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揚子法言(1)

양자법언(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양자법언(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2. 習乎習 注+習乎習:歎所玩習. ○光曰 “歎習貫之移人也.”이여 以習非之勝是也 注+以習非之勝是也:咸曰 “非, 謂異端之術.” ○光曰 “南方之俗, 以雕題爲美, 羌戎之俗, 以焚尸爲榮. 安於所習, 不知其非, 習小道者, 亦類於此.” 況習是之勝非乎 注+況習是之勝非乎:咸曰 “是, 謂正經之術.” ○光曰 “聖人之道明, 則異端自息矣.” 於戲 注+於戲(오호):光曰 “宋吳本, 作嗚呼. 音義曰 ‘上音嗚, 下音呼. 又許宜切.’” 學者審其是而已矣 注+學者審其是而已矣:祕曰 “習乎習, 誡愼其習也. 以習諸子之勝於五經也, 況習五經以勝於諸子乎. 學者詳審而已矣. 桓譚曰 ‘昔老聃著, 薄仁義, 非禮學, 然後好之者, 尙以過於五經.’”니라
或曰 焉知是而習之 注+焉知是而習之:祕曰 “道家亦非儒.” 曰 視日月而知衆星之蔑也 注+視日月而知衆星之蔑也:光曰 “蔑, 微也.” 仰聖人而知衆說之小也 注+仰聖人而知衆說之小也:. ○祕曰 “衆說之小, 所見者小也.” ○光曰 “人苟盡心於聖人之道, 則衆說之不足學, 易知矣.”니라


익숙히 보는 것에 익숙해짐이여.注+익히는 것에 익숙해짐을 한탄한 것이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습관이 사람을 바꿈을 한탄한 것이다.” 그른 것을 익숙하게 보면 오히려 옳은 것보다 더 낫다고 여기는데注+송함宋咸이 말하였다. “이단異端의 학술을 이른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남방南方의 풍속은 이마에 문신을 새기는 것을 아름답게 여기고, 서쪽 오랑캐의 풍속은 시신을 태우는 것을 영화롭게 여긴다. 그리하여 익숙한 것을 편안히 여겨 그것이 잘못인 줄 알지 못하니, 소도小道(작은 기예)를 익히는 것도 이와 비슷하다.”, 하물며 옳은 것을 익숙하게 보아 그른 것보다 더 낫다고 여김에 있어서랴.注+송함宋咸이 말하였다. “정경正經(유가경전儒家經典)의 학술을 이른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성인聖人가 밝아지면 이단異端은 저절로 사라진다.”注+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송함본宋咸本오비본吳祕本에는 ‘오호嗚呼’로 되어 있다. 《음의音義》에 ‘윗글자()는 음이 이고, 아랫 글자()는 음이 이다. 〈의〉 또 다른 음은 반절反切이다.’라고 하였다.”, 배우는 자는 〈자신이 익히는 것이〉 옳은지 자세히 살필 뿐이다.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익히는 것에 익숙해진다는 것은 익히는 것을 경계하고 삼가는 것이다. 제자서諸子書를 익숙하게 봐도 오경五經을 이길 수 있는데, 하물며 오경五經을 익숙하게 보면 제자서諸子書를 이길 수 있음에 있어서랴. 배우는 자는 〈자신이 배운 것이 옳은지〉 자세히 살필 뿐이다. 환담桓譚이 ‘옛날에 노담老聃이 《도덕경道德經》 두 편을 지어 인의仁義를 하찮게 여기고 예학禮學을 비난하였는데, 그런 뒤에 노자의 학설을 좋아하는 자들은 오히려 《도덕경》이 오경五經보다 낫다고 여겼다.’라고 하였다.”
혹자가 물었다. “어떻게 옳은 것인 줄 알아서 익힙니까?”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도가道家 역시 유가儒家를 비난하였다.” 양자揚子가 말하였다. “해와 달을 보면 뭇별들이 미미하다는 것을 알게 되고注+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은 미미함이다.”, 성인聖人의 도를 우러러보면 여러 학설들이 소소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注+크고 작은 것은 상대적으로 드러나고, 높고 낮은 것은 상대적으로 다툰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여러 학설 가운데 소소한 것은 그들이 본 것이 작기 때문이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사람이 만일 성인聖人에 마음을 다한다면 여러 학설은 족히 배울 것이 못 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역주
역주1 虛無之言兩篇 : 《道經》과 《德經》, 즉 《老子道德經》을 가리킨 것으로 보인다.
역주2 大小之相形 高下之相傾 : 《老子》 3章에 “長短相形 高下相傾(길고 짧은 것은 상대적으로 드러나고, 높고 낮은 것은 상대적으로 다툰다.)”이라고 하였다.

양자법언(1) 책은 2019.06.07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