〈泰伯〉에 보인다.
역주4 禮不下庶人 : 《禮記》 〈曲禮〉에 “예는 서인에게 내려가지 않는다.[禮不下庶人]” 하였는데, 그 註에 “서인은 卑賤하고 貧富가 같지 않기 때문에 經典에 서인의 예는 말하지 않았으며, 옛사람이 예를 제정할 적에도 모두 士에서부터 시작하였다.” 하였다.

양자법언(1) 책은 2019.06.07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