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揚子法言(1)

양자법언(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양자법언(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6. 注+學以治之:祕曰 “治其性.”하고 思以精之 注+思以精之:祕曰 “精於道.”하고 朋友以磨之 注+朋友以磨之:切磋琢磨. ○祕曰 “過則勿憚改.”하고 名譽以崇之 注+名譽以崇之:祕曰 “立身揚名.”하고 不倦以終之 注+不倦以終之:祕曰 “自彊不息.” 可謂好學也已矣 注+可謂好學也已矣:上士, 聞此五者, 勤而行之, 不可謂不好也.니라


배워서 본성을 다스리고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자신의 본성을 다스리는 것이다.”, 생각하여 〈를〉 정밀하게 가려내고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에 정밀한 것이다.”, 벗을 사귀어 〈서로 도와가며〉 절차탁마切磋琢磨하고注+절차탁마切磋琢磨하는 것이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잘못을 저지르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아야 한다.”, 명예를 얻어서 부모를 드러나게 하고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입신양명立身揚名하는 것이다.”, 게을리하지 않고서 끝까지 잘 마치면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스스로 쉬지 않고 힘쓰는 것이다.” 배우기를 좋아한다고 이를 만하다.注+상사上士(지혜가 높고 식견이 있는 선비)가 이 다섯 가지를 듣고 부지런히 행한다면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이를 수 없다.


역주
역주1 學而治之 : 汪榮寶의 《法言義疏》에 “이것은 학문하는 本末을 논한 것이다. ‘學而治之’가 비록 뜻이 통하기는 하지만 마땅히 ‘學以始之’가 되어야 ‘不倦以終之’와 뜻이 더욱 相應할 듯하다.”라고 하였다.

양자법언(1) 책은 2019.06.07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